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차 세계대전의 발발 배경과 전개 과정
제1차 세계대전의 발발 배경과 전개 과정
제1차 세계대전: 개요와 명칭
제1차 세계대전(First World War, 1914.7.28–1918.11.11)은 주로 동맹국(Entente)과 중앙동맹국(Central Powers) 간에 벌어진 최초의 전지구적 대규모 무력 충돌이었다. 유럽, 중동, 아프리카, 아시아-태평양 등지에서 전투가 확산됐으며, 특히 유럽에서는 참호전(trench warfare), 포병(artillery), 기관총(machine gun), 화학무기(chemical weapons)의 대규모 사용과 전차(tank), 항공기(aircraft)의 투입이 전투 양상을 바꿨다. 이 전쟁은 ‘대전쟁(Great War)’이란 명칭으로도 불렸으며, 발생 직후부터 “전쟁을 끝내는 전쟁(the war to end all wars)”이라는 인식이 퍼졌다.
배경: 유럽의 균형 붕괴와 분쟁 고조
19세기 말, 유럽 열강들은 힘의 균형(balance of power)을 신경 썼으나, 독일 제국(German Empire)의 부상과 오스만 제국(Ottoman Empire)의 쇠퇴, 그리고 급격한 산업화와 신제국주의로 인해 경쟁과 긴장이 심화되었다. 1871년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후 프랑스는 복수를 다짐했고, 비스마르크(Bismarck)는 고립정책을 추진했으나, 1890년 비스마르크의 퇴진 이후 독일 외교는 변동했다. 이후 프랑스–러시아 동맹, 영불협상(Entente Cordiale), 삼국협상(Triple Entente)이 성립되어 진영이 점차 고정되었다.
현대적인 군비경쟁(arms race)도 격화됐다. 독일은 영국 해군(Royal Navy)를 능가하려 했지만, HMS Dreadnought의 등장 등으로 실패했고, 이 과정에서 대륙 국가들은 대규모로 군대를 증강하며 긴장감이 최고조에 달했다.
발칸 반도의 위기와 전쟁 촉발
발칸 반도는 오스만 제국 쇠퇴를 틈타 러시아·오스트리아-헝가리·세르비아 등 열강의 이해와 민족주의(nationalism)가 충돌하는 ‘유럽의 화약고(powder keg of Europe)’였다. 1914년 6월 28일, 사라예보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황태자 부부 암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한 달간의 7월 위기(July Crisis) 끝에 7월 28일 오스트리아-헝가리가 세르비아에 선전포고하면서 전쟁이 시작됐다.
각국의 동맹 체계로 촉발된 전쟁은 순식간에 확대됐다. 러시아가 세르비아를 지원하자 독일은 러시아와 프랑스에 선전포고, 독일의 벨기에 침공으로 영국도 참전했다.
전쟁의 전개: 세계적 확산과 주요 전장
서부 전선과 참호전
독일은 슐리펜 계획(Schlieffen Plan) 하에 프랑스를 단기간에 제압하려 했으나, 마른 전투 이후 참호전이 고착되어 전쟁은 장기화됐다. 전선은 영국 해협에서 스위스까지 이어지는 참호선이 형성되었고, 베르됭·솜 전투 등에서 막대한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양측 모두 신무기와 새로운 전술을 시도했지만, 교착 상태는 쉽게 풀리지 않았다.
동부 전선과 주변 전장
동부 전선에서는 러시아가 오스트리아-헝가리와 독일을 압박했으나, 초기 성공 뒤 반격에 밀려 러시아군은 막대한 손실을 입었다. 발칸, 이탈리아·중동·아프리카 및 태평양 일대에서도 전투가 벌어졌고, 식민지 병력·인도가 대거 동원됐다.
중동에서는 오스만 제국이 연합군과 맞섰고, 아르메니아 대학살(Armenian genocide)과 같은 인종말살 정책도 자행됐다. 전쟁은 아시아·아프리카로도 파급되어 여러 전역에서 충돌이 지속됐다.
해전과 경제 봉쇄
영국은 대규모 해상 봉쇄를 단행했고, 독일은 유보트(U-boat)에 의한 무차별 잠수함전(unrestricted submarine warfare)으로 반격했다. 해양에서의 충돌은 전쟁의 성격을 한층 전지구적으로 만들었으며, 유보트 위협은 미국 참전의 계기가 됐다.
전쟁의 전환점과 종결
1917년, 러시아 제국은 혁명으로 인해 조기 탈락했고, 미국이 연합국으로 참전하면서 전세가 역전됐다. 1918년 독일군의 마지막 대공세가 좌절된 이후, 연합군의 백일전역(Hundred Days Offensive)으로 중앙동맹국 진영이 차례로 붕괴했다. 불가리아, 오스만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등이 연이어 항복했고, 독일에서는 혁명과 빌헬름 2세의 퇴위가 이어졌다. 1918년 11월 11일, 정전협정이 체결되며 전쟁은 종결됐다.
전쟁 이후의 변화와 유산
새로운 국경과 신생국
파리강화회의(Paris Peace Conference)에서 설정된 베르사유 조약(Treaty of Versailles) 등 평화조약들은 독일·오스트리아-헝가리·오스만·러시아 제국의 해체를 가져왔다.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유고슬라비아,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핀란드, 그리고 중동의 터키, 헤자즈, 예멘 등의 신생국이 등장했다. 베르사유 조약의 ‘전쟁책임조항(War Guilt Clause, Article 231)’은 독일 사회에 깊은 상처와 분노를 남겼다.
막대한 인적·사회적 피해
제1차 세계대전은 군인 약 1,000만 명, 민간인 1,000만 명에 달하는 사망자를 초래했다. 전쟁 중 스페인독감(Spanish flu) 대유행으로 추가적으로 수천만 명이 목숨을 잃었고, 대규모 인구 이동과 인플레이션, 식량 부족, 사회 혼란이 각국을 휩쓸었다.
전쟁과 사회의 변화
전시 노동력 부족으로 여성의 경제적 역할이 확대되었으며, 일부국에선 여성 참정권(suffrage)이 현실이 됐다. 전후, 유럽 각국은 혁명, 사회주의·민족주의 운동이 확산됐다. 전쟁의 후유증과 감정은 파시즘(fascism)과 나치즘(nazism) 부상, 제2차 세계대전의 씨앗이 되었다.
기술·전술의 진보
전쟁은 항공기, 탱크, 화학무기, 무선통신 등 신기술의 실전 적용을 촉진시켰고, 현대전(modern warfare)의 전형을 보여주었다. 참전 병사들의 귀환 이후, 귀향병 협회(legion)가 결성되어 공동의 경험을 공유했다.
비판과 기억: 전쟁의 평가와 사회적 논의
전쟁은 당대 각국에서 국민주의(nationalism)적 열기와 반전운동, 반체제 운동이 교차했다. 병적 애국심은 대규모 모금활동과 사회 통제를 유발했으며, 반전 운동가 및 양심적 병역거부자(conscientious objector)들은 박해와 감시의 대상이 됐다. 이후 이 전쟁은 “과연 정당한 전쟁이었는가?”라는 논쟁의 대상이 되었고, 단순한 승패 이상의 정치·경제·사회적 함의를 남겼다.
기억과 기념은 전후 여러 나라의 공공 기념비, 묘지, 추도 행사로 이어졌다. 21세기 들어 세계 각국은 제1차 세계대전 100주년을 맞아 다양한 방식으로 이 전쟁의 교훈과 상처를 되새기고 있다. 전장의 미처 폭발하지 않은 탄약이 여전히 위험을 남기는 등, 물리적·정신적 여파는 한 세기를 넘어 지속되고 있다.
본 포스트는 Wikipedia의 문서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