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포뮬러 원 월드 챔피언십: 팀, 드라이버, 일정 및 규정 변화
2024 포뮬러 원 월드 챔피언십: 팀, 드라이버, 일정 및 규정 변화
2024 FIA 포뮬러 원 월드 챔피언십 개요
2024년 FIA 포뮬러 원(Formula One) 월드 챔피언십은 세계 각국에서 개최된 24번의 그랑프리(Grand Prix)로 구성된 대회로, 국제 자동차 연맹(FIA)에 의해 최상위 오픈 휠 레이싱 대회로 공식 인정받았다. 이 시즌은 시리즈 역사상 75번째를 맞이했으며, 참가 드라이버와 팀들은 월드 드라이버 챔피언(World Drivers' Champion), 월드 컨스트럭터 챔피언(World Constructors' Champion) 타이틀을 놓고 경합하였다.
팀과 드라이버
2024년 시즌에는 모든 팀이 피렐리(Pirelli) 타이어를 장착했다. 최소 2명의 드라이버가 각각 2대의 필수 차량에 배정되어야 했으며, 각 팀은 시즌 중 두 번의 프리 프랙티스 세션에 경험이 적은 드라이버를 기용해야 했다. 시즌 중 여러 자리 변화와 계약의 변동이 있었으나, 시즌 개시 전년도 마지막 라운드의 드라이버-팀 조합이 역사상 처음으로 그대로 유지되어 개막전을 맞았다.
알파 로메오(Alfa Romeo)는 2023년을 끝으로 사브(Sauber)와의 파트너십을 종료하며 F1에서 철수했고, 사브는 2026년 오디(Audi) 공식 팀 전환에 앞서 '스테이크 F1 팀 킥 사브(Stake F1 Team Kick Sauber)'로 재탄생했다. 알파타우리(AlphaTauri)는 'RB'로 리브랜딩하면서 영국 밀턴케인즈(Milton Keynes)로 에어로다이내믹 업무를 이전하는 등 경영 구조에 수정이 이루어졌다.
운전자 측면에서는 알파타우리(현 RB)만이 시즌 중 니크 데 브리스(Nyck de Vries)를 다니엘 리카도(Daniel Ricciardo)로 교체했으며, 페라리(Ferrari), 하스(Haas), 윌리엄스(Williams), RB 등에서 임시 또는 대체 드라이버 기용이 여럿 등장했다. 특히 올리버 베어만(Oliver Bearman)과 프랑코 콜라핀토(Franco Colapinto), 잭 두한(Jack Doohan), 리암 로슨(Liam Lawson) 등 여러 신인이나 리저브 드라이버들이 공식 데뷔전을 치렀다.
경기 일정과 주요 변화
2024년 시즌 캘린더는 24개 그랑프리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스프린트(Sprint) 형식은 중국, 마이애미, 오스트리아, 미국, 상파울로(브라질), 카타르에서 채택되었다. 중국 그랑프리는 코로나19로 인한 중단 이후 5년 만에 재개되었고, 이전해 홍수를 이유로 취소되었던 에밀리아 로마냐(Emilia Romagna) GP도 복귀했다. 일본 그랑프리는 전통적인 10월 일정에서 4월로 이동하며, 페스티벌 경기를 지역별로 묶는 친환경적 일정 조정 노력이 이어졌다.
기술 및 스포츠 규정 변경
극한의 기온으로 인한 운전자 보호를 위해 2023년 카타르 GP 이후 차량에 냉각용 스쿱(scoop) 설치가 허용되었다. 2026년 도입 예정인 대규모 기술 레귤레이션 변경을 앞두고, 윈드터널 및 CFD 연구는 2025년 1월 1일부터 시행 가능하도록 제한되었으나, 기타 예비 연구는 허용되었다.
타이어 정책에서 2023시즌 한정적 시도였던 '대체 타이어 배정(alternative tyre allocation)'은 폐기, 드라이버당 주말 기본 할당이 다시 13세트(스프린트 주말은 12세트)로 환원되었다. 기존 C0 드라이 타이어 역시 라인업에서 제외되었다.
스포츠 레귤레이션에서는 항소 마감 시한이 14일에서 4일로 단축되었고, 무분별한 항소를 억제하기 위한 수수료가 도입되었다. 스프린트 주말은 연습-스프린트예선-스프린트-예선-본경기 방식으로 재구성되었으며, 두 차례의 '파크 페르메(parc fermé)' 기간이 적용되었다. DRS 규정은 스타트 혹은 리스타트 1랩 후 사용을 허용해, 초반 추월 유도 효과를 증대시키고자 했다.
파워 유닛 관련 요소 허용 개수는 3개에서 4개로 늘었으며, 내구시험 등으로 인한 페널티 빈도 완화 효과를 노렸다. 퀄리파잉 중 무리한 저속주행을 방지하기 위한 최대 랩타임 규정은 인-랩 및 아웃-랩에도 적용되었다.
트랙 한계를 넘어 부당 추월로 이득을 본 경우의 페널티는 5초에서 10초로 상향되어, 불법적 우위 확보를 억제했다. 스타트 관련 규정, 스프린트 레이스에서 이월된 페널티 적용, 테스트카 규정 등도 세분화, 명료화되었다.
시즌 주요 전개
프리시즌 테스트는 바레인에서 개최되었고,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Carlos Sainz Jr.)가 페라리로 가장 빠른 기록을 세웠다. 개막전에서 레드불(Red Bull)이 원투피니시를 장식했고, 맥스 페르스타펜(Max Verstappen)이 첫 경기부터 우위를 보였다.
이후 사우디 그랑프리에서는 사인츠가 맹장염 진단으로 결장하여 베어만이 대타로 깜짝 데뷔를 하였고, 오스트레일리아 GP에서는 윌리엄스가 사고로 인해 한 대만 출전하는 이례적 상황도 연출됐다. 스프린트 포맷의 첫 주행인 중국에서는 해밀턴이 스프린트 선두로 나서기도 했으나, 역시 페르스타펜이 본경기를 지배했다.
시즌 중반 맥라렌의 반등 및, 메르세데스(Mercedes)와 페라리의 꾸준한 활약으로 판도에 변화가 생겼으며, 잦은 우승자 교체와 득점 격차 변화가 이어졌다. 노리스(Norris)는 마이애미에서 첫 승을 거두는 등 경기력에 크게 도약하였고, 해밀턴은 오랜만에 자국 경기에서 정상에 섰다.
후반부로 접어들며 Piastri, Russell, Leclerc 등 다양한 우승자가 등장했으며, 신인 콜라핀토는 윌리엄스 최초로 출전해 포인트를 획득한 아르헨티나 드라이버로 기록되었다. 결과적으로 라스베이거스 GP에서는 페르스타펜이 4연속 드라이버 챔피언십을 확정지었고, 맥라렌은 아부다비 GP에서 26년 만에 컨스트럭터 타이틀 탈환에 성공했다.
점수 시스템 및 주요 기록
포인트는 그랑프리 기준 상위 10위, 스프린트 기준 상위 8위에게 분배되고, 본경기 상위 10위에 한해서는 패스티스트 랩(fastest lap) 보너스도 지급된다. 동점일 경우 승수, 2위 횟수 등 순차적으로 비교된다. 완주하지 않은 경우라도 90% 이상 거리 소화 시 '분류(classified)' 처리됐다.
이 시즌은 다양한 신인 등장, 접전 양상, 규정 변화, 그리고 맥라렌의 오랜만의 우위 등으로 F1 역사에 새로운 장을 열었다.
본 포스트는 Wikipedia의 문서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2024_Formula_One_World_Champion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