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 개요와 주요 쟁점 분석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 개요와 주요 쟁점 분석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 개요
2020년 11월 3일, 미국은 대선(United States presidential election)을 실시했다. 민주당(Democratic Party)을 대표한 조 바이든(Joe Biden)과 카말라 해리스(Kamala Harris) 후보가, 현직 공화당(Republican Party) 대통령인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와 부통령 마이크 펜스(Mike Pence)를 꺾고 승리했다. 유권자 투표율은 1900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고, 바이든은 미국 대선 사상 최다 득표(8,100만 표 이상)를 획득했다.
주요 후보와 정당별 공천 과정
민주당 경선에는 역대 가장 많은 후보가 경쟁하였으며, 바이든이 최종적으로 대통령 후보 자리를 확보했다. 그의 러닝메이트로 해리스가 지명되며, 해리스는 대형 정치 정당의 부통령 후보 중 최초의 아프리카계·아시아계 미국인, 그리고 세 번째 여성 후보가 되었다. 공화당에서는 현직 트럼프가 무난히 재지명됐다. 제3정당 후보로는 자유당(Libertarian Party)의 조 조겐슨(Jo Jorgensen), 녹색당(Green Party)의 하위 호킨스(Howie Hawkins)가 각각 지명되어 출마했다.
선거와 COVID-19 팬데믹
2020년 대선의 핵심 쟁점 중 하나는 코로나19(COVID-19) 팬데믹의 공중보건과 경제적 충격이었다. 이에 따라 사상 최대 규모의 조기투표 및 우편투표(mail-in voting)가 이뤄졌고, 개표에 상당한 지연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일부 경합주에서 승자 예측이 며칠간 보류되었고, 바이든과 해리스의 당선 확정은 11월 7일 아침에서야 발표됐다.
주요 쟁점
트럼프의 팬데믹 대응, 조지 플로이드 사건 이후 촉발된 시민 불안과 인종 문제(civil unrest, racial unrest), 대법관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Ruth Bader Ginsburg) 사망에 따른 후임 인선, 오바마케어(Affordable Care Act) 존폐 등이 주된 사회·정치 쟁점으로 부각됐다. 후보 간 환경(environment), 경제(economy), 건강보험(health care) 정책 차이도 뚜렷했다.
선거 결과와 결정적 주
바이든은 미시간, 펜실베이니아, 위스콘신 등 이른바 러스트 벨트(Rust Belt) 경합주를 포함해 총 306명의 선거인단(electoral votes)을 확보했다. 트럼프는 232명의 선거인단을 얻었다. 이번 선거에서는 조지아, 애리조나 등 일부 전통적 공화당 우위주의 정치 지형 변화도 확인됐다. 각 후보 간의 표 차는 일부 주에서 수만 표 이내의 근소한 차로 결정됐다.
부정선거 의혹과 검증
트럼프와 공화당 일각은 대선 과정에서 대규모 부정선거(electoral fraud)가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모든 주의 선거 관련 당국과 법무장관(Attorney General)은 폭넓은 부정이나 중대한 오류의 증거를 찾지 못했다. 수십 건의 소송도 법원에서 모두 기각되거나 각하됐다.
공화당 지지층 다수는 결과를 불신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트럼프는 공식적으로 패배를 인정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결과 번복을 시도했다. 트럼프 측은 의회에 '가짜 선거인단(fake electors)' 제출, 부정선거 주장, 개표 심사, 주 의회 압박 등 다양한 전략을 동원했으나 실패했다.
1월 6일 국회의사당 사건과 그 여파
선거 결과 절차가 진행 중이던 2021년 1월 6일, 트럼프 지지자들은 트럼프의 선동 아래 의사당(Capitol)을 습격했고, 이로 인해 개표 결과 인증 절차가 일시 중단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이 사건 이후 트럼프는 두 번째 탄핵소추(impeachment)를 당했으나 상원에서는 유죄가 성립되지 않았다.
선거 후 분석
이번 선거는 미국 사회의 정치 양극화와 도시-농촌의 분열이 심화됨을 보여주었다. 바이든은 대도시와 소수인종, 젊은 층에서 우세를 보였고, 트럼프는 백인, 특히 학위가 없는 남성 유권자와 농촌 지역에서 강세를 유지했다. 각 소수인종 집단 내부에서도 출신 국가, 세대에 따라 투표 성향이 달랐다.
여론조사는 전체적으로 바이든의 우세를 예측했으나, 여러 중요주에서 실제 결과와 오차가 났다. 우편투표 비중 확대와 일부 유권자 그룹의 조사 불응 등이 원인으로 지목됐다.
선거의 후속 대응과 영향
선거 이후에도 대규모 재검표와 감사를 추진했으나 결과에 영향을 주지 못했다. 트럼프 지지자와 공화당 일각에서는 선거 관련 규제 강화 입법이 추진됐다. 한편, 바이든 정부가 공식 출범했고, 트럼프는 임기 종료 후 선거 결과에 계속 불복하며, 2024년 대선에서 재출마해 당선됨으로써 향후 미국 정치에 큰 파장을 남겼다.
본 포스트는 Wikipedia의 문서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2020_United_States_presidential_el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