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page thumbnail

Medium 자동 포스팅 중단 원인과 대안 정리

설탕사과
설탕사과
조회수 189
요약

Medium을 사랑하는 개발자와 블로거들에게 꽤 충격적인 변화가 다가왔습니다. 바로 Medium에서 OAuth 인증과 액세스 토큰 발급이 중단되면서, 기존 API 자동 포스팅 방식이 더는 작동하지 않게 된 것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그 변화의 원인, 해결책, 그리고 현실적인 자동화 대안까지 쉽고 알차게 정리합니다.

A modern and minimalistic illustration depicting a web developer analyzing changes in API authentication protocols, with abstract representations of disconnected tokens, code snippets, and digital security elements. Visualize the transition from old OAuth-based automation to new alternative solutions for automatic blog posting on a generic publishing platform. Use cool tones, clean lines, and a professional atmosphere without any text, logos, or specific branding; focus on abstract digital workflow and technological adaptation.

Medium OAuth 인증·액세스 토큰 발급 중단, 왜 갑자기?

Medium은 그동안 OAuth2 방식의 인증과 액세스 토큰 발급 정책으로 개발자들에게 자동 글쓰기 권한을 제공해왔습니다. 그러나 2024년부터 이 정책을 돌연 중단하면서 기존의 medium-sdk-python 같은 라이브러리를 통한 자동 포스팅이 불가능해졌습니다. 그 이유는 Medium의 보안 강화, 악용 방지, 그리고 서비스 안정화 차원의 정책 변경이 주요 배경으로 꼽힙니다.

이제는 공식적으로 인증을 받을 길이 막혀, 외부 앱에서 자동으로 글을 올리던 방식은 더 이상 동작하지 않습니다.

기존 medium-sdk-python 자동 포스팅, 어디서 막혔나?

medium-sdk-python 라이브러리나 기타 Medium용 API 클라이언트들은 기본적으로 OAuth 인증을 거쳐 발급받은 토큰으로 글을 올리도록 설계됐습니다. 하지만 2024년부터 이 토큰을 더 이상 발급해주지 않으니, 자동화 코드는 에러 메시지만 반환하게 되죠.

이미 잘 돌아가던 자동 포스팅 봇들이 갑자기 고장난 이유는 바로 이 '토큰 단절' 때문입니다. 인증 절차가 네트워크에서 막히니, 아무리 코드가 정교해도 힘을 쓸 수 없게 되었습니다.

2024년, 가능한 Medium 자동 포스팅 대체법은?

자, 그럼 지금부터는 현실적인 대안을 찾아야겠죠? Medium 공식 API의 인증 변화 이후 여러분이 쓸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Zapier 같은 워크플로우 자동화 서비스 활용 Zapier는 Medium 공식 액션을 지원하지 않지만, RSS 피드나 이메일을 활용한 우회적 포스팅 연결은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블로그 글이 새로 올라오면 Medium에 초안 이메일로 보내거나, RSS 피드를 활용해 자동화 워크플로우를 구성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2. 웹 자동화 툴(Puppeteer, Selenium 등) 활용 실제 브라우저를 띄워 로그인 후 글 작성 동작을 자동화하는 방법입니다. 기술적으로는 '사람이 직접 글쓰기를 하는 것'을 흉내 내기 때문에, 인증 차단을 우회할 수는 있지만 계정 정지나 리스크가 있으니 반드시 비공식 자동화임을 인식하고 제한적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3. RSS 피드 연동 통한 자동화 Medium은 외부 RSS 피드를 가져올 수는 없지만, 일부 써드파티 플랫폼이나 IFTTT, Integromat 등과 연동해 자동 초안 생성 또는 계정 연결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완전 자동 포스팅은 어렵지만, 반자동화 수준의 흐름을 만들 수 있습니다.

  4. 공식 Medium API 변경 상황 모니터링 Medium의 개발자 포럼이나 공식 커뮤니티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세요. 가끔씩 정책 변화, 새 인증 방법이나 API가 한정적으로 오픈되는 경우도 있어 실질적인 기회를 포착할 수 있습니다.

자동화 방식별 장단점과 실무 팁

  • Zapier/IFTTT: 인증 문제 없는 대신 완전 자동화(즉시 글 게시)는 어렵고, 초안/이메일 전송 수준에서 제한됩니다. 초안으로 올린 후 직접 게시하는 방식 추천.

  • 웹 자동화(Puppeteer 등): 기술적 자유도가 가장 높으나, 계정 위험성이 있습니다. 소규모 작업이나 개인 실험에 적합.

  • 공식 API 기대감: 주기적으로 API 업데이트 소식 확인 필수. Slack, Reddit 등 커뮤니티 정보도 놓치지 않기.

  • RSS 연동: 꾸준히 써드파티 툴의 업데이트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좋습니다.

Medium 자동 포스팅, 앞으로의 트렌드와 조언

결론적으로 2024년 기준 Medium 자동 포스팅은 '공식' 경로에서는 더 이상 쉽지 않아졌습니다. 그러나 스마트 자동화 도구, 웹 자동화, RSS 등을 통한 반자동화 대안은 아직 남아 있습니다. 장기적으론 Medium의 API 방향성과 인증 정책 변화를 계속 주시해야 하며, 수동 작업과 자동화의 균형을 잘 맞추는 것이 실무적 정답입니다.

직접 코드를 짜던 시절처럼 쉽게 돌아가진 않지만, 새로운 솔루션을 활용하면 조금 더 똑똑하게, 시간을 아끼면서 Medium과 친해질 수 있습니다. 변화는 늘 도전이자 기회! 최신 트렌드를 잘 활용해 멋진 블로깅 라이프를 이어가시길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