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배경, 전개, 국제 영향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배경, 전개, 국제 영향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배경과 전개
2014년 2월, 우크라이나의 유로마이단(Евромайдан) 시위가 혁명으로 번지며 친러시아 성향의 대통령 야누코비치가 축출되었다. 이 혼란을 틈타 러시아는 크림반도(Крым)를 무력 점거하고, 논란의 소지가 많은 주민투표를 거쳐 크림을 자국 영토로 병합했다. 동시에 동부 도네츠크(Донецьк)와 루한스크(Луганськ)에서는 러시아의 지원을 받은 무장세력이 자체 독립공화국 수립을 선언하며, 우크라이나 군과 본격적인 전투가 시작됐다.
갈등의 심화: 전쟁의 양상 변화
2014년부터 이어진 도네츠크 및 루한스크 지역 분쟁은 러시아의 비공식적 군사 개입, 무장 조직을 통한 하이브리드전(hybrid warfare), 정보전(information warfare), 그리고 반복되는 사이버공격(cyberwarfare)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러시아는 본국 군인을 '자원봉사자'로 위장하여 투입하고, 무기와 장비, 인력 지원을 지속했다. 2015년 '민스크 II 협정(Minsk II)'이 체결되었으나, 전투 중단은 오래가지 못했고 참호전형 교착 상태가 이어졌다.
2018년 이후 러시아는 도네츠크·루한스크 지역 주민들에게 대규모로 내부여권(러시아 국적)을 발급하며 사실상 영향력을 확대했다.
2022년 전면 침공과 국제적 파장
2022년 2월,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국경 인근에 대규모 군사력을 집결시킨 뒤, "특별 군사작전(special military operation)"을 선포하고 북부, 동부, 남부 3면에서 전면 침공을 개시했다. 이 군사행동은 우크라이나 영토 전체를 위협하는 대규모 전쟁으로 비화하여 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에서 가장 큰 규모의 분쟁으로 기록됐다.
러시아는 이번 침공을 "비무장화(demilitarize), 비나치화(denazify)"라는 명분으로 포장했으나, 국제사회는 이를 명백한 침략전쟁(war of aggression)이라고 규정하며 강력히 비난했다. 수많은 국가가 러시아에 경제 제재(sanctions)를 가하고, 우크라이나에 인도적·군사 원조를 제공했다.
주요 전투와 국면 전환
2022년 4월, 러시아군은 수도 키이우(Київ) 점령 시도에 실패한 뒤, 동부와 남부로 주력을 전환하였다. 이에 맞서 8월부터 우크라이나군은 북동부와 남부에서 반격에 성공, 11월에는 헤르손(Херсон) 탈환에도 성공하였다. 러시아는 9월, 부분 점거 중인 4개 주(도네츠크, 루한스크, 자포리자(Запоріжжя), 헤르손) 병합을 선언했으나, 세계 거의 모든 국가는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2023년 이후 전선은 교착 상태로 굳어졌으며, 드론과 미사일을 활용한 양국의 공격이 빈번해졌다. 2024년 8월, 우크라이나 군이 국경을 넘어 쿠르스크(Курск) 지역에 진입해 러시아 영토 일부를 점령하기도 했다.
인적·경제적 피해와 국제 반응
이 장기화된 전쟁으로 인해 양국 군인과 민간인 사상자는 수십만 명에 달하며, 수백만 명이 난민이 되었다. 도시와 인프라가 대대적으로 파괴되었으며, 경제적 손실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를 넘어 유럽과 세계 경제에 광범위한 파장을 미쳤다.
수많은 군사적·인도적 지원이 우크라이나에 집중되었고, 러시아 역시 이란·북한 등 우방으로부터 군사장비를 조달했다. 중국과 일부 국가와는 이른바 '우회 무역'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전쟁 범죄와 인권 침해
2014년 이후 민간인 학살(massacre), 고문, 성폭력 등 심각한 인권침해가 논란이 되었으며, 특히 러시아의 침공 이후 인도주의적 참극이 크게 부각되었다. 부차(Буча) 학살 등 잔혹 행위에 대해 국제형사재판소(ICC)는 전범 수사와 관련자 체포영장을 발부했다. 러시아군의 민간시설·의료시설에 대한 조직적 공격, 점령지 내 주민의 억류·고문·강제 이주 및 아동의 본국 동화 정책도 반복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우크라이나 측의 포로 학대 등 혐의도 있다.
자원, 산업, 지정학적 이해관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배경에는 확보하려는 전략자원(석유·가스·리튬(lithium) 등), 농산물, 산업기반에 대한 경제적 동기도 존재한다. 2010년대 유럽의 에너지 전환(energy transition)과 우크라이나-유럽의 그린딜(Green Deal) 합의, 그리고 우크라이나 내 원재료 매장량은 러시아의 전략적 계산에 중대한 변수로 작용했다. 유럽이 기존 러시아산 에너지 의존을 탈피하고자 하는 과정 속에서, 나토(NATO) 동진과 우크라이나의 친서방 움직임, 러시아의 체제 위험 인식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음을 보여준다.
전쟁의 정보전과 정체성 논쟁
전쟁 내내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에 '나치즘(neo-Nazism)' 프레임을 씌우며 사회적 정당성을 주입하는 거대한 정보전(disinformation campaign)을 전개했다. 트롤공장, 사이버공격, 허위 보도 및 검열 등 다양한 수단이 동원되었다. 우크라이나는 이에 맞서 서방의 지원과 자체 역정보, 나아가 공공 외교로 대응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국가 정체성(national identity)와 언어, 역사 해석을 둘러싼 근본적 논쟁이 격화됐다.
종교, 외교, 국제법과 법적 쟁점
러시아 정교회(Russian Orthodox Church)는 전쟁에 적극 협조하며 '성전(holy war)'이란 명분을 내세웠다. 전쟁은 러시아-나토 대결 구도로 발전하며, 국경 지역 갈등이 반복되고 나토 가입 국가(핀란드 등)가 확대되며 안보 구도가 크게 재편됐다.
러시아의 침공은 유엔헌장(UN Charter)을 위반한 것으로 평가되어 국제법상 불법적 '침략행위(crime of aggression)'로 규정된다. 유엔, 유럽연합, 미국 및 다수 국가와 국제기구가 제재와 규탄 결의안을 이어가고 있다.
결론: 장기화와 전망
이 전쟁은 우크라이나의 민주적 독립성과 유럽 안보 질서의 중대 변곡점이다. 전투 교착과 외부 지원 지속, 그리고 소모적 경제·사회적 비용이 나날이 누적되는 가운데, 양측 모두 단기적 승리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지정학적, 경제적, 정보적 전장 전체에 걸친 첨예한 대립은 유럽과 세계 질서의 향방에도 오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본 포스트는 Wikipedia의 문서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