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콘텐츠로 건너뛰기
page thumbnail

구글 Notebook LM이 분석한 분야별 필독서 가이드(뇌과학, 역사, 철학, 심리학, 문학 등)

Elijah
Elijah
조회수 59
요약

구글의 최신 AI 도구 Notebook LM에 '소스 검색'을 통해 추천 도서 목록을 추출했다. 특별한 기술(?)은 넣지 않았고 그냥 소스란에 키워드만 넣었다. 그 결과, 역사·철학·심리학·뇌과학·문학 5개 분야 핵심 도서들이 정리되었고 나열해본다.

notebook lm 책 소스

📖 1. 역사 (History)

역사는 과거를 통해 현재를 이해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학문입니다. 세계사부터 한국사, 역사학 방법론까지 폭넓게 다루는 책들을 모았습니다.

역사학 입문 & 방법론

  • 『역사의 역사』 (유시민) - 역사란 무엇인가를 고민하며 다양한 역사학자들의 시각과 접근법을 정리

  • 『역사를 위한 변명』 (마르크 블로크) - 역사가의 역할과 방법론을 논의한 아날 학파의 선구적 저서

  • 『역사의 쓸모』 (최태성) - 자유롭고 떳떳한 삶을 위한 통찰을 역사에서 얻는 방법

세계사

  • 『세계사를 바꾼 50가지 음식』 (빌 프랜시스) - 음식이 세계사의 흐름과 문명 발전에 미친 영향

  • 『고대 로마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필립 마티작) - 고대 로마인의 일상생활과 사회 구조 복원

  • 『유럽사 산책』 (최용범) - 유럽사의 주요 사건과 인물들을 쉽게 풀어낸 교양서

  • 『나의 로망, 로마』 (김상근) - 로마에 살았던 사람들의 지혜와 인류 문명

  • 『대항해시대의 탄생』 (송동훈) - 세계사의 흐름을 바꾼 대항해시대의 인물과 역사

  • 『실크로드: 세계의 새로운 역사』 (피터 프랭코판) - 아시아와 중동 중심의 세계사 재조명

전쟁과 정치

  • 『펠로폰네소스 전쟁의 역사』 (투키디데스) - 정치, 전략, 인간 상태에 대한 교훈을 제공하는 고전

  • 『8월의 총들』 (바바라 W. 터크먼) - 제1차 세계대전으로 이어진 사건들의 생생한 설명

  • 『르네상스 전쟁 회고록』 (유발 하라리) - 르네상스 시대 군인들의 회고록을 통한 정체성 탐구

  • 『라이벌 팀: 에이브러햄 링컨의 정치적 천재』 (도리스 컨스 굿윈) - 링컨의 리더십 교훈

관점의 전환

  • 『만들어진 전통』 (에릭 홉스봄) - 전통의 창조 과정과 의미 분석

  • 『미국 민중의 역사』 (하워드 진) - 소외된 집단의 관점에서 본 미국사

한국사

  • 『징비록』 (류성룡) - 임진왜란 당시 조선 조정의 대응과 실패를 기록한 반성적 자료

  • 『쟁점 한국사- 전근대』 - 한국 고대사와 중세사의 핵심 쟁점 분석

  • 『토픽한국사12』 (김용태) - 고대사부터 근대사까지 12개 주요 토픽

  •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4』 (유홍준) - 북한 평양과 묘향산 등 관서지방 문화유산 기행

  • 『백범일지』 (김구) - KAIST 신입생 필독서 목록 포함

동양 고전 역사서

  • 『사기』 / 『사기열전』 (사마천) - 동양의 고전 역사서

  • 『삼국유사』 (일연) - 인문 고전 추천 역사서

  • 『역사』 (헤로도투스) - 서양 역사학의 아버지가 쓴 고전


🤔 2. 철학 (Philosophy)

철학은 삶의 본질적인 질문에 답하는 학문입니다. 동서양 고전부터 현대 철학까지 사유의 깊이를 더해줄 책들입니다.

역사철학

  • 『역사란 무엇인가』 (E. H. 카) - 역사철학의 고전, 역사가의 역할과 해석 방법 탐구

  • 『역사관의 유형들』 (데이비드 베빙턴) - 다양한 역사 이론을 소개하는 입문서

  • 『전체주의의 기원』 (한나 아렌트) - 20세기 전체주의 정권 부상에 대한 심오한 조사

현대 사회철학

  • 『더 나은 삶을 상상하라』 (토니 주트) - 신자유주의 비판과 복지 국가 방안 제시

  • 『철학이란 무엇인가?』 (버트런드 러셀) - 철학에서 다루는 문제들에 대한 명쾌한 설명

동양 철학 고전

  • 『논어』 (공자) - 철학 입문자에게 무조건 추천되는 동양 고전

  • 『맹자』 (맹자) - 논어 이후 공자 라인의 철학서

  • 『도덕경』 (노자) - 자연적 관점에서 세상을 바라보는 철학

  • 『장자』 (장자) - 우화 형식으로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노자 라인 철학서

  • 『손자병법』 (손자) - 전쟁술뿐 아니라 처세술과 현대 마케팅에도 응용 가능

  • 『한비자』 (한비자) - 처세술 관련 동양 철학서

  • 『채근담』 - 인생의 지침이 될 경구들을 담은 철학서

서양 철학 고전

  • 『소크라테스의 변명』, 『크리톤』, 『파이돈』 - 서양철학 입문에 추천되는 소크라테스 저서

  • 『국가』 (플라톤) - 인문 고전으로 추천되는 서양 철학의 정수

  • 『군주론』 (마키아벨리) - 정치철학의 고전

  • 『인간 불평등 기원론』 (루소) - 철학과 교양을 동시에 충족하는 책

실천철학

  • 『소유냐? 존재냐?』 (에리히 프롬) - 삶의 방식을 소유와 존재로 나누어 탐구

  • 『화에 대하여』, 『관용에 대하여』, 『평정심에 대하여』, 『현자의 항상심에 대하여』 (세네카) - 감정을 다스리는 스토아 철학의 결정판


🧠 3. 심리학 (Psychology)

인간의 마음과 행동을 과학적으로 이해하는 심리학 분야입니다. 일상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책들을 선별했습니다.

입문 & 실험심리학

  • 『세상에서 가장 재미있는 63가지 심리실험』 - 뇌과학과 심리학 입문자에게 추천

인지심리학

  • 『인지심리학』 (존 폴 민다) - 인간의 생각, 기억, 선택의 메커니즘을 최신 연구로 설명

  • 『화에 대하여』 (세네카) - 분노를 '인지 오류'로 간주하는 통찰이 현대 CBT와 유사

임상심리학 & 자조서

  • 『필링굿』 (데이비드 번스) - 우울증 탈출을 돕는 인지행동치료(CBT)의 기본서, 항우울제와 동등한 효과 연구 결과 존재

정신분석학

  • 『꿈의 해석』 (지그문트 프로이트) - 서울대 권장 도서 목록, 서양 사상 분야

※ 심리학과 뇌과학은 상호 연결되어 있어 뇌과학 섹션의 감정 이해 및 습관 관련 도서도 함께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 4. 뇌과학 (Neuroscience)

뇌과학은 우리의 생각, 감정, 행동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과학적으로 밝혀줍니다. 입문서부터 심화 이론서까지 단계별로 소개합니다.

입문 & 감정 이해

  • 『마음을 돌보는 뇌과학』 (안데르스 한센) - 우울, 불안, 스트레스 등 부정적 감정을 뇌과학으로 이해하고 다루는 방법 (입문/감정/습관 3개 분야 해당)

  • 『우울할 땐 뇌과학』 (엘릭스 코브) - 우울증을 신경과학 관점에서 분석

  • 『불안할 땐 뇌과학』 - 불안이 뇌에서 작동하는 방식 설명

  • 『처음 만나는 뇌과학 이야기』 - 뇌과학 기초 입문서

습관 형성 & 자기계발

  • 『움직임의 뇌과학』 - 움직임이 스트레스, 우울, 불안 해답이 되는 방식

  • 『독서의 뇌과학』 - 독서 습관이 뇌에 미치는 영향

  • 『운동의 뇌과학』 - 운동과 뇌 건강의 상관관계

  • 『정리하는 뇌』 - 정리 습관과 뇌의 관계

심화 뇌과학

  • 『이토록 뜻밖의 뇌과학』 - 뇌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싶은 독자를 위한 고급서

  • 『나를 알고 싶을 때 뇌과학을 공부합니다』 - 자아 이해를 위한 뇌과학

  • 『I of the Vortex』 - 전문적인 뇌과학 이론서

  • 『박문호 박사의 뇌과학 공부』 - 체계적인 뇌과학 학습서

감정과 의식

  •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감정 생성의 뇌과학적 메커니즘

  •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 무의식과 뇌의 관계

  • 『우리는 각자의 세계가 된다』 - 인식과 뇌의 상관관계

현대 사회와 뇌

  • 『인스타 브레인』 - 소셜미디어가 뇌에 미치는 영향

  • 『도파민네이션』 - 중독 사회와 도파민의 관계

  • 『마음의 기술』 - 뇌과학 기반 마음 관리법

행동과 사고

  • 『생각은 어떻게 행동이 되는가』 - 사고에서 행동으로의 전환 과정

  • 『뇌 과학이 인생에 필요한 순간』 - 일상에 적용하는 뇌과학 지식

학제간 연구

  • 『사피엔스: 인류의 간략한 역사』 (유발 하라리) - 진화 생물학을 문화, 정치, 경제와 연결한 광범위한 역사적 탐구

  • 『인지심리학』 (존 폴 민다) - 인지심리학과 인지신경과학의 융합, AI 시대 필수 교양


📕 5. 문학 (Literature)

문학은 인간의 감정과 사회를 예술적으로 표현합니다. 고전부터 현대까지, 한국문학부터 세계문학까지 균형있게 선정했습니다.

한국 현대문학

  • 『순이삼촌』 (현기영) - 제주 4·3 사건을 최초로 다룬 소설집, 제주도 민중의 고통 표현

  • 『고향』 - 한국문학 고전

  • 『광장』 - 한국문학 고전

  • 『무정』 - 한국 근대문학의 시작

  • 『삼대』 - 한국문학 고전

  • 『천변풍경』 - 한국문학 고전

  • 『토지』 - 대하소설의 걸작

  • 『채식주의자』 (한강) - 맨부커상 수상작

한국 고전문학

  • 『춘향전』 - 한국 고전 소설의 백미

  • 『구운몽』 - 한국 고전문학

  • 『열하일기』 (박지원) - 인문 고전 산문선

  • 『난중일기』 (이순신) - 역사적 기록이자 문학작품

동양 문학

  • 『두보시집』 - 중국 시문학의 정수

  • 『이백 시집』 - 중국 낭만시의 대표작

  • 『홍루몽』 - 중국 4대 기서 중 하나

  • 『루쉰 소설집』 - 중국 근대문학의 아버지

서양 고전문학

  • 『그리스 비극』 - 서양 문학의 원형

  • 『일리어드, 오딧세이아』 - 호메로스의 대서사시

  • 『돈키호테』 - 근대 소설의 효시

  • 『파우스트』 - 괴테의 대표작

서양 근현대문학

  • 『변신』 - 카프카의 실존주의 소설

  • 『마의 산』 - 토마스 만의 장편소설

  • 『백년의 고독』 - 마술적 사실주의의 걸작

  • 『죄와 벌』 (도스토옙스키) - 러시아 문학의 거장

증언문학

  • 『이것이 인간인가』 (프리모 레비) - 아우슈비츠 수용소 경험을 증언한 현대 증언문학의 고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