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콘텐츠로 건너뛰기

AI 시대, 유사의학과 허위 건강정보 검증 시스템: TERVYX protocol

Moneypuzzler
Moneypuzzler
조회수 182
요약

AI 시대, 유사의학과 허위 건강정보 검증 시스템: TERVYX protocol

특허·논문·데이터셋 3중축으로 고정한 신뢰 인프라(테르빅스 프로토콜)

작성자: Geonyeob Kim(김건엽)

ORCID: https://orcid.org/0009-0005-7640-2510 키워드: TERVYX, 건강정보 검증, R-Φ-J-U, TEL-5, 메타분석, 재현성


AI 시대, 유사의학과 허위 건강정보 검증 시스템: TERVYX protocol image 1

목차

1부: 믿을수 없는 건강정보

  1. 당신이 마지막으로 건강정보를 믿었던 때는 언제인가요?

  2. 생성형 AI의 역설: 더 많은 정보, 더 적은 신뢰

  3. 현재 시스템들이 실패하는 이유

2부: TERVYX의 철학 (지적 호기심)

  1. TERVYX의 핵심 통찰: "말"이 아니라 “구조”

  2. 특허-논문-데이터셋 3중축의 발상

  3. 왜 DOI인가: 영구적 추적 가능성

3부: 3중축 구조 (고급 이해)

  1. 특허: R-Φ-J-U 하이브리드 절차의 지적재산권

  2. 논문: TERVYX Protocol v1.0의 학술적 정당성

  3. 데이터셋: 재현 가능한 구현체

  4. 상호 참조 체계: 삼각 검증의 실현

4부: 기술적 깊이 (전문가)

  1. TEL-5 게이트 시스템: 다차원 위험 필터링

  2. REML 메타분석 + Monte Carlo: 통계적 엄밀성

  3. 버전 DOI와 재현성 보장 체계

  4. 증거 그래프와 동적 업데이트

5부: 실전 적용 (실무자)

  1. 케이스 스터디: 마그네슘 글리시네이트

  2. TERVYX 활용 시나리오와 비즈니스 모델

  3. 로드맵: 1,000개 엔트리 확장 전략

  4. 인용·참여·투자 방법


AI 시대, 유사의학과 허위 건강정보 검증 시스템: TERVYX protocol image 2

1부: 문제 공감 (일반 대중)

1. 당신이 마지막으로 건강정보를 믿었던 때는 언제인가요?

아마 많은 분들이 이 질문에 선뜻 답하지 못할 겁니다.

“비타민 D가 면역력에 좋다더라” “이 유튜브에서 봤는데 오메가3가…” “AI가 추천해준 건데…”

우리는 매일 수십 개의 건강정보를 접하지만, 정작 “이 정보를 내 몸에 적용해도 안전한가?”라는 질문 앞에서는 확신이 서지 않습니다.

이것이 2025년 현재, 정보 과잉 시대의 역설입니다.

일상 속 혼란의 구체적 사례들

아침 루틴에서부터 시작되는 정보 과부하

7시 기상 → 유튜브 “아침 공복 물 한 잔의 놀라운 효과” (조회수 50만) 7시 30분 → 인스타그램 “이 영양제 안 먹으면 후회함” (좋아요 2만) 8시 → 네이버 뉴스 “최신 연구: 위 영양제, 실제로는 효과 없어”

한 시간 만에 상반된 정보 3개. 우리는 어떤 걸 믿어야 할까요?

전문가도 갈린다

  • A 의사: “비타민 D 보충제 필수”

  • B 의사: “햇빛으로 충분”

  • C 영양사: “음식에서 섭취하세요”

  • D AI: “개인차를 고려하면…”

같은 주제에 대해 전문가들조차 다른 의견을 내놓는다면, 일반인은 누구를 따라야 할까요?

정보 선택의 피로감

현대인의 건강정보 소비 패턴을 보면 흥미로운 현상이 나타납니다:

1단계: 적극적 탐색 (초기 1-2개월)

  • 여러 소스를 비교하며 꼼꼼히 검증

  • 과학적 근거를 찾아보려 노력

2단계: 선택적 신뢰 (3-6개월)

  • 몇 개의 ‘믿을 만한’ 소스로 범위 축소

  • 상충하는 정보는 의도적으로 무시

3단계: 포기적 수용 (6개월 이후)

  • “뭐가 맞는지 모르겠다”

  • 그냥 유명한 것, 많이 본 것 선택

  • 또는 아예 건강정보 피하기

이 과정에서 가장 위험한 것은 3단계의 무작위적 선택입니다. 과학적 검증보다는 마케팅 파워가 승리하는 순간이죠.

2. 생성형 AI의 역설: 더 많은 정보, 더 적은 신뢰

2023년 ChatGPT 출시 이후 건강정보 생태계는 근본적으로 변했습니다.

폭발적 생산 vs 선형적 검증

AI 생산 능력

  • 1시간에 100개 건강 관련 기사 생성 가능

  • 24시간 언제든 “전문가 수준” 답변 제공

  • 개인 맞춤형 건강 조언까지

전통적 검증 능력

  • 임상시험: 평균 2-5년 소요

  • 동료검토: 6-18개월

  • 메타분석: 최소 10편 이상 논문 축적 필요

시간적 격차의 결과

AI 생성 속도: 초당 수백 개 정보
과학적 검증: 연간 수십 개 검증된 사실

격차 비율:100:1

이 극단적 불균형은 검증되지 않은 정보의 홍수를 만들어냈습니다.

AI 건강정보의 구조적 한계

할루시네이션 문제 AI는 그럴듯한 과학적 표현을 사용하지만, 실제로는:

  • 존재하지 않는 연구 인용

  • 정확하지만 관련 없는 정보 조합

  • 상관관계를 인과관계로 과해석

맥락 무시

  • 개인차를 고려하지 않는 일반화

  • 용량, 기간, 병용 금기 등 중요 정보 누락

  • 최신성 부족 (training cutoff)

책임 회피 구조

  • “의료진과 상담하세요” (면책조항)

  • “일반적인 정보일 뿐” (책임 회피)

  • 잘못된 정보의 결과에 대한 책임 주체 불분명

3. 현재 시스템들이 실패하는 이유

기존 건강정보 검증 시스템들을 살펴보면 각각 나름의 한계가 있습니다.

전문가 검증 모델의 한계

의료진 중심 검증

  • 장점: 높은 전문성과 임상 경험

  • 한계:

    • 개별 의사의 경험과 선호도에 좌우

    • 최신 연구 반영 지연

    • 확장성 부족 (한 명이 감당할 수 있는 정보량 한계)

학회/기관 가이드라인

  • 장점: 여러 전문가의 합의, 제도적 신뢰성

  • 한계:

    • 업데이트 주기가 너무 김 (2-5년)

    • 보수적 접근으로 새로운 정보 반영 지연

    • 일반인이 직접 활용하기 어려운 전문 용어

크라우드소싱 검증의 한계

위키피디아 모델

  • 장점: 빠른 업데이트, 집단 지성

  • 한계:

    • 의학적 전문성이 부족한 편집자들

    • 잘못된 정보가 "합의"로 둔갑할 위험

    • 상업적 이해관계자들의 조작 가능성

소셜 미디어 팩트체킹

  • 장점: 실시간 반응, 다양한 관점

  • 한계:

    • 감정적 반응이 과학적 사실보다 우선

    • 알고리즘에 의한 편향 증폭

    • "바이럴"이 "사실"을 압도하는 구조

AI 기반 자동 검증의 한계

현재 AI 팩트체킹 도구들

  • 장점: 빠른 속도, 24시간 운영, 대량 처리

  • 한계:

    • 맥락 이해 부족

    • 최신 정보 업데이트 지연

    • 블랙박스 알고리즘 (판단 과정 불투명)

    • AI의 할루시네이션 문제

근본적 문제: 책임 주체의 부재

가장 심각한 문제는 “누가 책임을 지는가?”입니다.

플랫폼: “우리는 정보 전달만 할 뿐” 콘텐츠 제작자: “개인적 의견이며 의료 조언 아님” AI 회사: “사용자 판단과 책임” 의료진: “직접 진료 외 온라인 조언은 관여 범위 밖”

결과적으로 잘못된 건강정보로 인한 피해에 대해 명확한 책임을 지는 주체가 없는 상황입니다.


AI 시대, 유사의학과 허위 건강정보 검증 시스템: TERVYX protocol image 3

2부: TERVYX의 철학 (지적 호기심)

4. TERVYX의 핵심 통찰: "말"이 아니라 “구조”

TERVYX(Tiered Evidence & Risk Verification sYstem with X-factor)는 기존 접근법과 근본적으로 다른 철학에서 출발했습니다.

기존 접근: 언어 중심 검증

대부분의 팩트체킹 시스템은 “무엇을 어떻게 말하는가”에 집중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 신뢰도 상승
"전문가가 추천" → 신뢰도 상승  
"임상 실험 결과" → 신뢰도 상승

하지만 이런 접근법의 함정은 말의 포장에 속기 쉽다는 점입니다. 실제 근거 없이도 그럴듯한 과학적 언어를 사용하면 높은 신뢰도를 얻을 수 있죠.

TERVYX 접근: 구조 중심 검증

TERVYX는 “무엇에 기반해서 말하는가”에 집중합니다:

주장 → 근거 논문 DOI → 저널 신뢰도 → 연구 설계 → 표본 크기 → 효과 크기 → 안전성 데이터

말이 아니라 증거의 구조를 평가하는 것이죠.

구조적 신뢰성의 구체적 예시

기존 방식으로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는 허위 정보:

“하버드 대학 연구진이 발표한 획기적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 천연 성분은 임상시험에서 놀라운 효과를 보였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를 혁신적 발견이라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TERVYX 검증 과정:

  1. “하버드 대학 연구” → 구체적 DOI 요구

  2. DOI 없음 → 근거 부족으로 판정

  3. 또는 DOI 있지만 내용 불일치 → 왜곡 인용으로 판정

  4. 저널 신뢰도, 연구 설계, 통계적 유의성 모두 검증

  5. 안전성 데이터 부족 시 추가 감점

결과: 그럴듯한 표현에도 불구하고 낮은 신뢰도

왜 이 접근이 중요한가?

1. AI 시대의 대응 생성형 AI는 그럴듯한 언어 생성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DOI를 조작하거나 허위 데이터를 생성하기는 훨씬 어렵죠.

2. 확장 가능성 언어 패턴은 문화와 시대에 따라 변하지만, 과학적 증거의 구조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입니다.

3. 투명성 판단 과정의 모든 단계가 추적 가능하고 검증 가능합니다.

5. 특허-논문-데이터셋 3중축의 발상

TERVYX의 가장 혁신적인 아이디어는 단일 검증이 아닌 삼각 검증 구조입니다.

각 축의 역할과 한계

특허 (권리와 구현)

  • 역할: 기술적 방법론의 독창성과 구현 가능성 보장

  • 강점: 법적 보호, 상세한 구현 명세

  • 한계: 상업적 목적, 실증적 검증 부족

논문 (이론과 검증)

  • 역할: 과학적 방법론과 실험적 검증 제공

  • 강점: 동료검토, 학술적 엄밀성

  • 한계: 이론과 실제 구현 사이의 간극

데이터셋 (재현성과 투명성)

  • 역할: 실제 구현체와 재현 가능한 결과 제공

  • 강점: 완전한 투명성, 즉시 검증 가능

  • 한계: 해석과 맥락 정보 부족

삼각 검증의 시너지 효과

세 축이 결합될 때 나타나는 1+1+1=10 효과:

상호 보완성

  • 특허의 구현 명세 ↔ 논문의 이론적 정당성

  • 논문의 방법론 ↔ 데이터셋의 실제 구현

  • 데이터셋의 투명성 ↔ 특허의 법적 보호

신뢰도 증폭

  • 단일 소스: 편향 가능성 상존

  • 이중 소스: 일치 여부만 확인 가능

  • 삼중 소스: 패턴 감지와 이상치 탐지 가능

시간적 안정성

  • 개별 문서는 수정, 삭제, 변조 가능

  • 삼중 구조는 하나가 변조되어도 다른 둘과의 불일치로 감지

구체적 상호 참조 구조

TERVYX의 3중축은 순환 참조 구조를 가집니다:

특허 "비과학적 건강정보 주장 검증 시스템 — R-Φ-J-U 하이브리드 절차 및 라벨링 방법"
  (구현 근거)
논문 "TERVYX Protocol v1.0: A Reproducible Governance & Labeling Standard" 
  (재현 데이터)
데이터셋 "TERVYX Implementation Dataset: TEL-5 Gates, REML Meta-Analysis"
  (순환 참조)
특허

6. 왜 DOI인가: 영구적 추적 가능성

DOI(Digital Object Identifier) 선택은 TERVYX의 철학을 보여주는 핵심 결정입니다.

DOI의 고유한 특성

영구성 (Persistence)

  • URL은 변경/삭제 가능, DOI는 영구적

  • 기관이 바뀌어도 DOI는 새 위치로 리다이렉트

유일성 (Uniqueness)

  • 전 세계적으로 고유한 식별자

  • 중복이나 충돌 불가능

메타데이터 풍부성

  • 저자, 발행일, 라이선스, 관계 정보 등 구조화된 메타데이터

  • Crossref API를 통한 자동 검증 가능

TERVYX DOI 체계

Paper DOI: 10.5281/zenodo.17365759

  • 이론적 프레임워크

  • 방법론적 정당성

  • 기존 연구와의 차별점

Dataset DOI: 10.5281/zenodo.17364486

  • 완전한 구현체

  • 재현 가능한 예제

  • 벤치마크 테스트 결과

Patent DOI: 10.5281/zenodo.17366174

  • R-Φ-J-U 절차 명세

  • 상업적 보호 장치

  • 구현 세부사항

DOI 기반 신뢰 그래프

이 세 DOI는 서로를 명시적으로 인용합니다:

{
  "paper": {
    "cites": ["patent_doi", "dataset_doi"],
    "cited_by": ["dataset_doi", "patent_doi"]
  },
  "dataset": {
    "documents": "paper_doi",
    "implements": "patent_doi"  
  },
  "patent": {
    "is_documented_by": "paper_doi",
    "is_implemented_by": "dataset_doi"
  }
}

이런 상호 참조 네트워크는 검색 엔진과 학술 데이터베이스에서 하나의 연결된 연구 클러스터로 인식됩니다.


AI 시대, 유사의학과 허위 건강정보 검증 시스템: TERVYX protocol image 4

3부: 3중축 구조 (고급 이해)

7. 특허: R-Φ-J-U 하이브리드 절차의 지적재산권

특허의 핵심 청구항

특허 "비과학적 건강정보 주장 검증 시스템 — R-Φ-J-U 하이브리드 절차 및 라벨링 방법"은 다음과 같은 혁신을 보호합니다:

R-게이트 (Relevance): 초록 기준선 비교

  • 주장자가 제시한 근거 논문의 초록(Abstract)을 기준선으로 설정

  • 주장 내용과 초록 내용의 의미적 일치도를 정량화

  • 불일치 시 ABSTRACT_MISMATCH로 라벨링

Φ-게이트 (Phi): 자연법칙 검증

  • 물리·화학·생리학적 자연법칙 DB 구축

  • 주장이 에너지 보존, 500Da 피부투과 장벽 등 기본 원리 위배 여부 판정

  • 위배 시 즉시 차단 (다른 긍정 요소로 상쇄 불가)

J-게이트 (Journal): 출처 신뢰도

  • 10가지 지표의 가중합으로 저널 신뢰도 산출

  • 영향력 지수, 동료검토 투명성, 리트랙션율 등 종합 평가

  • 시간별 스냅샷으로 재현 가능한 평가 보장

U-모듈 (Unified): 운용 모드

  • 순차 모드: 비용 최소화를 위한 조기 종료

  • 병렬 모드: 완전한 피드백을 위한 전체 게이트 평가

  • 하이브리드 모드: 경계 사례만 병렬 재평가

기존 기술 대비 혁신성

기존 팩트체킹: 정성적 판단 → 주관성, 재현성 부족 TERVYX R-Φ-J-U: 정량적 절차 → 객관성, 완전한 재현성

기존 의료정보 검증: 전문가 개별 판단 → 확장성 한계 TERVYX: 자동화 + 전문가 검토 → 대규모 확장 가능

상업적 활용과 보호 범위

특허는 동일한 프레임워크의 상업적 복제를 방지하면서도, 학술 연구와 공익 목적 사용은 허용하는 구조입니다.

보호 대상:

  • R-Φ-J-U 순차 평가 절차

  • 초록 기준선 비교 방법론

  • 자연법칙 DB 기반 즉시 차단 메커니즘

  • 하이브리드 운용 모드 전환 알고리즘

허용 범위:

  • 학술 연구 목적 사용

  • 개별 게이트 아이디어의 변형 활용

  • 오픈소스 구현체 (비상업적)

8. 논문: TERVYX Protocol v1.0의 학술적 정당성

논문의 구조와 기여점

논문 "TERVYX Protocol v1.0: A Reproducible Governance & Labeling Standard for Health-Information Evidence"는 특허의 기술적 명세를 학술적으로 정당화합니다.

이론적 프레임워크

  • 기존 건강정보 검증 방법들의 체계적 리뷰

  • 다차원 신뢰도 평가의 수학적 모델

  • 베이지안 추론과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이론적 근거

방법론적 혁신

  • Evidence State Vector (ESV): 개별 연구의 표준화된 표현

  • Gate Governance Protocol (GGP): Φ→R→J→K→L 순차 평가

  • TERVYX Evidence Levels (TEL-5): 확률적 효과 추정의 5단계 라벨

실험적 검증

  • 5개 물질(마그네슘 글리시네이트, 오메가3 등)에 대한 파일럿 테스트

  • AUROC, 캘리브레이션 오차(ECE), 라벨 안정성 등 성능 지표

  • 기존 시스템 대비 개선 효과 정량화

학술적 엄밀성 보장 요소

PRISMA 가이드라인 준수

  • 체계적 문헌 고찰 과정의 완전한 문서화

  • 포함/제외 기준의 명확한 사전 정의

  • 편향 위험 평가의 표준화

통계적 방법론의 투명성

  • REML(Restricted Maximum Likelihood) 기반 메타분석

  •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의 시드 고정으로 재현성 보장

  • 모든 하이퍼파라미터와 임계값의 명시적 공개

동료검토 대응성

  • 모든 방법론적 선택에 대한 이론적 근거 제시

  • 대안적 접근법들과의 비교 분석

  •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의 솔직한 논의

9. 데이터셋: 재현 가능한 구현체

데이터셋의 구성과 활용

데이터셋 "TERVYX Implementation Dataset: TEL-5 Gates, REML Meta-Analysis, and Evidence Graphs"는 이론을 실제로 구현한 완전한 코드와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핵심 구성 요소:

tervyx-dataset/
├── protocol/
│   ├── tel5_thresholds.json      # TEL-5 임계값
│   ├── gate_weights.json         # 각 게이트 가중치  
│   └── policy_versions.json      # 정책 버전 이력
├── engines/
│   ├── reml_meta.py             # REML 메타분석 구현
│   ├── monte_carlo.py           #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   └── tel5_rules.py            # TEL-5 라벨 규칙
├── entries/
│   ├── magnesium_glycinate/     # 마그네슘 글리시네이트 케이스
│   ├── omega3/                  # 오메가3 케이스
│   └── vitamin_d/               # 비타민D 케이스  
└── validation/
    ├── benchmark_tests.py       # 벤치마크 테스트
    └── reproducibility_check.py # 재현성 검증

재현성 보장 메커니즘

환경 고정:

{
  "python_version": "3.11.x",
  "dependencies": {
    "numpy": "2.3.x", 
    "scipy": "1.11.x",
    "pandas": "2.1.x"
  },
  "random_seeds": {
    "monte_carlo": 20251005,
    "cross_validation": 42
  }
}

결정론적 파이프라인: 모든 계산이 시드 고정으로 동일한 결과를 보장합니다. LLM은 보조적 요약 작업에만 사용되며, 핵심 점수 산출은 완전히 결정론적입니다.

검증 스크립트:

def verify_reproducibility():
    """재현성 검증 - 동일한 입력으로 동일한 출력 보장"""
    original_results = load_reference_results()
  
    # 동일한 시드와 파라미터로 재실행
    new_results = run_full_pipeline(seed=20251005)
  
    # 수치적 동일성 검증 (부동소수점 허용오차 내)
    assert np.allclose(original_results, new_results, rtol=1e-10)
  
    return "Reproducibility verified"

확장성을 위한 설계

모듈화된 구조: 개별 게이트와 엔진을 독립적으로 수정/확장 가능합니다.

표준화된 인터페이스: 새로운 물질이나 카테고리 추가 시 기존 코드 수정 최소화.

자동화된 테스트: CI/CD 파이프라인으로 코드 변경 시 자동 검증.

10. 상호 참조 체계: 삼각 검증의 실현

Zenodo 메타데이터를 통한 연결

세 DOI는 Zenodo의 Related Identifiers 기능으로 명시적 연결:

{
  "related_identifiers": [
    {
      "identifier": "10.5281/zenodo.17365759",
      "relation": "documents",
      "scheme": "doi"
    },
    {
      "identifier": "10.5281/zenodo.17366174", 
      "relation": "implements",
      "scheme": "doi"
    }
  ]
}

Crossref를 통한 인용 네트워크

학술 인용 데이터베이스에서 하나의 연결된 연구 클러스터로 인식:

Google Scholar 검색 "TERVYX"3DOI 모두 상위 노출
각 DOI 페이지 → "관련 논문"에 다른 2DOI 자동 추천  
인용 분석 도구 → 삼각형 인용 패턴 인식

검증 가능한 일관성

자동 일관성 체크:

def verify_triple_consistency():
    """3중축 내용 일관성 검증"""
    paper_methods = extract_methods_from_paper()
    patent_claims = extract_claims_from_patent()
    dataset_implementation = extract_implementation_from_dataset()
  
    consistency_score = calculate_consistency(
        paper_methods, patent_claims, dataset_implementation
    )
  
    assert consistency_score > 0.95, "Inconsistency detected"
  
    return consistency_score

버전 동기화: 한 DOI가 업데이트되면 다른 DOI들도 관련 부분 업데이트하여 일관성 유지.

이러한 3중축 구조를 통해 TERVYX는 단순한 도구를 넘어서 자가 검증하는 학술 인프라로 기능합니다. 어느 한 축이 조작되거나 오류가 있어도, 나머지 두 축과의 불일치를 통해 문제를 감지할 수 있죠.


AI 시대, 유사의학과 허위 건강정보 검증 시스템: TERVYX protocol image 5

4부: 기술적 깊이 (전문가)

11. TEL-5 게이트 시스템: 다차원 위험 필터링

TEL-5(TERVYX Evidence Levels)는 건강정보의 다층적 위험 구조를 체계적으로 다루는 게이트 시스템입니다.

AI 시대, 유사의학과 허위 건강정보 검증 시스템: TERVYX protocol image 6

게이트 설계 철학: 단조 불변성

위험도가 높은 정보가 위험도가 낮은 정보보다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없다

단조성 원칙은 각 게이트가 독립적이면서도 전체적 일관성을 보장합니다.

Φ (Phi) Gate: 자연법칙 위배 검증

가장 엄격한 첫 번째 관문으로, 물리·화학·생리학적 기본 원리 위배를 탐지합니다.

AI 시대, 유사의학과 허위 건강정보 검증 시스템: TERVYX protocol image 7

에너지 보존 법칙 체크:

입력 없는 에너지 증폭 주장 → 즉시 차단
"자석 팔찌로 체내 에너지 300% 증가" → Φ-BLACK

500Da 분자량 피부투과 한계:

500Da 초과 물질의 "즉시 피부 흡수" 주장 → 차단
콜라겐(300kDa)"피부 직접 흡수" → Φ-BLACK

pH 항상성 원리:

"전신 pH를 장기간 변화시킨다" 주장 → 차단  
"알칼리수로 체내 pH 조절" → Φ-BLACK

R (Relevance) Gate: 근거-주장 정합성

논문 초록을 기준선(baseline)으로 삼아 주장과 근거의 일치도를 평가합니다.

초록 기준선의 장점:

  • 저자가 연구 핵심을 요약한 부분

  • 과장이나 왜곡이 상대적으로 적음

  • 구조화된 형식 (목적, 방법, 결과, 결론)

불일치 탐지 예시:

주장: "비타민C가 감기를 완전히 예방한다"
초록: "비타민C 보충이 감기 발생률을 12% 감소시켰다"
결과: ABSTRACT_MISMATCHR-AMBER

AI 시대, 유사의학과 허위 건강정보 검증 시스템: TERVYX protocol image 8

J (Journal Trust) Gate: 출처 신뢰도

10개 지표의 가중합으로 저널 신뢰도를 정량화합니다:

스코어카드 구성:

1. PRTI (동료심사 투명성): 12%
2. ICS (인덱싱 상태): 10% 
3. TTP (게재 소요시간): 10%
4. CAR (인용-영향력 정합): 10%
5. HHIc (저자 집중도): 8%
6. ADR (리트랙션율): 15%
7. EDR (편집위원 다양성): 8%
8. OAFC (오픈액세스 투명성): 7%
9. RI (리트랙션 인덱스): 10%
10. PCR (사전등록율): 10%

최종 J-Score 계산:

J = normalize(Σ wᵢ·sᵢ) × IF_norm × ln(C+1)

여기서:
- wᵢ: 각 지표 가중치
- sᵢ: 지표별 점수
- IF_norm: 분야 정규화된 영향력 지수
- C: 인용 횟수

K (Safety) Gate: 안전성 절대 평가

다른 게이트와의 차별점: K 게이트는 절대적 차단 권한을 가집니다. 아무리 J-Score가 높아도 심각한 안전성 위험이 있으면 차단됩니다.

안전성 임계값:

심각한 부작용 발생률 > 1% → 즉시 차단
생명 위험 부작용 1건이라도 → 즉시 차단  
금기사항 인구 집단 → 해당 집단에서 차단

L (Language) Gate: 과장 언어 감쇄

마케팅적 과장이나 선동적 표현을 탐지하여 감점 적용:

과장 키워드 패턴:

한국어: "완전(히)? (치료|완치)", "즉시|바로|당장", "만병통치"
English: "cure|completely.*cured", "instant(ly)?", "miracle"

감쇄 규칙:

exaggeration_penalty = min(0.5, keyword_count * 0.1)
final_score = base_score * (1 - exaggeration_penalty)

12. REML 메타분석 + Monte Carlo: 통계적 엄밀성

REML의 선택 이유

DerSimonian-Laird vs REML:

  • DL: 간단하지만 τ² 과소추정 경향

  • REML: 더 정확한 이질성 추정, 보수적 접근

REML 구현:

def reml_tau2(y, v):
    """REML을 이용한 τ² 추정"""
  
    def restricted_nll(tau2):
        """제한적 음로그우도 함수"""
        vt = v + tau2
        w = 1.0 / vt
        mu = np.sum(w * y) / np.sum(w)
      
        return 0.5 * (
            np.sum(np.log(vt)) + 
            np.log(np.sum(w)) + 
            np.sum((y - mu)**2 * w)
        )
  
    # 격자 탐색 + 국소 정제
    result = minimize_scalar(restricted_nll, bounds=(0, 100), method='bounded')
  
    return max(0.0, result.x)

Monte Carlo 시뮬레이션

추정된 μ̂와 τ²를 바탕으로 효과 분포를 시뮬레이션:

def monte_carlo_simulation(mu_hat, var_mu, tau2, n_draws=10000, seed=20251005):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으로 P(effect > δ) 계산"""
  
    np.random.seed(seed)  # 재현성 보장
  
    # 메타분석 평균의 분포에서 샘플링
    draws = np.random.normal(mu_hat, np.sqrt(var_mu), n_draws)
  
    return draws

효과 크기 통합 및 방향 정규화

모든 효과를 유익한 방향이 양수가 되도록 통일:

def unify_direction(effect_type, value, benefit_direction):
    """효과 크기 방향 통일"""
  
    if effect_type in ['OR', 'RR']:
        # 로그 변환 후 방향 적용
        return np.log(value) * benefit_direction
    else:
        # SMD, MD는 직접 방향 적용
        return value * benefit_direction

예시 - PSQI 수면 질 점수:

원본: PSQI 감소 = 수면 개선 (음수가 좋음)
통일 후: benefit_direction = -1 적용하여 양수가 개선을 의미하도록 변환

TEL-5 티어 매핑

Monte Carlo 결과를 5단계 라벨로 변환:

def assign_tel5_tier(p_effect_gt_delta):
    """P(effect > δ) 값을 TEL-5 티어로 변환"""
  
    if p_effect_gt_delta >= 0.80:
        return "Gold", "PASS"
    elif p_effect_gt_delta >= 0.60:
        return "Silver", "PASS"  
    elif p_effect_gt_delta >= 0.40:
        return "Bronze", "AMBER"
    elif p_effect_gt_delta >= 0.20:
        return "Red", "AMBER"
    else:
        return "Black", "FAIL"

13. 버전 DOI와 재현성 보장 체계

버전 DOI vs Concept DOI

TERVYX는 버전 DOI만 사용합니다:

버전 DOI: 10.5281/zenodo.17365759 (v1 고정, 영구 불변)
Concept DOI: 10.5281/zenodo.1736575X (최신 버전으로 리다이렉트)

버전 DOI 사용 이유:

  • 완전한 재현성: 과거 인용이 절대 무효화되지 않음

  • 스냅샷 고정: 특정 시점의 정책과 데이터로 고정

  • 진화 추적: v1 → v2 → v3 변화 과정 투명하게 기록

Policy Fingerprint

모든 판정에는 정책 지문이 포함됩니다:

{
  "policy_fingerprint": "sha256:a1b2c3d4e5f6...",
  "components": {
    "tel5_levels": "v1.0",
    "monte_carlo": "v1.0.1-reml-grid", 
    "journal_trust": "2025-10-05",
    "phi_gate_rules": "v1.2"
  }
}

이 지문으로 동일한 조건에서 동일한 결과를 보장합니다.

Audit Hash Chain

각 엔트리는 감사 해시를 가집니다:

def generate_audit_hash(entry_data, policy_fingerprint):
    """감사 해시 생성 - 위변조 탐지용"""
  
    canonical_data = json.dumps(entry_data, sort_keys=True)
    combined_input = f"{canonical_data}:{policy_fingerprint}"
  
    return hashlib.sha256(combined_input.encode()).hexdigest()[:16]

14. 증거 그래프와 동적 업데이트

의존성 DAG (Directed Acyclic Graph)

TERVYX는 부분 재평가 DAG로 효율적 업데이트를 구현:

journal_trust@2025-10-05
         ↓
entry_sleep/v1 → simulation.json → entry.jsonld
         ↓
entry_cognition/v1 → ...

전파 규칙:

  • 저널 신뢰도 업데이트 → 모든 의존 엔트리 재계산

  • 개별 evidence.csv 변경 → 해당 엔트리만 재계산

  • 카테고리 임계값(δ) 변경 → 해당 카테고리 전체 재계산

증거 그래프 구조

{
  "nodes": [
    {
      "id": "pmid_12345678",
      "type": "rct",
      "effect_size": 0.25,
      "n_total": 156,
      "journal_trust": 0.78
    }
  ],
  "edges": [
    {
      "from": "pmid_12345678", 
      "to": "pmid_87654321",
      "relation": "cites",
      "weight": 1.0
    }
  ],
  "computed_properties": {
    "cluster_consistency": 0.82,
    "network_reliability": 0.76
  }
}

자동 업데이트 트리거

PubMed API 모니터링:

def monitor_new_evidence():
    """새로운 증거 자동 감지"""
  
    for category in MONITORED_CATEGORIES:
        new_papers = pubmed_api.search(
            query=category.search_terms,
            since_date=last_update_date
        )
      
        for paper in new_papers:
            if paper.relevance_score > RELEVANCE_THRESHOLD:
                trigger_entry_update(category, paper)

Retraction Watch 연동:

def monitor_retractions():
    """철회 논문 자동 감지 및 처리"""
  
    retractions = retraction_watch_api.get_recent_retractions()
  
    for retraction in retractions:
        affected_entries = find_entries_citing(retraction.doi)
      
        for entry in affected_entries:
            entry.remove_evidence(retraction.doi)
            entry.recalculate_scores()
            entry.increment_version()

이러한 동적 업데이트 시스템을 통해 TERVYX는 정적인 스냅샷이 아닌 살아있는 증거 생태계를 구축합니다. 새로운 연구가 나올 때마다 자동으로 반영되어, 항상 최신 과학적 합의를 반영하면서도 과거 버전의 재현성은 그대로 보장하죠.


AI 시대, 유사의학과 허위 건강정보 검증 시스템: TERVYX protocol image 9

5부: 실전 적용 (실무자)

15. 케이스 스터디: 마그네슘 글리시네이트

실제 TERVYX 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마그네슘 글리시네이트의 수면 효과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입력: 검증할 주장

"마그네슘 글리시네이트 400mg을 취침 전 복용하면 수면의 질이 개선됩니다"

1단계: Evidence State Vector (ESV) 구성

관련 연구 3편을 식별하고 표준화:

연구설계대상자효과크기 (PSQI)95% CI저널
Study ARCT46명-0.32[-0.55, -0.09]Sleep Medicine
Study BRCT58명-0.15[-0.38, 0.08]Nutrients
Study CRCT71명-0.28[-0.51, -0.05]Magnesium Research
PSQI: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낮을수록 좋음)

2단계: TEL-5 게이트 평가

Φ (Phi) Gate: 자연법칙 검증

  • 마그네슘의 NMDA 수용체 조절 → 생리학적으로 타당 ✓

  • 400mg 용량 → 독성 임계값 이하 ✓

  • 결과: Φ = 0.9 (자연법칙 위배 없음)

R (Relevance) Gate: 근거-주장 일치성

  • 주장: “수면의 질 개선”

  • 근거 논문들: PSQI, 수면 시간, 수면 효율 측정

  • PICO 매칭 점수: 0.85 (높은 일치도)

  • 결과: R = 0.85

J (Journal Trust) Gate: 저널 신뢰도

Sleep Medicine: IF=4.8, SJR=1.2, DOAJ 등재 → J=0.82
Nutrients: IF=5.7, SJR=0.9, 오픈액세스 → J=0.75  
Magnesium Research: IF=2.1, 전문 학술지 → J=0.65

가중 평균 (표본크기 기준): J = 0.74

K (Safety) Gate: 안전성 평가

  • 마그네슘 글리시네이트 400mg → 권장 상한선(350mg) 약간 초과

  • 보고된 부작용: 경미한 위장 장애 3%, 설사 1%

  • 심각한 부작용: 없음

  • 결과: K = 0.92 (안전함)

L (Language) Gate: 과장 언어 검사

  • “개선됩니다” → 단정적 표현이지만 과장은 아님

  • 금지 키워드 (“완치”, “즉시”, “기적”) 없음

  • 결과: L = 0.95

3단계: REML 메타분석

방향 통일: PSQI 감소 = 개선이므로 benefit_direction = -1 적용

# 변환된 효과크기 (개선 = 양수)
y = [0.32, 0.15, 0.28]  # 절댓값 + 부호 반전
v = [0.0132, 0.0121, 0.0133]  # 분산

# REML 추정
tau2 = 0.009  # 이질성
mu_hat = 0.24  # 통합 효과크기
var_mu = 0.0032  # 분산
I2 = 12.4%  # 낮은 이질성

4단계: Monte Carlo 시뮬레이션

# δ = 0.20 (수면 카테고리 임계값)
n_draws = 10000
seed = 20251005

draws = np.random.normal(mu_hat=0.24, std=np.sqrt(0.0032), size=n_draws)
p_effect_gt_delta = np.mean(draws > 0.20)

# 결과: P(effect > δ) = 0.683

5단계: TEL-5 라벨 할당

p = 0.683
if p >= 0.80: tier = "Gold"
elif p >= 0.60: tier = "Silver"  # ← 해당
elif p >= 0.40: tier = "Bronze"

최종 라벨: Silver (PASS)

최종 출력: entry.jsonld

{
  "@context": "https://schema.org/",
  "@type": "Dataset", 
  "identifier": "10.5281/zenodo.17364486/magnesium_glycinate_sleep_v1",
  "name": "Magnesium Glycinate — Sleep Quality",
  
  "tel5_assessment": {
    "tier": "Silver",
    "label": "PASS", 
    "confidence": "Moderate evidence for sleep quality improvement",
    "p_effect_gt_delta": 0.683
  },
  
  "gate_results": {
    "phi_nature": 0.9,
    "r_relevance": 0.85, 
    "j_journal": 0.74,
    "k_safety": 0.92,
    "l_language": 0.95
  },
  
  "statistical_summary": {
    "n_studies": 3,
    "total_participants": 175,
    "pooled_effect": 0.24,
    "confidence_interval": [0.12, 0.36],
    "i2_heterogeneity": 12.4,
    "tau2": 0.009
  },
  
  "evidence_papers": [
    {"doi": "10.1016/j.sleep.2023.001", "weight": 0.35},
    {"doi": "10.3390/nu15123456", "weight": 0.33}, 
    {"doi": "10.1007/s11130-023-789", "weight": 0.32}
  ],
  
  "audit_trail": {
    "policy_fingerprint": "sha256:7f8e9a1b2c3d4e5f...",
    "computation_date": "2025-01-17",
    "audit_hash": "0x7a8c9d2e1f3b4a5c",
    "reproducible": true
  }
}

16. TERVYX 활용 시나리오와 비즈니스 모델

주요 활용 시나리오

1. 의료진/약사를 위한 EBM 도구

현실적 니즈: “환자가 인터넷에서 본 정보에 대해 물어볼 때, 빠르고 정확한 답변이 필요”

환자: "유튜브에서 마그네슘이 불면증에 좋다고 하던데..."
의료진: [TERVYX 조회] "Silver 등급이네요. 중간 수준의 근거가 있지만, 
        귀하의 신장 기능과 복용 중인 약물을 고려하면..."

비즈니스 가치: 상담 효율성 증대, 환자 신뢰도 향상

2. 건강 플랫폼의 콘텐츠 큐레이션

현실적 니즈: “수많은 건강 콘텐츠 중 신뢰할 만한 것만 사용자에게 노출”

def content_filter(health_articles):
    filtered = []
    for article in health_articles:
        tervyx_score = check_tervyx_db(article.claims)
        if tervyx_score.label in ['PASS']:
            article.trust_badge = tervyx_score.tier
            filtered.append(article)
    return filtered

비즈니스 가치: 플랫폼 신뢰도 증대, 법적 리스크 감소

3. 보충제/건강식품 업체의 마케팅 검증

현실적 니즈: “과대광고 규제 강화 상황에서 객관적 근거 기반 마케팅 필요”

기존: "기적의 수면 솔루션!" → 과대광고 위험
TERVYX 기반: "TERVYX Silver 등급 인증 - 중간 수준의 과학적 근거"

비즈니스 가치: 규제 리스크 최소화, 차별화된 신뢰성 어필

4. 정부/규제기관의 모니터링 도구

현실적 니즈: “온라인상의 건강 관련 허위·과장 정보를 효율적으로 감지·대응”

def regulatory_monitoring():
    suspicious_claims = crawl_online_health_claims()
  
    for claim in suspicious_claims:
        tervyx_result = evaluate_claim(claim)
      
        if tervyx_result.label == 'FAIL':
            alert_regulatory_team(claim, tervyx_result.reasoning)

비즈니스 가치: 공공 안전 확보, 행정 효율성 증대

좋아, 이어지는 완성본(붙여넣기용)을 17번부터 끝까지 한 번에 정리했어. 위에 네가 쓴 1–16부 뒤에 그대로 붙이면 된다. (DOI/링크는 전부 버전 DOI 기준)


17. 로드맵: 1,000개 엔트리 확장 전략

Phase 1 — 파일럿(완료)

  • 범주: 수면·인지·정신건강·심혈관·신장안전 5대 카테고리

  • 산출: 엔트리 20개·리뷰 체크리스트·QA 스크립트 정립

Phase 2 — 1,000개 확장(진행)

  • 카탈로그 구동: registry/catalog.csv(slug, category, status, confidence)

  • 자동 분류(룰 엔진): MeSH/도구/엔드포인트 점수화 → 저신뢰만 수동 검토

  • 병렬 빌드: make build-approved -j 8 (카테고리 매트릭스)

  • QA 가드: PRISMA included == n_total, tau2_method == "REML", audit_hash 형식

  • 성능 목표: 엔트리 1,000개 기준 전체 빌드 < 2시간(8코어 기준)

Phase 3 — 외부 검증/도입

  • 임상전문가 블라인드 리뷰: 카테고리별 100개 랜덤 샘플 평가

  • 플랫폼 PoC: 건강 플랫폼·약국 체인에 라벨 API 제공

  • 인용 유도: 학회 발표/프리프린트/커뮤니티 콜


18. 인용·참여·투자 방법

인용(버전 DOI만 사용)

참여

협력/투자 문의

  • 사용처(플랫폼/병원/정부), 컨설팅/엔터프라이즈 라이선스는 레포 이슈 또는 이메일로 연락.


19. 케이스 스터디: 마그네슘 글리시네이트(요약판)

  • 주장: “취침 전 마그네슘 글리시네이트 400mg → 수면질 개선”

  • 게이트 결과: Φ=0.90, R=0.85, J=0.74, K=0.92, L=0.95

  • 통계: REML μ̂=0.24, I²=12.4% → MC P(effect>δ=0.20)=0.683

  • 라벨: TEL-5 = Silver (PASS)

  • 주의: 실제 임상 적용은 개인 상황/병용약 고려 필요(의료조언 아님)

상세 표/도표/참고문헌은 데이터셋 DOI 내 예시 엔트리를 참조.


20. TERVYX vs 기존 솔루션(요약표)

구분기존 팩트체킹메디컬 포털LLM 헬스 어시스턴트TERVYX
판단 기준서술·전문가 판단가이드라인 요약텍스트 생성구조·통계·게이트
투명성제한적중간낮음(블랙박스)감사 로그·버전 DOI
재현성낮음보통낮음결정론 경로(LLM 非의존)
업데이트느림느림중간DAG 부분 재산출
안전성보조적중간위험K-게이트 절대 차단

21. FAQ

Q1. 왜 LLM을 핵심 산출에 안 쓰나요? A. 요약/정규화 보조에는 쓰되, 라벨/점수는 결정론 경로(REML/MC/게이트)만 사용합니다. 재현성·감사성 때문입니다.

Q2. 1,000개 넘게 만들면 관리 가능해요? A. 가능. 카탈로그·룰 엔진·부분 재평가 DAG로 스케일·갱신 모두 커버합니다.

Q3. 내 콘텐츠/제품에 라벨을 붙이고 싶어요. A. API/배치 평가 지원. 심사 로그와 근거 그래프를 함께 제공합니다(엔터프라이즈).

Q4. 상업적 복제는 가능한가요? A. 연구/학술 목적 사용은 자유(MIT). 동일 프레임워크 상업 복제는 특허로 제한됩니다. 상업적 활용은 별도 협의.


22. 법적 고지·라이선스

  • 의료조언 아님: 본 문서 및 산출물은 일반 정보 제공이며 의료행위를 대체하지 않습니다.

  • 저작권/라이선스:

    • 코드/문서: MIT(학술/연구 자유)

    • 데이터셋/논문: CC BY 4.0

    • 특허: 상업적 프레임워크 복제 금지 — 사용 문의 요망

  • 표장: “TERVYX” 명칭/로고 사용 시 출처 표기 필요


23. 결론 — 무질서 위에 세운 신뢰 인프라

TERVYX는 특허·논문·데이터셋 3중축Φ→R→J→K→L 게이트 + TEL-5로, “그럴듯한 말”이 아니라 근거의 구조를 고정합니다. AI가 만든 정보의 바다에서, 누가·무엇을·왜 믿을지 결정하는 운영체계가 필요합니다. TERVYX는 그 최소 단위이자, 확장 가능한 표준형 블록입니다.

오늘의 결과는 버전 DOI로 고정됩니다. 내일 더 나은 근거가 나오면 새 버전으로 재평가합니다. 변하지 않는 건 ‘재현 가능한 절차’뿐 — 이것이 TERVYX의 약속입니다.


AI 시대, 유사의학과 허위 건강정보 검증 시스템: TERVYX protocol image 10

Contact: moneypuzzler@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