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르브(마리): 동방 앗시리아 교회의 실크로드 선교 거점 도시
메르브(마리): 동방 앗시리아 교회의 실크로드 선교 거점 도시 연구
서론
동방 앗시리아 교회(Church of the East, 역사적으로 네스토리우스 교회로도 지칭됨)는 초기 기독교의 주요 분파 중 하나로, 로마 제국 및 비잔틴 제국의 동쪽 경계를 넘어 메소포타미아, 페르시아, 중앙아시아, 인도, 중국 등 광대한 지역으로 확장하며 독자적인 신학과 전례 전통을 발전시킨 교회입니다[1]. 이 교회의 놀라운 동방 확산 과정에서 실크로드 네트워크는 중요한 통로 역할을 했습니다[5]. 동방 앗시리아 교회는 9세기에서 14세기 사이 지리적 범위 면에서 세계 최대의 기독교 교파였으며, 지중해 연안부터 인도, 몽골 제국, 중앙아시아의 튀르크 부족, 당나라 시대 중국에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에 교구와 공동체를 설립했습니다[9].
본 고에서는 동방 앗시리아 교회의 실크로드 선교 역사에서 핵심적인 거점 도시였던 메르브(Merv, 현대 투르크메니스탄의 마리 Mary 시 인근)에 초점을 맞추어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메르브는 실크로드 상의 주요 오아시스 도시이자 동방 앗시리아 교회의 주요 중심지(대주교구 소재지)였음이 역사적, 고고학적으로 잘 입증된 곳입니다[5].
본 고에서는 참고 연구 자료에 기반하여, 명시된 구조에 따라 메르브(마리)의 역사적 배경, 지정학적 중요성, 문화 및 교역 활동, 동방 앗시리아 교회 존재 증거(교회 조직, 주요 인물, 고고학적 유물 등), 그리고 기독교 쇠퇴 요인을 면밀히 조사하고 분석할 것입니다. 최종적으로 동방 기독교 및 실크로드 선교 역사에서 메르브(마리)가 갖는 의미를 결론으로 제시하고자 합니다. 분석 범위는 제공된 연구 자료로 제한됩니다.
제1부: 메르브(마리) - 실크로드 상 동방 앗시리아 교회의 중심 도시
제1.1절: 시대적 배경: 왕조의 흥망과 도시의 변천 (셀레우코스 ~ 셀주크 시대)
메르브 오아시스의 인간 정주 역사는 기원전 3천년기 박트리아-마르기아나 고고학 문화권(BMAC)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아케메네스 왕조 시대(기원전 550-330년)에는 마르구(Margu)라는 이름으로 페르시아 제국의 중요한 사트라피(속주) 중 하나였습니다[11]. 키루스 대왕의 확장 정책의 일환으로 기원전 6세기에 첫 도시(에르크 칼라 Erk Kala)가 건설되었습니다[11]. 알렉산더 대왕의 방문은 전설로 남아있지만, 그의 사후 도시는 잠시 알렉산드리아로 불렸고, 이후 셀레우코스 제국의 마르기아나 속주 수도가 되었습니다[11]. 특히 셀레우코스 왕조의 안티오쿠스 1세 소테르(기원전 281-261년 재위)는 메르브를 대대적으로 확장하여 '안티오키아 마르기아나'(오늘날 기아우르 칼라 Gyaur Kala)라는 거대한 성곽 도시를 건설했으며, 기존의 에르크 칼라는 성채(citadel)로 전환되었습니다[18].
메르브의 역사를 관통하는 두드러진 특징은 셀레우코스 왕조부터 셀주크 제국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국의 통치 하에서도 행정, 군사, 교역의 중심지로서 지속적으로 중요한 지위를 유지했다는 점입니다[18]. 이는 단순히 특정 왕조의 선호도를 넘어, 카라쿰 사막 남쪽 가장자리의 비옥한 오아시스라는 지리적 이점과 실크로드 주요 교통로 상의 전략적 위치가 근본적인 가치를 제공했음을 시사합니다[18]. 이러한 지리적 중요성 때문에 후대의 정복자들은 메르브를 파괴하기보다는 점령하여 자신들의 동방 통치 거점으로 삼고자 했으며, 이는 도시가 여러 차례 재건되고 확장되는 결과로 이어졌습니다[18].
기원전 250년경부터 파르티아 제국, 그리고 서기 226년부터 사산 왕조 페르시아의 지배 하에서 메르브는 주요 행정, 군사, 교역 중심지로 발전했습니다[18]. 특히 사산 왕조는 거의 4세기 동안 직접 통치를 유지했으며, 이는 주화 연구를 통해 확인됩니다[11]. 이 시기 메르브는 제국의 북동쪽 국경 방어에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였습니다[14]. 그러나 5세기 후반부터 565년까지 에프탈(백훈족)의 점령으로 사산 왕조의 통치가 잠시 중단되기도 했습니다[11]. 마지막 사산 왕조 군주 야즈데게르드 3세는 아랍 군대에 쫓겨 메르브 인근으로 피신했다가 651년경 살해당했습니다[11].
7세기 중반 아랍 이슬람 칼리프 세력에 의해 정복된 후, 메르브는 우마이야 왕조 시대에 광대한 동부 영토인 호라산(Khurasan) 속주의 수도가 되었습니다[18]. 아랍인들은 메르브를 거점으로 중앙아시아로 세력을 확장했으며, 남부 이라크의 인구 과밀과 종교적, 정치적 불만을 해소하기 위해 5만 명의 아랍 군대를 이주시키는 등 대규모 식민화가 이루어졌습니다[18]. 740년대에는 아부 무슬림이 메르브를 장악하고 아바스 혁명의 시작을 선포했습니다[18]. 비록 아바스 왕조의 새로운 수도는 바그다드로 정해졌지만, 메르브는 호라산의 수도로서의 지위를 유지하며 동쪽의 광대한 영토를 관할하는 행정 중심지로 기능했습니다[18]. 이 시기 아부 무슬림의 명령으로 새로운 모스크가 건설되었고, 이는 이후 번성하는 도시 '마르브 알샤히잔'(위대한 메르브, 오늘날 술탄 칼라 Sultan Kala)의 중심이 되었습니다[18]. 술탄 칼라는 계획된 도로망과 수자원 관리 시스템을 갖춘 주요 도시 중심지로 발전했습니다[18]. 9세기 초에는 칼리프 알마문(al-Ma'mun)의 소재지이자 이슬람 칼리프 제국 전체의 수도 역할을 하기도 했습니다[14].
메르브는 11세기부터 13세기 초 셀주크 제국 시대에 절정기를 맞이했습니다. 셀주크 술탄국의 동부 수도로서 [18], 술탄 칼라는 성벽 내부 면적 약 340 헥타르, 북쪽과 남쪽 교외 지역 210 헥타르를 포함하여 당시 세계에서 가장 큰 도시 중 하나로 성장했습니다[18]. 항공 사진은 마잔 운하 양쪽으로 빽빽하게 들어선 주택가와 불규칙한 격자형 거리, 그리고 다수의 큰 사각형 구조물(주요 건물)들로 이루어진 밀집된 도시 경관을 보여줍니다[18]. 이 시기 메르브는 이슬람 과학과 문화의 주요 중심지로 부상하여 오마르 하이얌과 같은 유명한 시인, 수학자, 천문학자, 의사, 음악가들을 배출하고 유치했으며, 야쿠트 알하마위 같은 지리학자도 이곳에서 활동했습니다[6]. 12세기에는 궁전과 행정 건물을 포함하는 성곽화된 성채(샤흐리야르 아르크 Shahriyar Ark)가 건설되었습니다[18].
표 1: 메르브(마리) 통치 왕조 및 지위 (기원전 6세기 ~ 기원후 13세기)
왕조 | 대략적 시기 | 메르브 지위/역할 | 주요 발전 사항 |
---|---|---|---|
아케메네스 제국 | 기원전 6세기 ~ 4세기 | 마르구(Margu) 사트라피 중심지 | 에르크 칼라(Erk Kala) 건설 [11] |
셀레우코스 제국 | 기원전 4세기 후반 ~ 250년 | 확장된 도시 ('안티오키아 마르기아나'), 속주 수도 | 기아우르 칼라(Gyaur Kala) 건설, 에르크 칼라 성채화 [18] |
파르티아 제국 | 기원전 250년 ~ 서기 226년 | 주요 행정, 군사, 교역 중심지 | 기아우르 칼라 발전 지속 [18] |
사산 왕조 | 서기 226년 ~ 7세기 중반 | 주요 행정, 군사, 교역 중심지, 북동부 국경 요충지 | 도시 방어 시설 강화, 다양한 종교 공존 [18] |
우마이야/아바스조 | 7세기 중반 ~ 11세기 | 호라산 속주 수도, 아바스 혁명 발상지, 칼리프 제국 수도(일시적), 동부 영토 행정 중심지 | 샤임 칼라(Shaim Kala) 건설(추정), 술탄 칼라('마르브 알샤히잔') 개발 [18] |
셀주크 제국 | 11세기 ~ 13세기 초 | 제국 동부 수도, 세계적 대도시, 이슬람 학문/문화 중심지 ('위대한 메르브') | 술탄 칼라 최대 확장, 샤흐리야르 아르크 건설 [18] |
제1.2절: 실크로드 교차로로서의 메르브(마리): 문화와 무역물품의 교류
메르브의 지속적인 번영은 무르갑 강 삼각주에 형성된 비옥한 오아시스라는 지리적 이점에 크게 힘입었습니다[18]. 이 위치는 아프가니스탄 고원지대에서 카라쿰 저지대, 아무다리야 계곡, 화레즘 지역으로 이어지는 용이한 남동-북서 경로를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이란 고원 북서부에서 트란스옥시아나로 향하는 실크로드 경로의 자연스러운 경유지가 되었습니다[6]. 메르브는 카라쿰 사막을 통과하기 전후의 중요한 휴식처였으며, 이미 한나라 시대(기원전 206년 – 서기 220년)부터 상인들이 중국으로의 여정을 위해 신선한 말이나 낙타를 구할 수 있는 피난처 역할을 했습니다[6].
메르브는 단순한 경유지를 넘어 생산과 교역의 중심지였습니다.6 도시 성문 바로 밖에는 큰 시장이 형성되었고, 도자기 가마와 도시의 명성을 높인 도가니 강철(crucible steel)을 생산하는 제철용 용광로가 있었습니다[6]. 중세 메르브는 특히 직물 수출로 유명했습니다. 12세기 아랍 지리학자 알이드리시는 메르브에서 많은 양의 비단과 "매우 부드러운" 고급 면화("메르브 면화")가 생산된다고 기록했습니다[6]. 메르브 직물로 만든 예복과 터번은 당시 이슬람 세계 전역에서 인기가 있었습니다[6]. 또한 밀, 보리, 포도 등 농업 생산물과 맛있는 멜론도 유명했습니다[6]. 메르브의 2층 구조 카라반사라이(대상 숙소)는 인도 아대륙, 이라크, 중국 서부 등 다양한 지역에서 온 상인들이 교류하는 장소였습니다[6].
이러한 활발한 교역 활동은 메르브를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용광로로 만들었습니다. 페르시아인, 아랍인, 그리스인 등 다양한 민족 집단이 거주했으며[ 14], 카르헤 전투(기원전 53년)에서 포로가 된 1만 명의 로마 군인이 메르브로 이송되었다는 기록도 있습니다(비록 그들의 정착 여부는 불확실하지만)[11]. 도시는 예술적 성취로도 유명하여, 정교한 금속 공예품, 도자기, 유리 제품 등이 발굴되었습니다[7]. 특히 셀주크 시대에는 학문과 문화의 도시로 명성을 떨쳤습니다. 야쿠트 알하마위가 기록한 바에 따르면, 메르브에는 최소 10개의 중요한 도서관이 있었고, 그중 한 모스크 부속 도서관에는 약 12,000권의 장서가 보관되어 있었습니다[6]. 이러한 환경은 전 세계에서 학자, 시인, 과학자들을 끌어들였습니다[6].
메르브의 문화적 다양성은 종교적 다원주의로 이어졌습니다. 사산 왕조의 공식 종교인 조로아스터교 외에도 불교(기아우르 칼라의 불교 사원과 스투파, '메르브 항아리' 등 관련 유물 발굴) , 마니교 , 유대교 , 그리고 동방 앗시리아 교회가 공존했습니다[5,11,15]. 이러한 종교적 공존은, 적어도 특정 시기에는, 상당한 수준의 종교적 관용이 있었음을 시사합니다[5]. 실크로드는 조로아스터교, 마니교, 불교, 기독교, 이슬람교 등 다양한 신앙 체계가 전파되는 통로였으며[ 5], 메르브는 이러한 종교적 교류의 중요한 현장이었습니다.
제1.3절: 메르브(마리)의 지정학적 중요성
메르브의 지속적인 번영과 전략적 중요성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첫째, 무르갑 강 삼각주에 위치한 비옥한 오아시스라는 지리적 이점은 농업 생산과 인구 부양의 기반이 되었습니다[18]. 둘째, 실크로드의 주요 교차점에 위치하여 동서남북을 잇는 교통의 요충지였습니다[18]. 이는 메르브를 상업과 교역의 중심지로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문화와 사상이 교류하는 용광로 역할을 하게 했습니다[5]. 셋째, 메르브는 여러 제국(아케메네스, 셀레우코스, 파르티아, 사산, 아랍 칼리프조, 셀주크 등)의 동부 국경 지역 또는 속주의 행정 및 군사 중심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습니다[18]. 특히 사산 왕조와 초기 이슬람 시대에는 북동쪽 유목 민족의 침입을 방어하는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14], 아랍 시대에는 중앙아시아 확장의 거점이었습니다[18]. 넷째, 셀주크 제국 시대에는 제국의 동부 수도로서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중심지로 절정기를 맞이하여 세계적인 대도시로 성장했습니다[18]. 이러한 다층적인 중요성 때문에 메르브는 천년 이상 동안 중앙아시아의 핵심 도시로서 그 지위를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제1.4절: 동방 앗시리아 교회의 선교 거점: 메르브(마리) 대주교구
메르브에 동방 앗시리아 교회 공동체가 존재했음은 늦어도 5세기 초부터 확인됩니다. 424년 다디쇼(Dadishoʿ) 시노드(종교회의)에 메르브의 주교 바르 샤바(Bar Shaba)가 참석한 기록이 있습니다[10]. 메르브는 554년 요셉(Joseph) 시노드에서 대주교구(Metropolitan province)로 승격되었으며 [10], 544년까지 외부 속주 중 일곱 번째 서열을 차지할 정도로 중요한 교구였습니다[12]. 메르브는 페르시아 제국의 동쪽 측면에 위치한 전략적 중요성 때문에 동방 교회가 중앙아시아로 선교 활동을 확장하는 데 핵심적인 전초기지 역할을 수행했습니다[16].
메르브 대주교구는 대주교(Metropolitan)가 관할했으며 [10], 대주교는 주교 임명권을 포함하여 광범위한 권한을 가지고 선교 활동을 감독했습니다[25]. 893년 다마스쿠스의 엘리야(Eliya of Damascus)가 기록한 바에 따르면, 메르브 대주교구 산하에는 '다이르 한스(Dair Hans)', '다마두트(Damadut)', '다바르 사나이(Daʿbar Sanaï)'라는 속주교구(suffragan dioceses)가 있었으나, 이 지역들의 정확한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12]. 인근의 헤라트(Herat) 역시 585년까지 대주교구로 승격되어 이 지역 기독교의 중요성이 커졌음을 보여줍니다[10].
메르브가 대주교구로 승격된 것은 단순히 지역 공동체의 규모가 커졌음을 인정하는 것을 넘어, 동방 교회 지도부가 중앙아시아의 복잡한 정치적, 문화적 환경(에프탈, 튀르크 등)으로 선교를 확장하기 위한 전진 기지를 구축하려는 전략적 결정이었음을 시사합니다[21]. 사산 제국 동쪽 경계에 위치하여 유목 민족들과 접촉하는 지리적 이점 [15], 실크로드를 통한 교통의 편리성[ 21] 등이 메르브를 선교 확장의 이상적인 거점으로 만들었습니다. 외부 영토의 대주교에게 부여된 광범위한 권한 역시 선교 사업 수행에 적합했습니다[21]. 따라서 메르브의 교계적 위상 상승은 더 동쪽과 북쪽으로 복음을 전파하기 위한 병참 및 행정 중심지로서의 잠재력에 의해 추진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제1.5절: 메르브(마리)를 중심으로 활동했던 인물들과 업적
메르브와 관련된 주요 동방 교회 인물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바르 샤바 (Bar Shaba, 주교, 424년 활동): 424년 다디쇼 시노드 참석[10]. 그의 이름('추방의 아들')은 메르브 기독교 공동체가 로마 제국 영토에서 추방된 이들로 구성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10]. 후대의 전설에서는 바르샤바라는 인물이 메르브에 기독교를 처음 전파했다고 전합니다[16].
파루마이 (Pharumai, 주교, 486년 활동): 486년 아카키우스(Acacius) 시노드 결의안 서명자[10].
요한난 (Yohannan, 주교, 497년 활동): 497년 바바이(Babaï) 시노드 결의안 서명자[10].
다비드 (David, 대주교, 524년, 554년 활동): 524년 동방 교회 분열 시기 한쪽 경쟁 총대주교를 축성하는 데 관여했으며 [16], 554년 요셉 시노드 결의안에 서신으로 동의했습니다[10].
그리고리 (Gregory, 대주교, 585년 활동): 585년 이쇼야브 1세(Ishoʿyahb I) 시노드에 대리인(사제 마라크) 파견[10].
엘리야 (Eliya, 대주교, 659년 활동): 총대주교 이쇼야브 3세(Ishoʿyahb III)의 임종 시 참석[10].
요셉 (Joseph, 대주교, 약 780-823년 활동): 총대주교에게 문제를 일으켰으며, 결국 이슬람으로 개종했습니다[16].
압디쇼 (ʿAbdishoʿ, 대주교, 987-1019년 활동): 이전 이스파한 주교였으며, 총대주교 마리(Mari)에 의해 임명됨. 메르브의 마지막으로 알려진 대주교입니다[10].
살 랍반 알타바리 (Sahl Rabban al-Tabari, 학자/의사, 9세기 초 활동): 메르브 출신의 저명한 시리아 기독교인 학자이자 서기, 의사였습니다[5]. 그의 아들 알리 이븐 살 랍반 알타바리(Ali ibn Sahl Rabban al-Tabari)는 유명한 의사이자 최초의 의학 백과사전 중 하나인 "Firdaws al-Hikmah"(지혜의 낙원)의 저자가 되었으나 후에 이슬람으로 개종했습니다[5]. (참고: 알리의 출생지에 대해서는 메르브와 타바리스탄 설이 갈리지만, 그의 아버지 살은 일관되게 메르브와 연관됩니다 [26]).
메르브의 동방 교회는 지역 사회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습니다[10]. 살 랍반과 그의 아들 알리와 같은 기독교 학자 및 의사들은 초기 이슬람 시대에도 활발히 활동하며 지식 전승에 기여했습니다.5 메르브 대주교구는 중앙아시아 깊숙이 선교사를 파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11], 전례 언어인 시리아어와 함께 중세 페르시아어, 소그드어 등 현지 언어를 사용한 흔적은 현지 문화에 적응하려는 노력을 보여줍니다[16]. 초기 아바스 왕조 시대에 살 랍반 알타바리와 같은 저명한 기독교인이 행정 및 학술 분야에서 활동했다는 사실은, 기독교 공동체가 딤미(dhimmi, 이슬람 통치 하 피보호민) 신분이라는 제약 속에서도 어느 정도의 회복력과 사회 통합을 이루었음을 보여줍니다[5]. 이는 기독교인들이 시리아어를 통해 보존하고 전승한 그리스 학문(특히 의학)과 같은 지식 자산을 활용하여 이슬람 사회에 기여할 수 있었음을 나타냅니다[6].
제1.6절: 메르브(마리)에 남겨진 기독교의 고고학적 유적과 유물
메르브에서 동방 앗시리아 교회의 존재를 증명하는 구체적인 고고학적 증거들이 발견되었습니다.
수도원 유적 (기아우르 칼라): M. 마손(M. Masson)이 이끈 남투르크메니스탄 고고학 복합 탐사대는 기아우르 칼라(고대 메르브) 북동쪽 구석에서 작은 수도원 유적을 발굴했습니다[5]. 이 유적은 타원형 가옥 형태로, 40x40x10-12cm 크기의 흙벽돌로 지어졌으며, 높이 3m 이상, 면적 58x42m의 파르티아 시대 건물 유적 위에 세워졌습니다[5]. 이는 오래된 도시 성벽 내부에 기독교 수도원이 존재했음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네크로폴리스 (기아우르 칼라 인근): 기아우르 칼라 부근에서 약 3헥타르에 달하는 기독교 공동묘지(네크로폴리스)가 확인되었습니다. 조사 당시 이 묘지는 북쪽과 남쪽 그룹으로 나뉜 7개의 작은 언덕으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5]. 이는 상당한 규모의 기독교 인구가 거주하여 전용 묘지가 필요했음을 나타냅니다.
유물 (에르크 칼라/기아우르 칼라):
1993년 남투르크메니스탄 고고학 복합 탐사대와 런던 대학 고고학 연구소의 "국제 메르브 프로젝트(International Merv Project)" 팀이 에르크 칼라에서 공동 발굴 작업을 진행하던 중, 후기 사산 왕조 시대 지층에서 네스토리우스식 십자가와 펜던트를 주조하기 위한 세라믹 거푸집을 발견했습니다[5]. 이는 사산 시대에 메르브 현지에서 기독교 상징물이 제작되었음을 직접적으로 증명합니다.
십자가와 같은 기독교 관련 유물이 발굴되었다는 일반적인 언급도 있습니다[15].
기타 잠재적 유적지: 초기 이슬람 시대에 네스토리우스 공동체는 술탄 칼라 북쪽의 포이 바반(Poi Baban) 지역에 위치했으며, 야즈데게르드 3세가 묻혔다고 전해지는 정원이 이 지역에 있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5]. 이는 후대에 기아우르 칼라 외부로 공동체가 이동했거나 추가적인 거주지가 존재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이러한 고고학적 발견들(수도원, 네크로폴리스, 거푸집)은 메르브에 적어도 후기 사산 시대부터 초기 이슬람 시대를 아우르는 기독교 공동체의 지속적인 존재를 구체적이고 물리적으로 증명합니다. 이는 주교구 및 대주교구에 대한 문헌 기록을 뒷받침하며, 기독교가 단순히 종교회의 기록에만 등장하는 추상적인 존재가 아니라, 메르브 도시 자체 내에서 전용 건물(수도원), 장례 관습(네크로폴리스), 물질문화(십자가)를 가진 살아있는 현실이었음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고고학적 증거는 역사 문헌을 확인하고 보완하며, 도시의 여러 역사적 층위에서 뚜렷한 기독교의 발자취를 드러냅니다.
제1.7절: 메르브(마리)에서의 동방 기독교 쇠퇴 원인 분석
메르브에서 동방 앗시리아 교회가 쇠퇴하게 된 과정은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진행되었습니다.
몽골 침입 이전 요인:
경제적 변화: 12세기 후반부터 동서 교역이 점차 해상 경로로 이동하면서 실크로드 상의 중요성이 감소함에 따라 메르브는 서서히 쇠퇴하기 시작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18].
이슬람화: 메르브는 특히 아바스 왕조와 셀주크 제국 하에서 이슬람 학문과 문화의 주요 중심지로 번성했습니다[18]. 다양한 종교가 공존했지만 [5], 이슬람이 국가 종교이자 지배적인 문화 세력으로서 기독교 공동체에 압력을 가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호라산 지역은 페르시아어권에서 가장 먼저 이슬람이 다수가 된 지역 중 하나였습니다[11]. 대주교 요셉(약 780-823년) [16]이나 학자 알리 이븐 살 랍반 알타바리(9세기 중반) [5]와 같은 고위 성직자나 지식인의 개종은 동화 압력이나 이슬람 개종에 대한 유인이 존재했음을 시사합니다. 이슬람 세계 전반에 걸쳐 딤미 공동체에 영향을 미쳤던 점진적인 이슬람화 과정(예: 기독교로의 개종 금지, 사회적 차별, 정치적 불안정, 경제적 요인 등) 역시 메르브의 기독교 공동체에 영향을 미쳤을 것입니다[18].
몽골 침입 (1221년): 칭기즈칸의 아들 툴루이(Tolui)가 이끄는 몽골 군대의 메르브 포위 공격과 그에 따른 학살은 재앙적이었습니다[18]. 사망자 추정치는 피난민을 포함하여 70만 명에서 130만 명 이상에 이릅니다[22]. 이는 도시 인구의 거의 완전한 몰살을 의미했습니다[18]. 도시는 이후 부분적으로 재건되었지만 결코 이전의 번영을 되찾지 못했습니다[22].
몽골 침입 이후 시대: 메르브는 일칸국의 일부가 되었고, 차가타이 칸국에 의해 지속적으로 약탈당했습니다[22]. 비록 14세기 초 카르트 왕조(일칸국의 봉신) 치하에서 잠시 동방 교회 대주교구가 존재했다는 기록이 있지만 [22], 중앙아시아 전체에서 동방 교회의 전반적인 추세는 쇠퇴였습니다[9]. 이러한 쇠퇴에는 여러 요인이 작용했습니다. 초기 몽골 지배층 중 일부(특히 왕비들)는 기독교에 우호적이거나 기독교인이었지만 [49], 후대의 몽골 지배자들(금장 칸국, 가잔 칸 치하의 일칸국 등)이 이슬람으로 개종하면서 [9] 기독교에 대한 정책이 비우호적으로 변했습니다. 나우로즈(Nawroz)와 같은 인물에 의한 박해(13세기 후반) [9], 중국에서 명나라가 몽골을 축출하고 외래 종교를 배척한 사건 [9], 그리고 14세기 후반 티무르의 파괴적인 원정은 페르시아와 중앙아시아에서 기독교를 거의 근절시켰습니다.9 또한 교회 내부의 분열 역시 교회의 세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이 되었습니다[9].
결론적으로, 메르브 기독교 공동체의 쇠퇴는 점진적인 과정이었지만, 1221년 몽골의 침입과 학살은 결정적인 전환점이었습니다. 경제적 변화와 점진적인 이슬람화라는 기존의 약화 요인 위에 가해진 이 폭력적인 사건은 공동체의 인구적, 제도적 기반을 거의 완전히 파괴했습니다. 비록 이후 잠시 생존의 흔적을 보이기도 했지만, 후대의 불리한 정치적, 종교적 환경 속에서 근본적인 회복은 불가능했습니다. 몽골 침입은 점진적인 쇠퇴를 급격하고 돌이킬 수 없는 붕괴로 바꾸어 놓은 것입니다.
메르브 기독교의 쇠퇴 과정은 외부적 충격(경제 변화, 정복, 박해)과 내부적 역학 관계(이슬람 세계 내에서의 이슬람화 과정과 딤미 지위, 교회 지도자들의 개종, 후대의 교회 분열 등)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외부적 압력과 함께, 대주교 요셉이나 알리 이븐 살 랍반 알타바리와 같은 주요 인물의 개종은 [26] 공동체 내부의 결속력 약화 또는 외부 압력에 대한 반응을 보여줍니다. 또한, 16세기 이후 나타난 동방 교회 전체의 분열은 [9] 그 이전부터 존재했을 수 있는 내부적 긴장이나 취약성을 반영할 수 있으며, 이는 교회의 전반적인 회복력을 저해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쇠퇴 원인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요 외부 사건들과 함께 메르브 및 동방 교회 전체 내에서 작동했던 내부적 사회-종교적 역학 관계를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결론: 메르브(마리)의 역사적, 선교적 의미
메르브(현대 마리)는 동방 앗시리아 교회가 실크로드 주요 도시 중심지로 성공적으로 확장하고 통합된 최고의 사례로 평가됩니다. 이는 교회가 깊은 뿌리(주교구에서 대주교구로 승격)를 내리고, 기반 시설(수도원, 네크로폴리스)을 구축하며, 지적으로 기여하고(학자, 의사), 전략적 위치를 활용하여 중앙아시아로 선교 기지 역할을 거의 8세기(약 5-13세기) 동안 수행할 수 있었음을 보여줍니다[10]. 메르브는 실크로드 상 기독교 존재의 역동성 – 설립, 번영, 통합, 선교 역할, 그리고 최종적인 극적인 쇠퇴 – 을 보여주는 풍부한 사례 연구를 제공합니다.
메르브의 역사는 동방 교회가 실크로드라는 특수한 환경 속에서 다양한 문화와 종교적 전통(조로아스터교, 불교, 마니교, 이슬람교 등)과 상호작용하며 독자적인 역사를 만들어왔음을 보여줍니다[5]. 또한, 메르브는 동방 교회가 중앙아시아와 그 너머로 복음을 전파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전략적 거점이었음을 명확히 보여줍니다[11].
그러나 메르브 기독교의 최종적인 쇠퇴는 소수 종교 공동체가 재앙적인 정치적 사건(몽골 침입)과 장기적인 사회-종교적 변화(이슬람화)에 얼마나 취약할 수 있는지를 극명하게 보여줍니다[9]. 메르브의 사례는 동방 앗시리아 교회가 실크로드 도시의 활기찬 생태계에 통합되었을 때 도달할 수 있었던 잠재적 범위와 영향력을 보여주는 동시에, 압도적인 역사적 힘 앞에서 그 존재가 얼마나 취약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역사적 교훈을 제공합니다.
참고 연구 자료 출처
Assyrian Church of the East - Wikipedia, accessed April 23, 2025, https://en.wikipedia.org/wiki/Assyrian_Church_of_the_East
Nestorian Church | Encyclopedia.com, accessed April 23, 2025, https://www.encyclopedia.com/philosophy-and-religion/christianity/christianity-general/nestorian-church
The Church of the East: A Concise History - Learn Assyrian, accessed April 23, 2025, http://www.learnassyrian.com/assyrianlibrary/assyrianbooks/Religion/The Church of the East - A concise history - Wilhelm Baum and Dietmar W. Winkler.pdf
The Lesser Eastern Churches/Chapter 2 - Wikisource, the free online library, accessed April 23, 2025, https://en.wikisource.org/wiki/The_Lesser_Eastern_Churches/Chapter_2
Merv ancient city in Turkmenistan - Central Asia Guide, accessed April 23, 2025, https://central-asia.guide/turkmenistan/destinations-tr/merv/
Did You Know? Merv: A 12th Century Metropolis on the Silk Roads ..., accessed April 23, 2025, https://en.unesco.org/silkroad/content/did-you-know-merv-12th-century-metropolis-silk-roads
Settlements (Merv) | Wiki - FreedomGPT, accessed April 23, 2025, https://www.freedomgpt.com/wiki/settlements-merv
Belief Systems Along the Silk Road | Asia Society, accessed April 23, 2025, https://asiasociety.org/education/belief-systems-along-silk-road
Church of the East - Wikipedia, accessed April 23, 2025, https://en.wikipedia.org/wiki/Church_of_the_East
Assyrian Church - IBWiki - Ill Bethisad, accessed April 23, 2025, https://ib.frath.net/w/Assyrian_Church
NESTORIAN CHRISTIANITY IN CENTRAL ASIA by Mark Dickens, Independent Scholar & Educational Consultant, Canada & Uzbekistan, accessed April 23, 2025, http://www.aina.org/articles/ncica.pdf
Merv (East Syriac ecclesiastical province) - Wikipedia, accessed April 23, 2025, https://en.wikipedia.org/wiki/Merv_(East_Syriac_ecclesiastical_province)
journals.uran.ua, accessed April 23, 2025, https://journals.uran.ua/visnyknakkkim/article/view/173565/173200
Merv - Wikipedia, accessed April 23, 2025, https://en.wikipedia.org/wiki/Merv
Religious Landscape of the Ancient Merv Oasis | Request PDF - ResearchGate, accessed April 23, 2025,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22719167_Religious_Landscape_of_the_Ancient_Merv_Oasis
SYRIAC CHRISTIANITY IN CENTRAL ASIA - e-Course, accessed April 23, 2025, https://ecourse.auca.kg/pluginfile.php/426461/mod_resource/content/1/Syriac Chry in CA (Dickens%2C the Syriac World).pdf
www.thebritishacademy.ac.uk, accessed April 23, 2025, https://www.thebritishacademy.ac.uk/documents/2446/94p001.pdf
Merv | Institute of Archaeology - UCL – University College London, accessed April 23, 2025, https://www.ucl.ac.uk/archaeology/research/ancient-merv-project/merv
Pre-Islamic Christianity in the Arabian Peninsula. - Chronicles of Malabar, accessed April 23, 2025, http://chroniclesofmalabar.blogspot.com/2012/02/pre-islamic-christianity-in-arabian.html
whc.unesco.org, accessed April 23, 2025, https://whc.unesco.org/uploads/nominations/886.pdf
THE CHURCH OF THE EAST IN CENTRAL ASIA - Manchester Hive, accessed April 23, 2025, https://www.manchesterhive.com/downloadpdf/journals/bjrl/78/3/article-p129.pdf
Siege of Merv (1221) - Wikipedia, accessed April 23, 2025, https://en.wikipedia.org/wiki/Siege_of_Merv_(1221)
Christianity among the Mongols - Wikipedia, accessed April 23, 2025, https://en.wikipedia.org/wiki/Christianity_among_the_Mongols
Planting the Church of the East In Beth Kokheh, accessed April 23, 2025, https://bethkokheh.assyrianchurch.org/articles/238
LECTURE: Seventy-Five Years of Excavation at Tell Hariri-Mar... - Assyrian Forums - atour.com, accessed April 23, 2025, http://www.atour.com/forums/arts/61.html
Excavation of a presumed Christian monastery - Exploration of EurAsia, accessed April 23, 2025, https://www.exploration-eurasia.com/inhalt_english/projekt_2.htm
ALI IBN RABBAN AT-TABARI, A NINTH CENTURY ARAB PHYSICIAN, ON THE AYURVEDA, accessed April 23, 2025, http://cahc.jainuniversity.ac.in/assets/ijhs/Vol25_1to4_3_MSKhan.pdf
ALI IBN RABBAN AT-TABARI, A NINTH CENTURY ARAB PHYSICIAN, ON THE AYURVEDA - ResearchGate, accessed April 23, 2025,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11737797_Ali_Ibn_Rabban_At_Tabari_A_Ninth_Century_Arab_Physician_on_the_Ayurveda/fulltext/00b392dc0cf22e18225975d8/Ali-Ibn-Rabban-At-Tabari-A-Ninth-Century-Arab-Physician-on-the-Ayurveda.pdf
Introduction in: ʿAlī ibn Sahl Rabban aṭ-Ṭabarī's Health Regimen or “Book of the Pearl”, accessed April 23, 2025, https://brill.com/display/book/9789004445895/BP000001.xml?language=en
History of Syria - Wikipedia, accessed April 23, 2025, https://en.wikipedia.org/wiki/History_of_Syria
a historical overview from al-Tabari, Rhazes, Avicenna and Jorjani to Abolhassan Ziyā-Zarifi. Old and new pioneers in the fight against tuberculosis: challenges, pitfalls and hopes - PMC, accessed April 23, 2025,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7263069/
Ali ibn Rabban Al-Tabari - Pondering Islam, accessed April 23, 2025, https://ponderingislam.com/2017/08/04/ali-ibn-rabban-al-tabari/
Ali ibn Sahl Rabban al-Tabari - Wikipedia, accessed April 23, 2025, https://en.wikipedia.org/wiki/Ali_ibn_Sahl_Rabban_al-Tabari
Abu al-Hasan Ali ibn Sahl Rabban al-Tabari, Persian New Muslim physician and psychologist - Shafaqna, accessed April 23, 2025, https://en.shafaqna.com/58121/abu-al-hasan-ali-ibn-sahl-rabban-al-tabari-persian-new-muslim-physician-psychologist/
'Ali b. Sahl Rabban al-Tabari Author of Firdaws al-hikma (Paradise of Wisdom) - Muslim HeritageMuslim Heritage, accessed April 23, 2025, https://muslimheritage.com/al-tabari-paradise-of-wisdom/
Ali Ibn Rabban Al-Tabari: author of the first medical encyclopedia - TRT Global, accessed April 23, 2025, https://www.trtworld.com/magazine/ali-ibn-rabban-al-tabari-author-of-the-first-medical-encyclopedia-46160
The Decline of Eastern Christianity under Islam: From Jihad to Dhimmitude - Universidad de Granada, accessed April 23, 2025, http://www.ugr.es/\~mreligio/materiales/Yeor.Bat_1996_The-Decline-of-Eastern-Christianity-under-Islam.pdf
wikilex-20070527-he-en.txt - CMU School of Computer Science, accessed April 23, 2025, https://www.cs.cmu.edu/afs/cs.cmu.edu/project/cmt-40/Nice/Hebrew-MT/Lexicon/wikilex-20070527-he-en.txt
Ali Ibn Sahl Rabban al-Tabari - Wikipédia, accessed April 23, 2025, https://fr.wikipedia.org/wiki/Ali_Ibn_Sahl_Rabban_al-Tabari
About: Ali ibn Sahl Rabban al-Tabari - DBpedia, accessed April 23, 2025, https://dbpedia.org/page/Ali_ibn_Sahl_Rabban_al-Tabari
ALI IBN SAHL IBN RABBAN ALTABARI (ABU AL-ḤASAN) - JewishEncyclopedia.com, accessed April 23, 2025, https://www.jewishencyclopedia.com/articles/1231-ali-ibn-sahl-ibn-rabban-altabari-abu-al-hasan
List of Christian scientists and scholars of the medieval Islamic world - Wikipedia, accessed April 23, 2025,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Christian_scientists_and_scholars_of_the_medieval_Islamic_world
(PDF) Revisiting Pre-Islamic History of Arabia - ResearchGate, accessed April 23, 2025,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48190963_Revisiting_Pre-Islamic_History_of_Arabia
The Mari Archives - Ministry Magazine, accessed April 23, 2025, https://www.ministrymagazine.org/archive/1977/04/the-mari-archives
Opinion: A modest but great challenge for the Church of the East - The Assyrian Journal, accessed April 23, 2025, https://theassyrianjournal.com/2022/05/17/op-ed-a-modest-but-great-challenge-for-the-church-of-the-east/
Chapter Twenty-five | The Crisis of the Dar al-Islam, through the Wars of Timur the Lame - Vanderbilt University, accessed April 23, 2025, https://cdn.vanderbilt.edu/vu-my/wp-content/uploads/sites/1281/2019/04/14114449/Chapter-TwentyFive.-The-Crisis-of-the-Dar-al-Islam-through-the-Wars-of-Timur-the-Lame.pdf
The Mongol Tempest: The Fall of Central Asia's Cities - Medieval History, accessed April 23, 2025, https://historymedieval.com/the-mongol-tempest-the-fall-of-central-asias-cities/
Merv, the City in Present-Day Turkmenistan that was the World's Largest City in the 12th Century - La Brújula Verde, accessed April 23, 2025, https://www.labrujulaverde.com/en/2024/02/merv-the-city-in-present-day-turkmenistan-that-was-the-worlds-largest-city-in-the-12th-century/
Vol. 12 No. 2 | Timothy May: Converting the Khan: Christian Missionaries and the Mongol Empire - World History Connected, accessed April 23, 2025, https://worldhistoryconnected.press.uillinois.edu/12.2/forum_may.html
Christianity in the Mongol Empire - Mongolian Tour Guide, accessed April 23, 2025, https://www.mongoliantour.guide/post/christianity-in-the-mongol-empire
Mari - Jewish Virtual Library, accessed April 23, 2025, https://www.jewishvirtuallibrary.org/mari
(PDF) The Impact of Mongol Invasion on the Muslim World and th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Ramifications - ResearchGate, accessed April 23, 2025,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54358692_The_Impact_of_Mongol_Invasion_on_the_Muslim_World_and_the_Political_Economic_and_Social_Ramifications/download
Islamic Golden Age - Wikipedia, accessed April 23, 2025, https://en.wikipedia.org/wiki/Islamic_Golden_Age
Did Mongols cause the cultural shift from pro-scientific to more dogmatic in 11th in Islamic culture? - Reddit, accessed April 23, 2025, https://www.reddit.com/r/AskHistorians/comments/22zg0d/did_mongols_cause_the_cultural_shift_from/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 Electronic Theses for Schreyer Honors College, accessed April 23, 2025, https://honors.libraries.psu.edu/files/final_submissions/3505
Why aren't the Assyrian Church of the East and Orthodox Churches in communion? - Reddit, accessed April 23, 2025, https://www.reddit.com/r/Assyria/comments/qvz8l1/why_arent_the_assyrian_church_of_the_east_and/
The Controllable Cause of Declining Parishes - The Armenian Weekly, accessed April 23, 2025, https://armenianweekly.com/2023/12/13/the-controllable-cause-of-declining-parish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