검색
검색
공개 노트 검색
회원가입로그인
폴 그레이엄 에세이 요약

"백년 후의 프로그래밍 언어"

"백년 후의 프로그래밍 언어"

주요 아이디어

프로그래밍 언어는 진화적 관점에서 발전하며, 미래의 언어는 더 간결하고 효율적이며 프로그래머의 작업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될 것이다.

에세이 요약

  • 백년 후를 생각하며 프로그래밍 언어의 진화 가능성에 대해 논의.

  • 프로그래밍 언어는 생물의 진화처럼 분기 구조를 가지며 일부는 진화적 막다른 길을 뜻한다.

  • 성공적인 언어는 심플하고 강력한 기본 연산자(axioms)가 핵심이다.

  • 미래의 프로그래밍 언어는 불필요한 복잡성을 제거하고 작업 효율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큼.

  • 빠른 하드웨어가 도입됨에 따라 언어가 비효율성을 감수하더라도 간편성을 추구할 가능성 증가.

  • "좋은 낭비"를 추구하며, 간단한 디자인을 위해 자원(컴퓨터 성능)을 사용한다는 개념 강조.

  • 데이터 구조의 간소화와 불필요한 최적화 요소 제거 논의.

  • 새로운 레이어 활용한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은 재사용성과 유연성을 높임.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지속될 가능성이 있지만, 대규모 조직에서 더 유용하게 작동.

  • 하드웨어 발전이 계속된다면 더 많은 언어가 등장하겠지만, 몇몇 언어가 주요 언어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있음.

  • 병렬 컴퓨팅은 제한적으로 영향을 끼칠 것이나, 일상적인 애플리케이션에는 눈에 띄게 사용되지 않을 가능성 있음.

  • 변형 가능성과 간편성이 백 년 후 프로그래밍 언어의 주요 특성이 될 것.


The Hundred-Year Language - (폴 그레이엄 에세이 요약)


공유하기
카카오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