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검색
공개 노트 검색
회원가입로그인

리눅스 사용법: 초보자를 위한 리눅스 설치 가이드 및 기본 명령어 총정리

Linux 사용법

개요

리눅스는 네트워크 서버부터 임베디드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컴퓨팅 환경에서 안정적이고 보안성이 뛰어난 운영 체제로 알려져 있습니다. 본 문서에서는 리눅스를 처음 접하는 사용자를 위해 리눅스의 기본적인 사용 방법과 이해를 돕는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리눅스 시작하기

리눅스란 무엇인가?

리눅스는 유닉스(Unix) 기반의 오픈 소스 운영 체제입니다. 리눅스 커널과 여러 유틸리티, 응용 소프트웨어를 결합하여 하나의 배포판을 형성하게 됩니다. 대표적인 리눅스 배포판으로는 우분투(Ubuntu), 페도라(Fedora), 리눅스 민트(Linux Mint) 등이 있습니다.

리눅스 배포판 설치

리눅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원하는 배포판을 선택하여 설치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은 공식 웹사이트에서 ISO 이미지 파일로 제공되며, 이를 다운로드하여 USB 드라이브를 통해 부팅 가능합니다.

  1. 리눅스 배포판 선택: 우분투(Ubuntu), 리눅스 민트(Linux Mint) 등 사용 목적에 맞는 배포판을 선택합니다.

  2. ISO 이미지 다운로드: 선택한 배포판의 공식 웹사이트에서 최신 버전의 ISO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3. 부팅 USB 드라이브 생성: Rufus, UNetbootin 등의 툴을 사용하여 ISO 이미지를 USB 드라이브에 구워 부팅 가능한 드라이브를 만듭니다.

  4. 리눅스 설치: USB 드라이브로 컴퓨터를 부팅하고 화면에 나타나는 가이드에 따라 리눅스를 설치합니다.

리눅스 기본 명령어

터미널 열기

리눅스의 핵심 인터페이스 중 하나는 터미널입니다. "Ctrl + Alt + T" 키를 눌러 터미널을 열 수 있습니다.

주요 명령어 소개

  1. 파일 및 디렉토리 명령어

    • ls: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 및 폴더 목록을 출력

    • cd: 디렉토리 이동

    • pwd: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의 경로를 출력

    • cp: 파일 또는 디렉토리 복사

    • mv: 파일 또는 디렉토리 이동 또는 이름 변경

    • rm: 파일 또는 디렉토리 삭제

  2. 사용자 및 권한 관리

    • sudo: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어 실행

    • adduser: 사용자 추가

    • passwd: 사용자 비밀번호 변경

    • chmod: 파일의 권한 변경

    • chown: 파일의 소유자 변경

  3. 시스템 및 프로세스 관리

    • ps: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 목록 확인

    • top: 실시간 시스템 프로세스 모니터링

    • kill: 프로세스 종료

    • df: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사용량 확인

    • free: 시스템 메모리 사용량 확인

리눅스 파일 시스템 구조

리눅스 파일 시스템의 기본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 /: 루트 디렉토리

  • /home: 사용자 디렉토리

  • /etc: 시스템 설정 파일

  • /var: 가변 데이터 파일

  • /usr: 사용자 프로그램 및 라이브러리

리눅스 소프트웨어 설치

리눅스에서는 패키지 관리 시스템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쉽게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각 배포판에는 고유한 패키지 관리 시스템이 있습니다.

패키지 관리

  1. APT (Advanced Package Tool): 주로 데비안 계열의 리눅스 배포판(우분투 등)에서 사용.

    • sudo apt update: 패키지 목록 업데이트

    • sudo apt upgrade: 모든 패키지 업그레이드

    • sudo apt install package_name: 패키지 설치

    • sudo apt remove package_name: 패키지 제거

  2. YUM (Yellowdog Updater, Modified): 주로 레드햇 계열의 배포판(페도라, CentOS 등)에서 사용.

    • sudo yum update: 모든 패키지 업그레이드

    • sudo yum install package_name: 패키지 설치

    • sudo yum remove package_name: 패키지 제거

  3. Zypper: 오픈수세(OpenSUSE)에서 사용되는 패키지 관리 시스템.

    • sudo zypper refresh: 패키지 목록 업데이트

    • sudo zypper install package_name: 패키지 설치

    • sudo zypper remove package_name: 패키지 제거

리눅스 사례

리눅스를 실제로 사용해 볼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가상 머신: VirtualBox 등을 통해 리눅스를 가상 머신에 설치하여 사용.

  2. 라이브 USB: 부팅 가능한 USB 드라이브를 만들어 컴퓨터를 리눅스로 부팅.

  3. 듀얼 부팅: 기존 운영 체제와 함께 리눅스를 설치하여 필요할 때마다 선택적으로 부팅.

결론

리눅스 사용은 처음에는 어려울 수 있지만, 다양한 자료와 튜토리얼을 통해 학습하면 빠르게 익숙해질 수 있습니다. 리눅스를 설치하고, 기본 명령어에 익숙해지며, 여러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사용해 보세요. 리눅스는 여러분이 정보 보안, 서버 관리, 소프트웨어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입니다.

공유하기
카카오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하기
조회수 : 64
he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