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검색
공개 노트 검색
회원가입로그인

공개 노트 피드

구글 에이전트 백서 정리

1. 에이전트(Agent)의 정의 핵심 개념: 에이전트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외부 세계를 관찰하고 도구를 활용해 행동하는 자율적인 애플리케이션. 특징: 독립적인 판단과 행동 가능. 논리적 추론과 외부 정보 접근을 결합하여 실행. 2. 에이전트의 구성 요소 1. 모델: 언어 모델(LM)을 중심으로 의사결정을 담당. ReAct, Chain-of-Thought(CoT), Tree-of-Thoughts(ToT) 등의 논리 프레임워크를 사용. 2. 도구: API, 데이터 저장소 등 외부 세계와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함. 예: Google Flights API를 통한 실시간 항공 정보 검색. 3. 오케스트레이션 레이어: 정보 입력 → 내부 추론 → 실행 → 반복 과정 (agent loop)을 조율. 에이전트의 목표

T
tilnote

DeepSeek R1-Zero - 강화 학습만을 통해 개발된 추론 모델

DeepSeek R1-Zero DeepSeek R1-Zero는 강화 학습을 통해 개발된 추론 모델로, 다양한 추론 과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AI 모델입니다. 이 글에서는 DeepSeek R1-Zero의 기본 개념, 기능 및 성능 결과 등을 살펴보겠습니다. 소개 DeepSeek R1-Zero는 중국의 AI 스타트업 DeepSeek에서 개발한 첫 번째 세대 추론 모델입니다. 이는 대규모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 RL)만을 사용하여 교육되었으며, 별도의 감독 학습(Supervised Fine-Tuning, SFT) 단계 없이 여러 강력하고 흥미로운 추론 능력을 자연스럽게 습득했습니다. 이러한 접근법은 추론을 필요로 하는 문제 해결에서 중요한 기반을 제공합니다. 모델 요약 강화 학습 후 처리 DeepSeek R1-Zero는 기본 모델에 강화 학습만을 적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모델은 자체 검증, 반성(Reflection

T
tilnote

Langchain AI 이메일 도우미 (Langchain AI Email Assistant)

Langchain AI 이메일 도우미란? • LangChain 팀의 AI 이메일 비서 프로토타입 • 현재 Gmail에서만 작동 • 오픈 소스 프로젝트로 무료 이용 가능 • AI 시스템이 사용자의 이메일을 자율적으로 관리하고 캘린더를 효율적으로 운영 • 인간의 감독 하에 지능적인 백그라운드 보조 제공 • 미래 인간-AI 협력의 예시 • 2025년 AI 에이전트의 해를 예측 • 사용자의 요구를 예측하는 보조 역할로 기술의 변화를 구현 AI가 능동적(proactively)으로 사용자의 이메일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시스템. GitHub langchain-ai/executive-ai-assistant

T
tilnote

I Got Lucky - 운이 좋았어

이 곡은 1971년에 발매된 I Got Lucky라는 앨범에 수록되어 있으며, 이 앨범은 엘비스의 영화 사운드트랙에서 발췌한 곡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I Got Lucky"는 경쾌하고 긍정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어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발매일자: 1971년   앨범: I Got Lucky , 엘비스 36세 특징: "I Got Lucky"는 밝고 경쾌한 멜로디와 엘비스의 따뜻한 보컬이 돋보이는 곡입니다. 이 곡은 행운과 사랑에 대한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하며, 듣는 이로 하여금 기분 좋은 에너지를 느끼게 합니다. 에피소드: 이 곡은 1962년 영화 Kid Galahad의 사운드트랙으로 처음 등장했습니다. 원곡 가사번역 가사 Never found a four leaf clover to bring good luck to me 행운을 가져다 줄 네 잎 클로버를 찾

JH.smile
JH.smile

특이한 도감 1

Introduction 서문 This atlas documents the emergent phenomena of Parametric Zones, regions where reality itself adheres to dynamic mathematical principles. The following entries combine objective analysis with personal observations, cataloging the beautiful and often unsettling ways these domains reshape our understanding of existence. 이 도감은 현실 자체가 동적 수학 원리를 따르는 영역인 매개변수 구역의 출현 현상을 기록합니다. 다음 항목들은 객관적 분석과 개인적 관찰을 결합하여, 이러한 영역들이 우리의 존재 이해를 재구성하는 아름답고 종종 불안한 방식을 목록화합니다. Research Note α-1

제갈자룡

목표 달성의 신경과학: 6가지 핵심 법칙

목표 달성의 신경과학: 6가지 핵심 법칙 🎯 ✨ 에디터 노트: 실패하는 목표는 이제 그만 안녕하세요 🙋‍♂️ 새해가 시작된 지 벌써 3주 정도 지났네요. 신년 목표는 잘 진행되고 있으실까요. 목표 설정과 관련하여 신경과학자 앤드류 후버만 박사의 팟캐스트 에피소드를 들으며 공감했던 경험을 나누고 싶습니다. 'Goals Toolkit: How to Set & Achieve Your Goals'  제 2024년 최우선 목표는 'CEFR B2 레벨의 영어 스피킹 실력 달성'입니다. 💡 목표 설계 방식 1. 결과 목표: CEFR B2 레벨 스피킹 실력 2. 과정 목표: 매달 영어 아웃풋 20시간 3. 예상 투자 시간: 최소 연간 200시간 이상 24년 12월, 영어 Speaking과 Writing을 합쳐서 월 15시간의 영어 아웃풋 목표를 달성했

오송인
오송인

상담자는 본업인 상담을 잘하기 위해 무슨 책을 볼까: 전공서 공부 기록 대방출(2018년부터 지금까지)

안녕하세요 📚 ​ 상담실에서 만나는 내담자분들의 이야기가 더 잘 들리길 바라는 마음으로, 날마다 공부하는 상담자 오송인입니다. 오늘은 제가 걸어온 배움의 여정을 여러분과 나누고 싶어요. ​ 🎯 탄탄한 기초 다지기 정신과 병동에서의 임상 경험을 시작으로 2013년부터 상담과 평가를 지속했으나 아쉽게도 공부한 기록이 여기저기 산재해 있습니다. 동료 선생님들과 전공서 스터디를 꾸려서 제대로 기록하기 시작한 게 2018년 초 정신분석적 심리치료부터입니다. 정신분석적 심리치료, 상담의 기술, 정신분석적 진단, 정신분석적 사례이해 등 상담자로 성장하는데 핵심적인 도서들을 꼼꼼히 2-3회독했답니다. ​ 🌈 다양한 치료법 탐구 핵심적이라 생각한 책을 읽은 후에는 더 넓은 세계로 눈을 돌렸습니다. 상담 및 심리치료에도 다양한 이론이 있는데요: ​ 인지행동치료(CBT)와 변증법적 행동치료(DBT) 정서중심치료(EFT) 수용전념치료(ACT) 심리도식치

오송인
오송인

Krea AI: 2D 이미지를 3D 객체로 실시간 장면 생성

Krea AI: 2D 이미지를 3D 객체로 실시간 장면 생성 혁명의 시작: Krea AI의 주요 기능 Krea AI는 사용자가 일반적인 2D 이미지를 3D 객체로 변환하여 실시간 AI 생성 장면에서 조작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3D 객체의 크기를 조정하고 원하는 각도로 배치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Krea의 'Generate' 메뉴에서 'Realtime'을 선택한 후 이미지를 드래그 앤 드롭하고, 우클릭하여 'Convert to 3D'를 선택하면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술적 배경: Flux 모델과 Krea Train Krea AI는 Flux 모델을 미세 조정할 수 있는 Krea Train과 결합하여 이 새로운 실시간 및 3D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여러 이미지에서 일관된 캐릭터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플랫폼은 이미지 환경 수정, 일관된 조명 및 색상 유지, 초슬로 모션 생성 (120

T
tilnote

[홈서버를 위한 여정2] 해놀로지 (xpenology) 설치하기

해놀로지는 시놀로지의 dsm를 해킹해서 컴퓨터에서 사용할수 있게 하는 서비스이다. 시놀로지의 dsm의 데모는 여기에서 가능하다. DSM 온라인 데모 물론 시놀로지가 나스만 있는건 아니고 여러 제품들이 있다. 다만 이 시놀로지의 dsm은 시놀로지 제품에서만 가능하고, 하드웨어적으로는 별게 없지만, 소프트웨어가 정말 편하다. 그래서 일반 pc에서도 사용할수 있게 사람들이 해킹을 해놨다. 1. 로더 다운로드 및 설치 로더에는 2가지가 있다. 1. 서버포럼의 화정큐삼님이 관리하고 있는 TCRP의 포크인 mshell이 있다. Releases · PeterSuh-Q3/tinycore-redpill 2. ARPL도 있다. 둘다 비슷하니 둘다 받아서 잘 되는걸로 하면된다. Rel

국밥맨의 IT& 교육
국밥맨의 IT& 교육

[홈서버를 위한 여정1] 부품및 OS 결정하기

홈서버를 만들고 싶어졌다. 목적은 웹서버를 만들어서 그안에서 몇가지 테스트를 해보고 싶었다. 다른 서비스는 관심이 없고 (토렌트라면 모를까..) 웹서버만 잘 돌아가면 된다고 생각했다. (물론 벡엔드 연결은 어떻게 할껀지..) 1. 부품 정하기 당연히 최소한의 비용으로 하기로 했기 때문에, 집에서 그동안 열심히 모은 여러 부품을 정리해봤다. 서버는 전기요금이 많이 나온다고 해서 저전력 프로세서를 많이 쓴다고 한다. (보통 저전력 프로세서는 이름뒤에 T가 붙는다.) 노트북을 뒤져보니 amd c60이라는 프로세서를 쓴게 있다. 아톰 대항이란다. 해놀로지던 omv 던 설치해보니...... 너어어어어어어무 느려서 cpu 사용량이 100%를 닿는 경우들이 많다. 게다가 노트북은 하드를 하나만 써야되는것도 아쉬움 이었다. 40nm의 공정으로 만들어진 cpu는...... 어느정도 성능을 봐야겠지만, 저전력을 저성능을 의미할수도 있으니 (애플 실리콘 제외) 잘 생각해보자.

국밥맨의 IT& 교육
국밥맨의 IT& 교육
T
공개 노트 기반 대답
AI 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