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총생산(GDP)과 국제 경제 지표의 이해 및 활용
국내총생산(GDP)과 국제 경제 지표의 이해 및 활용
국내총생산(GDP)의 개념 및 활용
국내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 GDP)은 한 국가가 일정 기간 동안 최종 생산한 재화와 서비스의 시장 가치로 정의된다. 많은 국가들은 금융 및 통계 기관에서 제시하는 명목 GDP(nominal GDP) 추정치를 기준으로 경제 규모를 비교한다. 이때 명목 GDP는 시장 환율 혹은 정부 공인 환율로 산출되며, 각국의 생활비(cost of living) 차이를 고려하지 않는다. 따라서 환율 변동이 심할 경우, 실제로 국민의 실제 생활 수준에 큰 변화가 없더라도 순위가 변동될 수 있다.
국민 생활 수준 비교의 다양한 지표
국가 간 경제력을 비교할 때는 명목 GDP 외에도 구매력 평가(Purchasing Power Parity, PPP)를 활용한다. PPP는 생활비 및 물가 차이를 보정해 국가 간 실질 비교를 가능하게 한다. 또, 1인당 명목 GDP나 1인당 PPP GDP 등 다양한 지표가 국민들의 생활 수준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1인당 PPP 수치는 1인당 명목 GDP에 비해 국가 간 격차가 덜하다.
세계 경제 순위의 변동과 주요 사례
국가 경제 순위는 시대에 따라 크게 변해왔다. 예를 들어, 미국은 1916년경 영국 제국(British Empire)의 경제력을 추월하였다. 이보다 더 과거에는 영국이 청나라(Qing dynasty)를 넘어섰다. 최근의 대표적 변화로는 중국의 사회주의 시장경제(socialist market economy) 도입이 있다. 1978년 이후 중국 정부는 통제된 민영화(privatisation)와 규제 완화(deregulation)를 통해 경제를 개방했고, 그 결과 1978년 세계 9위였던 중국의 GDP 순위는 2010년에는 2위에 올랐다. 같은 기간 중국의 세계 명목 GDP 비중은 2%에서 18%로 크게 상승했다.
국제기구의 세계 경제 통계 집계 방식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World Bank), 유엔통계국(United Nations Statistics Division) 등은 국가별 GDP 데이터를 각각의 방법으로 산출하여 발표한다. IMF는 전년도 확정치와 올해 추정치를 매년 4월과 10월 두 차례에 걸쳐 공표한다. 이러한 국제기구의 자료에는 주권국가뿐 아니라 IMF 회원국이 아닌 영토, 국제적 승인 국가가 제한된 지역(예: 코소보, 대만)도 포함된다.
표와 국가별 정보 연결 방식
GDP 표에서는 IMF 회원국과 비회원 주권국, 비주권 지역, 국제적 승인 미인정 국가 등이 함께 순위에 들어가 있다. 각 국가 및 지역 이름은 해당국의 GDP 또는 경제와 관련된 자세한 정보로 연결된다.
본 포스트는 Wikipedia의 문서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GDP_(nomi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