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커와 화가
해커와 화가
주된 아이디어:
해커와 화가는 모두 "창작자(makers)"로서, 그들의 목표는 아름다운 것을 만드는 것이며, 해커의 창작 과정은 과학보다 예술에 가깝다.
에세이 요약:
해커와 화가의 공통점
해커와 화가는 창작자로서 아름다운 것(소프트웨어나 예술)을 만들기를 추구한다.
창작 과정에서 발견되는 새로운 기술은 연구가 아닌 창작의 부산물이다.
컴퓨터 과학의 부적합성
"컴퓨터 과학"이라는 용어는 실제로 해커가 하는 일과 관련이 부족하며, 이는 해커들이 과학적으로 행동해야 한다는 잘못된 인식을 심어준다.
해커는 이론적 과학보다 창작 과정에 중점을 두며, 소프트웨어 설계는 과학적 논문보다는 작품 그 자체로 평가받아야 한다.
창작의 과정과 사고 방식
해커의 작업은 예술가의 스케치처럼 점진적 반복과 수정 과정을 거친다.
최상의 프로그래밍 언어는 정적 설계보다 유연성과 시도를 중시해야 한다.
수익과 창작 간의 갈등
대부분의 회사는 해커들에게 창의적 설계보다 특정 사양을 구현하는 기술자로 취급한다.
창작적인 소프트웨어 작업은 오픈소스와 같은 형태로 개인 시간에 이루어진다.
배움과 영감
해커는 다른 창작자들처럼 실제로 무언가를 만들면서 배운다(즉, "행동으로 배우기").
다른 창작 작가 또는 예술가들의 작품을 관찰하고 베껴보는 것은 기술 향상에 도움이 된다.
스타트업이 제공하는 공간
스타트업은 대기업 대비 설계 전쟁에서 유리함을 제공하며, 창의적이고 과감한 방식으로 제품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그러나 스타트업에서는 해커들이 직접 프로그램 외적인 요소도 신경 써야 한다.
해커의 정체성
해커는 물리학자나 수학자보다 음악가, 화가와 같은 창작자와 더 가깝다.
이 과정에서 주요 목표는 기술적 완벽함이 아니라 아름답고 창의적인 소프트웨어를 제작하는 것이다.
Hackers and Painters - (폴 그레이엄 에세이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