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검색
회원가입로그인
page thumbnail

CES 2024 - AI가 모든 곳에 나타나다. (AI is everywhere.)

현재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CES 2024가 열리고 있습니다. 한국 시간으로 1월 10일~1월 12일 진행됩니다. CES는 가전제품 전시회이지만 AI를 포함하여 최신 기술들을 볼 수 있는 장이기도 하지요. 그래서 첫날의 눈여겨 볼만한 점들을 살펴 봤습니다.

참고로 모든 라이브와 발표된 영상은 여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CES 2024: How to watch live as Sony, Samsung and more reveal hardware, AI updates | TechCrunch

삼성

삼성은 AI와 연결된 세계에 대해 진심인것 같습니다.

Neo QLED 8K

삼성이 발표한 이 AI 스크린은 NPU를 탑재했습니다. 이 스크린은 AI 업스케일링과 AI Motion Enhancer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또 소리를 상세하게 하는 기능(Amplifier)이 있습니다. 함께 New premier 8K라는 프로젝터도 발표했는데 이 프로젝터는 세계 최초로 8K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고 합니다.

CES 2024 - AI가 모든 곳에 나타나다. (AI is everywhere.) image 1

Neo 8K를 보면 홈 엔터테인먼트에서 AI로 영상, 게임 등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미래의 콘텐츠는 멀티미디어로 영상, 사운드가 종합적으로 사람들에게 전달될 것 같습니다.

볼리 (Ballie)

CES 2024 - AI가 모든 곳에 나타나다. (AI is everywhere.) image 2

삼성의 AI 친구 로봇 볼리입니다. 집 안을 다닐 수 있고 위와 같은 방식으로 스크린을 쏴서 디스플레이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영상 미팅이나 헬스 등을 할 때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AI 냉장고

AI vision으로 냉장고에 어떤 재료가 들어가고 나오는지 파악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파악이 된 재료는 냉장고의 전면 스크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CES 2024 - AI가 모든 곳에 나타나다. (AI is everywhere.) image 3

또 이를 바탕으로 삼성 푸드 앱은 새로운 레시피를 추천할 수 있고 삼성의 스마트 띵스와 연결될 수 있습니다.

그 밖에도 옷의 타입과 오염도를 자동으로 인지하는 세탁기, AI 기능이 탑재된 로봇 청소기를 소개했습니다.

삼성은 집을 기술과 AI를 활용해서 향상시키려는 것 같습니다. 제가 알게 된 것은 가전 제품에 LLM 뿐만 아니라 로봇 청소기의 물체 인식 등 작은 수준의 인공지능도 결합이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 밖에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시면 유튜브 요약본이나 아래 풀영상을 참고해 주세요.

LG

LG의 경우 AI를 어떻게 실제로 잘 적용하느냐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 같습니다. LG는 기술뿐만 아니라 인간에 대한 애정도 함께 철학에 담으려는거 같네요.

LG의 AI Brain

LG의 AI가 LG의 스마트 홈 시스템인 ThinQ에 포함될 것으로 보입니다.

CES 2024 - AI가 모든 곳에 나타나다. (AI is everywhere.) image 4

ThinQ에 새로운 채팅을 사용하는 모습입니다. 예시로 AI가 인덕션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공기청정기를 꺼야하는지 물어보고 있고 사람이 끄라고 이야기하는 모습이네요.

LG의 AI 칩셋

LG가 개발한 가전 AI 칩셋입니다. 이 칩셋이 AI 가전 제품에 포함되어 활용될 것으로 보입니다.

CES 2024 - AI가 모든 곳에 나타나다. (AI is everywhere.) image 5

스마트 홈 AI 에이전트

LG의 Smart home agent는 두 발로 다니는 AI 로봇입니다.

CES 2024 - AI가 모든 곳에 나타나다. (AI is everywhere.) image 6

마이크, 카메라, 멀티모달 기능이 있어 집 안을 이해하고 사람들과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을 대체하려는 걸까요...

LG OLED TV와 Alpha 11 AI 프로세서

Alpha AI 프로세서는 LG가 오직 올레드만을 위해 개발하고 있는 브랜드입니다. CES에서 11 버전을 공개했습니다.

CES 2024 - AI가 모든 곳에 나타나다. (AI is everywhere.) image 7

OLED만을 위한 AI 칩. (보고 있나, 삼성?)

OLED는 각 픽셀이 자체발광할 수 있어 검은색을 온전히 표현할 수 있고 높은 명암비와 선명한 색상을 표편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보통 LCD 보다 비싼 편입니다.)

OLED T

CES 2024 - AI가 모든 곳에 나타나다. (AI is everywhere.) image 8

LG의 투명 올레드 TV입니다. 저는 이게 제일 신기했네요.

CES 2024 - AI가 모든 곳에 나타나다. (AI is everywhere.) image 9

이런 식으로 투명한 디스플레이 위에 화면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이게 가능한 이유가 올레드가 백라이트 없이 픽셀 별로 빛을 낼 수 있는 장치이기 때문이지요.

그 외에도 차량용 시스템, 웹OS 등 다양한 것들을 소개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시다면 요약본이나 유튜브 영상을 참고해 보세요.

Rabbit의 r1 포켓

대기업들의 화려한 쇼케이스도 있지만 꼭 뛰어난 언더독이 나타나 눈길을 끌지요. 그 중 하나가 바로 래빗의 r1 포켓입니다.

r1은 사용자가 간단한 작업 (차량 호출, 식사 장소 탐색, 숙소 찾기 등) 을 할 때 핸드폰이 아닌 r1을 사용할 수 있는 기기입니다.

CES 2024 - AI가 모든 곳에 나타나다. (AI is everywhere.) image 10

출처 : 래빗 홈페이지

r1에게 이야기를 하면 r1이 실행 후 결과를 음성으로 이야기합니다. rabbit은 자체 "large action model" (LAM)을 개발하여 마치 사람이 웹사이트와 모바일 앱 상의 버튼을 클릭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미 다양한 앱과 서비스들에 대해 학습되어 지원됩니다. 만약 알지 못하는 앱이 있다면 사용자가 앱을 사용하는 것을 보고 배울 수 있다고 합니다. (이 부분은 런칭 때는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가격은 200달러라고 합니다. 이 장치를 만든 곳은 스웨덴의Teenage Engineering이라고 합니다. 현재 미국에서 3월 말 출시를 목표로 예약 주문을 받고 있다고 합니다.

레빗의 키노트 전체 영상은 여기에서 볼 수 있습니다. rabbit — keynote

실제 사용평은 그렇게 좋지는 않네요.

생각

AI를 정말 여러 군데에서 만날 수 있게 될 것 같습니다. 가전, 로봇, 인프라까지 광범위하게 AI가 적용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래빗의 r1과 같은 말로 AI와 소통할 수 있는 기기는 잘 통할 것 같습니다. 그게 어떤 형태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이어폰, 스피터, 작은 기기의 형태로 분명히 사람들에게 등장하고 많이 쓰이게 될 것 같습니다. 얼마 전 마이크로소프트에서 키보드에 코파일럿 키를 추가했는데 이와 비슷하게 스피커가 컴퓨터나 스마트폰 앞에 등장하여 조종할 수 있을 것 같네요.

한 가지 더 느낀 것은 앞으로의 커뮤니케이션이 음악, 이미지, 동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사용하여 사람들의 감정과 마음을 울리는 방식이 될 것이라는 점입니다. CES 발표에 멋진 멀티미디어를 사용하여 영화처럼 홍보하는 기업들이 많았습니다.

여러분은 어떠셨나요? 앞으로 우리의 앞에 AI가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게 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