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그래픽 기술과 실전 최적화 포인트
FXAA 성능과 올바른 설정의 중요성
빠르고 저렴하게 주변 픽셀을 부드럽게 해주는 FXAA는, 설정에 따라 화질이 크게 달라집니다. 흔히 "화면이 흐려진다"고 오해하지만, 적절한 프리셋(preset 39)과 서브픽셀 블러 끄기 옵션을 적용하면 선명함을 유지한 채 계단 현상을 줄일 수 있습니다. 많은 게임에서 제대로 된 설정이 숨겨져 있어 FXAA의 진짜 장점이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벤트 노말로 현실적인 간접광 표현
빛의 반사가 복잡한 표면이나 오브젝트의 그림자 표현에선 벤트 노말이 큰 역할을 합니다. 특별한 채널 몇 개만 추가해도 훨씬 자연스러운 그림자와 하이라이트가 연출되지만, 복잡하다는 이유로 메인 캐릭터나 주요 오브젝트 정도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그 결과, 장면 전체의 광택이 어색하거나 빛샘 현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실용적인 텍스처 압축 방식 선택법
노멀 맵엔 BC5가 보통 쓰이지만, 샘플링 부담이 큽니다. 색상 정보에는 압축 품질이 크게 좌우되지 않으므로, 다양한 추가 정보(예: AO, 스페큘러)를 효율적으로 담으려면 BC3, BC4, BC7 등의 조합이 좋습니다. 최신 게임은 때때로 한 단계 더 강력한 압축(BC7)을 택하기도 하고, 아주 낮은 품질의 압축(BC1)은 예외적으로 저사양용에만 사용하는 게 실전입니다.
Forward Plus: 특별한 표현력과 현재의 한계
여러 동적 광원이 필요하면 Deferred 렌더링이 기본이지만, MSAA나 특수 효과에선 Forward Plus가 유리할 때가 있습니다. Detroit Become Human 등은 Forward Plus로 고급 효과(서브서피스, 부드러운 그림자 등)를 구현합니다. 반면, Unreal 엔진 등에서 사용되는 Forward Plus는 그림자에 한계가 있고, 일부 후처리와 충돌하는 경우가 있어 아직은 표준이 되지는 못했습니다.
그림자맵 활용과 품질 관리
그림자맵은 매우 가볍고 범용적이지만, 해상도가 낮으면 경계가 계단처럼 보이나 고해상도와 적정 소프트닝(흐림 효과)으로 간단히 극복할 수 있습니다. Days Gone 같은 게임들은 효율적인 최적화로 고품질 그림자를 구현했고, 일부 엔진(Unreal 등)은 기본 설정이 부족해 품질 저하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최근에는 캐릭터만을 위한 맞춤 그림자 방식도 도입되고 있습니다.
심도 효과(DOF) 구현의 노하우
심도 효과는 화면 일부만 흐릿하게 만들어 입체감을 줍니다. 대부분 과장되거나 뿌옇게 표현되지만, Warframe처럼 섬세한 CPU 제어로 명확하고 자연스럽게 만들 수 있습니다. Unreal 엔진의 DOF는 높은 연산량에 비해 경계 왜곡·과한 디더링 등 비주얼 문제도 많아, 세심한 효율 조절이 중요합니다.
GTAO와 SSAO: 주변광 처리의 실제 문제점
GTAO는 종종 레이트레이싱급 품질로 알려지지만, 실제론 화면 공간에 좁게 적용되어 주변에서 과한 그림자 후광이나 비현실적인 효과가 나타나기 쉽습니다. 얇은 오브젝트 경계가 특히 문제이며, HBAO 같은 다른 AO 방법이 이런 단점을 일부 보완합니다. 상황에 따라 적합한 AO 기술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VRS, 기대와 현실의 차이
Variable Rate Shading은 특정 화면 영역에서 연산을 줄여 프레임을 높일 수 있지만, 적용 범위가 제한적이며 품질 저하 위험도 큽니다. MSAA와 결합해 효율성을 높일 수 있지만, VRAM 부담·알파 처리 등 해결하기 어려운 점도 많습니다. 실제 효과보다 과장된 광고가 있어, 신중한 도입이 권장됩니다.
톤 매핑 설계와 색상 재현의 사례
최종 화질을 결정짓는 톤 매핑은 HDR 이미지를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열쇠입니다. Gran Turismo 7의 사례처럼, 엔진 내장 톤 매퍼 대신 직접 설계한 톤 매퍼를 쓰면 색상·광도·명암이 더욱 사실적으로 재현됩니다. 범용 톤 매퍼가 가진 색상 왜곡과 밝기 저하 한계를 뛰어넘은 케이스입니다.
Gaussian 대신 Colosse Blur의 등장
일반적으로 이미지 블러엔 Gaussian Blur가 쓰이지만, Intel 등에서 측정한 Colosse Blur는 더 선명하고 계산 비용도 적습니다. Metal Gear Solid V의 Bloom 효과가 대표적이며, 향후 더 좋은 품질의 블러 기술이 표준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출처 및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