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Hub Spec Kit으로 시작하는 스펙 기반 개발

Spec Kit의 탄생과 인기
Spec Kit은 GitHub에서 만든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출시 후 단 일주일 만에 16,300개 이상의 별점을 받으며 개발자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개발자 커뮤니티의 활발한 참여와 실험, 피드백이 Spec Kit의 발전에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스펙 기반 개발의 필요성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감(분위기) 코딩'은 일관성도 없고 구현이나 디자인이 어설퍼질 수 있습니다. 스펙 기반 개발은 명확한 요구사항과 비전을 먼저 정의해, 각 단계마다 체계적으로 개발을 이어갈 수 있게 해줍니다.
스펙킷의 주요 기능
Spec Kit은 개발 초기에 필요한 구성 요소와 템플릿을 자동으로 준비해주는 CLI 도구(specify CLI)를 제공합니다. CLI를 사용하면 손쉽게 프로젝트 세팅이 가능하고, 템플릿만 직접 다운로드해서 사용하는 방법도 있으니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에이전트와 스크립트 지원
Spec Kit은 여러 AI 에이전트(예: Copilot, Cloud Code, Cursor)와 연동이 쉬운 구조입니다. Windows에서는 PowerShell, Linux에서는 Bash와 같이 각 환경에 맞는 스크립트를 활용해 설치나 설정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의 핵심 원칙: Constitution 파일
프로젝트마다 반드시 지켜야 하는 원칙이나 환경(예: 테스트 필수, 기술 스택 제한 등)은 constitution 파일에 선언합니다. 이 파일은 일종의 프로젝트 헌법으로, 개발과정의 모든 단계에서 참고하게 됩니다.
스펙 작성과 특징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프로젝트의 요구사항을 명확히 기술합니다. 예시:
"모던하고 매끈한 팟캐스트 웹사이트 구축"
"메인 페이지에 대표 에피소드 노출"
"20회 분량의 목업 데이터" 이처럼 기술적 세부사항이 아닌 목적과 사용자의 니즈에 집중합니다.
명확성 확보: 확인 및 수정
스펙을 작성하면서 애매한 부분이 있을 경우, AI에게 '최선의 추정'을 하도록 요청하거나 직접 수정·추가합니다. 모든 요구사항과 체크리스트가 채워졌는지 반드시 확인합니다.
기술 구현 계획의 수립
'plan' 명령을 통해 실제 사용 기술, 환경, 라이브러리 등 구체적인 개발 계획을 세웁니다. Constitution 파일의 규칙을 반영하며, 필요하면 클라우드 환경이나 호스팅 옵션도 추가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세분화된 작업목록 생성
'tasks' 명령을 이용해 실제 구현 단계를 세부 작업으로 나눕니다. 예를 들어, 테스트 먼저 작성 → 구현 → 문서화 등으로 작업을 자동으로 쪼갤 수 있어 효율적입니다.
실전 결과물의 확인과 반복 개선
모든 아티팩트(스펙, 플랜, 테스크 등)는 마크다운 파일로 저장되어 직접 수정, 공유, 반복 개선이 쉽게 가능합니다. 코드 생성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다른 모델이나 계획을 적용해 재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런 방식 덕분에 애매한 감(분위기) 코딩 대신, 목표와 원칙 기반의 구조적 개발이 가능해집니다.
커뮤니티와 지속적 개선
Spec Kit은 실험적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경험과 피드백이 매우 중요합니다. 깃허브의 이슈/풀리퀘스트를 통해 문제점과 개선점을 제시할 수 있으며, 복잡한 요구사항도 점진적으로 지원 범위를 넓혀가고 있습니다.
Source & Refere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