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콘텐츠로 건너뛰기

다시 시작할 때, JavaScript 제대로 배우는 법

행귤
행귤
조회수 50
요약

실수에서 배우기: 나쁜 습관 버리기

많은 사람들이 자바스크립트 학습의 초반에 반복적으로 실수합니다. 예를 들어, 코드 구문 기억하기에 집착하거나, 이해도 없이 React부터 배우기 시작하고, 무한한 온라인 자료를 찾아 헤매기만 하죠. 진짜 성장하려면 튜토리얼만 반복하지 말고, 직접 코드를 작성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

자바스크립트의 강점: 왜 꼭 배워야 할까?

자바스크립트는 12년 연속으로 개발자 커뮤니티에서 가장 인기 있는 언어입니다. 웹 전반에서 핵심 역할을 하며, 프론트엔드·백엔드·모바일·데스크톱까지 거의 모든 곳에 쓰입니다. 스타트업과 기업은 필수적으로 자바스크립트를 활용하죠. 즉, 기술 업계로 진입하고 싶다면 반드시 익혀야 하는 언어입니다.

튜토리얼 지옥 탈출: 학습 리소스는 하나만 골라서 집중하기

시작할 때 최고의 학습 자료를 찾으려고 시간 낭비하지 마세요. 대표적으로 Odin Project나 Scribba의 입문 강의처럼 검증된 커리큘럼 하나만 선택해 꾸준히 따라가면 충분합니다. 빠른 첫 성취를 위해, Hello World 출력부터 직접 해보세요. 코드를 쓰는 순간부터 학습에 속도가 붙습니다.

80/20 원칙: 꼭 필요한 핵심만 먼저 익히기

초기에 모든 문법을 외울 필요 없습니다. 변수, 함수, 조건문, 반복문만 알면 거의 모든 기능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러니 처음엔 핵심 개념 20%에 집중하세요(전체 사용의 80% 차지). 나머지 복잡한 기능은 필요할 때마다 검색하며 배워도 늦지 않습니다.

웹 개발 환경 이해: HTML, CSS, Git 기초 먼저 다지기

자바스크립트가 실행될 환경(HTML, CSS)도 함께 배워야 합니다. 기본 태그, 폼, 입력, 스타일링, 반응형 레이아웃(플렉스박스, 미디어쿼리), 그리고 기본 Git 커맨드(저장소 만들기, add, commit, push 등)까지 익혀 두세요. 코딩도 요리처럼, 재료와 주방을 먼저 알아야 실력을 키웁니다.

기본 자바스크립트 개념 완전 정복

핵심 문법(변수, 자료형, 연산자, 제어문, 함수)부터, 배열과 객체, 주요 내장 함수(map, filter, reduce 등), 이벤트 처리(addEventListener, setTimeout 등)에 익숙해지세요. 이 부분이 흔히 실수를 유발하는 영역이니 충분히 연습해야 합니다.

// 예시: 배열 메서드 사용하기
const numbers = [1, 2, 3, 4];
const doubled = numbers.map(n => n * 2);

DOM 조작과 데이터 저장으로 인터랙티브 웹 만들기

웹 페이지를 조작하는 DOM 관련 메서드(querySelector, getElementById 등), 이벤트 리스너, 스타일 변경, 클래스 추가/삭제, 엘리먼트 생성 등은 필수입니다. 또한 로컬스토리지로 정보 저장/불러오기도 연습하세요. 추가로, async/await와 fetch 등 비동기 프로그래밍 기초도 해보면 좋습니다.

튜토리얼 대신 실제 프로젝트에 도전하기

진짜 개발 실력은 실패와 문제 해결에서 생깁니다. 튜토리얼 프로젝트를 그대로 따라하는 대신, 아이디어를 변형해서 직접 만들어보세요. 예를 들어, 재무 관리 앱, 할 일 관리 시스템, 날씨 대시보드 등 실용적인 프로젝트를 완성해보면서 코드를 깊이 이해하세요.

실전 경험: 읽고, 디버깅하고, 협업 익히기

개발자의 대부분 시간은 남의 코드를 읽고 분석하는 데 쓰입니다.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클론해 구조·패턴·결정 과정을 이해하세요. 브라우저 개발자 도구, 디버거, 단축키(control+클릭 등) 활용법도 익혀두면 협업과 유지보수에 큰 도움이 됩니다.

현대 개발 환경 적응: 리액트와 AI 도구의 활용 방법

자바스크립트 기본기가 충분히 다져진 후에 React, npm, package.json, 기본 테스트(jest), 빌드 환경(vite 등)으로 확장하세요. AI 도구(예: ChatGPT)도 똑똑하게 활용하되, 먼저 스스로 20분은 고민해보고 질문하는 습관을 들이세요. 전체 함수를 대신 써달라는 대신, 코드 리뷰나 개념 설명 요청만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흔한 학습 실수 피하기와 꾸준함의 힘

  • 준비만 하다 시작 못하는 ‘생산적 미루기’

  • 영어로 ‘shiny object syndrome’, 즉 프레임워크·언어만 바꿔가며 집중 못하는 습관

  • 튜토리얼만 보며 직접 코딩하지 않는 것

  • 너무 쉽게 도움만 요청하며 스스로 생각 안 하는 태도 이 모든 실수를 피하고, 하루 1~2시간이라도 꾸준하게 코드를 써보세요. 완성도 높은 자기 포트폴리오와 경험이 쌓이면, 취업·성장 모두에 도움이 됩니다.

진짜 중요한 것: 문제 해결력과 꾸준함

개발자는 코드를 외우는 사람이 아니라, 문제를 파악하고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사람입니다. 빠르게 배우는 데 집착하지 않고, 기본을 단단히 익혀가면 경력 내내 경쟁력을 갖게 됩니다. 프레임워크나 최신 기술은 바뀔 수 있지만, 문제 해결의 토대는 변하지 않습니다. 꾸준하게, 성실하게, 그리고 실제 프로젝트를 통해 배우는 게 가장 빠른 길입니다.

Sour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