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을 머릿속에 담기
프로그램을 머릿속에 담기
주제 문장: 프로그램을 머릿속에 담는 능력은 문제를 더욱 깊게 이해하고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프로그래밍 기술이다.
요약:
프로그램을 머릿속에 담는다는 뜻:
훌륭한 프로그래머는 수학자처럼 전체 프로그램을 이해하여 자유롭게 변화시키며 작업할 수 있다.
이는 특히 프로젝트의 초기 단계에서 중요한데, 문제를 변경하거나 새로운 해결 방법을 시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프로그램을 머릿속에 담기 위해 도움이 되는 행동들:
방해를 피하기: 방해는 프로그래밍에 치명적이며, 특히 뇌를 혼란스럽게 만드는 일정한 방해는 더 나쁘다.
긴 작업 시간 확보: 짧은 작업보다 긴 작업 시간이 더 효율적이다. 피로가 오기 전까지 긴 시간을 집중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최적이다.
간결한 언어 사용: 간결하고 강력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면 코드가 짧아지고 이해하기 쉬워진다.
코드 지속적으로 재작성: 프로그램을 반복적으로 재작성하면 디자인이 깔끔해지고 더 깊은 이해와 집중이 가능하다.
재독 가능한 코드 작성: 코드가 간결하면서도 자신이 쉽게 다시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작성해야 한다.
소규모 작업 팀: 팀원이 적을수록 코드를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재설계하기 용이하다.
코드 분리: 여러 사람이 동일한 코드를 수정하지 않게 각 부분을 나누어 책임질 필요가 있다.
작게 시작하기: 처음에는 문제의 작은 부분을 해결하며 일반적인 전체 프로그램을 이해할 수 있도록 시작해야 한다.
조직의 문제:
많은 조직에서는 위와 같은 원칙을 어기는데, 이는 조직이 개인의 창의성을 억압하고 효율적인 프로그래밍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특히 대기업에서는 창의적 독립성을 허용하지 않으며, 이는 스타트업이 이를 활용해 경쟁 우위를 얻을 수 있는 포인트이다.
결론:
프로그래밍의 본질은 하나의 머릿속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창의적 과정이다. 이 과정을 조직화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Holding a Program in One's Head - (폴 그레이엄 에세이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