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원인, 전개, 국제적 영향 정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원인, 전개, 국제적 영향 정리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2022년 이후 유럽 최대 분쟁의 흐름과 의미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대규모 군사 침공은 2022년 2월 24일 개전과 함께 세계 안보 질서의 중대한 균열로 기록되었다. 본 문서는 전쟁의 기원, 전개 과정, 주요 전투, 국제적 반응, 인도적·경제적 여파와 장기적 함의를 구조적으로 재정리한다.
배경: 소련 해체 이후의 갈등과 중첩된 이해관계
1991년 소련 해체 이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한동안 안정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1994년 우크라이나는 핵무기를 포기하는 대가로 자국의 주권과 영토 보장을 약속받는 부다페스트 각서를 체결했다. 그러나 2000년대 중후반, 러시아는 군사력을 동원한 외교정책(예: 2008년 조지아 침공)을 시도하면서 주변국들에 대한 야망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2013년, 우크라이나 의회가 유럽연합(EU)과의 협정 체결을 추진하자 러시아는 강한 경제적 압력을 행사했고, 대통령의 친러시아 노선 복귀 결정은 '유로마이단(Евромайдан)'으로 대표되는 대규모 시위를 촉발시켰다. 이는 2014년 '존엄 혁명(Revolution of Dignity)'으로 발전하여 대통령 축출로 이어졌고, 러시아는 곧장 크림반도(Крым) 점령 및 합병(annexation)에 돌입했다. 이후 동부 도네츠크(Донецьк)와 루한스크(Луганськ)에서는 친러 분리주의 움직임이 확산됐고, 이른바 '돈바스(Донбас) 전쟁'이 시작됐다.
러시아의 개입과 분쟁은 경제적 욕구(예: 동부 지역 자원 확보), '노보로시야(Новороссия)'라는 제국적 야망, 서방의 확장 견제 등 복합적 요인과 맞물려 있었다. 2014~2015년 민스크 합의(Minsk Agreement) 등은 지속적으로 파기되었으며, 서방의 미온적인 대응은 러시아 안보 엘리트들이 추가 무력 사용도 가능하다고 판단하게 만들었다.
침공의 전개: 군사 작전과 주요 전투의 흐름
전면 침공과 초기 교전 (2022.2–4)
러시아는 2022년 2월 말, “특별군사작전(special military operation)”을 명분으로 북부(벨라루스 경유), 동부(돈바스, 하르키우(Харків) 방향), 남부(크림반도 경유) 등 다방면에서 대규모 공습 및 지상군 투입을 개시했다. 키이우(Київ) 점령 시도는 우크라이나군 및 시민의 강고한 저항, 물류 문제로 실패했고, 부차(Буча) 등에서는 러시아군의 민간인 학살이 드러났다.
남부에서는 마리우폴(Маріуполь)과 헤르손(Херсон) 점령, 자포리자 원전 점거 등 전략적 거점 확보가 병행됐다. 동부 전선에서 격렬한 전투가 이어졌으나 전황이 장기화하면서 러시아는 점차 공세 방향을 재조정하게 된다.
반격과 점령지 변화 (2022.4–2023)
2022년 봄, 러시아군은 북부에서 철수하고, 동남부(돈바스)와 남부에 집중하는 전술적 재배치를 단행했다. 같은 해 9~11월, 우크라이나군은 하르키우와 헤르손에서 대규모 반격전을 성과적으로 전개해 일부 영토를 탈환했다. 이에 맞서 러시아는 도네츠크, 루한스크, 헤르손, 자포리자 등 점거 지역에 합병을 선언하는 주민투표를 강행했으나, 국제사회는 이를 불법행위로 간주했다.
겨울 이후 러시아군은 바흐무트(Бахмут) 등 동부 요충지 점령에 집중하며 초토화전술(artillery war)로 전환했다. 2023년에는 우크라이나가 남부 및 동부 곳곳에서 다양한 반격을 시도했으나, 대규모 진전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전선의 교착과 분산(2023 후반~2025 초)
2024년에는 러시아가 다시 동부·남부 진격에 성공하며 도네츠크, 크라스노호리우카(Красногорівка), 부흘레다르(Вугледар) 등의 도시와 전략적 거점을 점차 확보했다. 동시에 우크라이나는 쿠르스크(Kursk) 등 러시아 국경 내로 공세를 확대해 일시적으로나마 전선을 다변화했으나, 자원 및 인력 부족으로 수세에 몰렸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국제적 대응과 외부 세력 개입
우크라이나 지원
미국, 유럽연합 등 서방국은 대규모 군사·재정·인도적 지원을 지속했다. 미국은 역대 최대 규모의 군사지원을 제공했고, 유럽연합은 잠정적 난민 보호, 무기 공여를 조율했다. 대부분의 서방국은 직접 개입을 배제했으나 2024년 이후 프랑스 등에서는 조심스러운 확전 논의도 제기됐다.
러시아 측 지원세력
벨라루스는 병참 및 공격 기지 역할을 하며 러시아에 적극적으로 협력했다. 이란은 무인기(드론), 미사일 등 군수물자와 전문가를 공급했고, 북한은 단거리 미사일·포탄, 그리고 2024년부터는 전투병 파병 논란까지 일으켰다. 중국·인도산 부품 및 군수 지원도 간접적 경로를 통해 지속되고 있다.
제재와 외교적 고립
국제사회는 러시아·연계국에 대대적 경제·금융 제재를 가했고, 외교적 고립을 심화했다. 유엔·EU·G7 등은 수차례 규탄 결의, 무기 수출 통제, 금융망(SWIFT) 퇴출, 에너지·원자재 수출 제한 등을 실행했다. 다만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 일부, 인도·중국 등은 중립 또는 친러 성향을 보여 갈등의 복잡성을 더했다.
인도적·경제적 영향과 전쟁 범죄
인명·피해 규모
2025년 기준, 우크라이나 영토 약 20%가 러시아에 점령되어 있으며 수십만 명이 사망·부상했다. 민간인 사망자와 실종, 난민 및 국내실향민(약 1,500만 명 추정)은 2차 세계대전 이래 유럽 최대 규모를 보이고 있다.
민간인 대상 범죄와 인권 침해
러시아군은 민간인 학살, 인질, 고문, 성폭력, 강제이주, 아동 강제 이송 등 다양한 전쟁범죄를 저질러 국제형사재판소(ICC) 등에서 기소, 조사 대상이 되었다. 우크라이나 측의 포로 학대도 일부 사례가 보고됐으나, 규모와 조직적 체계성에서 근본적 차이가 존재한다.
경제·환경적 충격
전쟁은 우크라이나 GDP를 30% 가까이 감소시켰고, 빈곤층 증가, 인프라 파괴, 주요 산업(곡물, 원자재, 에너지) 마비로 이어졌다. 러시아 역시 전례 없는 물가상승, 인구 유출, 장기적 재정 부담을 겪고 있다. 흑해 곡물 수출 감소는 전 세계 식량 위기를 부추겼고, 폭격과 점령지 환경오염, 삼림·토양 훼손 등은 '에코사이드(ecocide)'로 규정될 심각한 환경 피해도 동반했다.
전쟁의 정치·사회·문화적 여파와 장기 전망
인구구조 변화와 난민 문제
우크라이나 내 인구 감소, 두뇌 유출(brain drain), 여성·청년 중심의 난민화 현상이 심화되었다. 전쟁 스트레스에 의한 출생률 감소, 경제 활동 인구의 이탈 등은 국가 재건과 사회 복지 체계에 중대한 타격을 입히고 있다. 러시아도 고학력층을 중심으로 대규모 이주, 남성 인구 손실, 출산 장려 등 인구 악화 현상을 겪고 있다.
문화유산·정체성 위기
러시아의 조직적인 문화재 파괴 및 탈취, 언어·교육 말살 정책은 국제사회에서 ‘문화 집단학살(cultural genocide)’로 지목된다. 유네스코 등은 수백 개 문화·종교시설 파괴를 확인했고, 우크라이나 정부는 정체성 수호와 국제협력 강화를 호소하고 있다.
평화협상과 국제법적 쟁점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평화협상은 2022년 초반 몇 차례 시도됐으나, 양측의 국지적 요구(영토, 안전보장, 처벌 등)와 전황 변화에 따라 중단됐다. 러시아는 점령지 조기 인정과 나토 불가입을 주장하지만, 우크라이나와 다수서방 국가는 ‘무력반환 불용’ 원칙을 고수한다. ICC는 푸틴 대통령 등에게 아동납치 등으로 체포영장을 발부했고, 전후 책임론과 미래 전범 재판이 남아 있다.
결론: 전쟁의 의미와 미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21세기 유럽의 질서를 근본적으로 뒤흔든 사건이다. 현대 무력 분쟁의 양상과 사회적·문화적·경제적 파장을 동시에 드러내며, 국제법·주권 존중·집단안보 체계의 취약성을 일깨웠다. 전쟁은 여전히 진행 중이며, 장기화될수록 희생과 연결된 문제들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단기적 전황의 유불리를 넘어, 인류적 가치와 법적 질서 확립, 전후 재건 및 화해의 가능성이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고 있다.
본 포스트는 Wikipedia의 문서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Russian_invasion_of_Ukra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