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libration과 Calibration Verification 차이점 및 절차 완벽 정리
여러분은 마트에서 과일을 살 때 저울의 눈금을, 아이가 열이 날 때 체온계의 숫자를 얼마나 신뢰하시나요? 우리가 매일 접하는 수많은 측정값들은 사실 그 정확성이 보장될 때 비로소 의미를 가집니다. 만약 저울이 실제보다 가볍게 측정하거나, 체온계가 실제보다 낮게 온도를 표시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경제적인 손실은 물론, 건강상의 위험까지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측정의 중요성은 과학 연구, 산업 생산, 의료 현장과 같이 정밀함이 요구되는 전문 분야로 갈수록 더욱 커집니다. 신약 개발에 사용되는 미량 저울의 작은 오차, 반도체 공정에서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측정 오류, 환자 모니터링 장치의 부정확한 수치는 심각한 결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측정 장비가 항상 정확한 값을 제공하도록 보장할 수 있을까요?
바로 여기서 Calibration(교정)과 Calibration Verification(교정 검증)이라는 두 가지 핵심적인 개념이 등장합니다 [17, 19]. 이 두 용어는 비슷하게 들릴 수 있지만, 실제로는 뚜렷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으며, 측정 장비 관리에서 각각 고유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얼핏 보면 둘 다 장비의 정확성을 점검하는 활동처럼 보이지만, 그 목적, 절차, 그리고 결과의 활용 방식에서 결정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Calibration은 마치 악기의 음정을 표준음에 정확히 맞추는 '조율' 과정과 같다면, Calibration Verification은 조율된 악기가 연주 중간에도 음정이 틀어지지 않았는지 '확인'하는 과정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Calibration은 측정 장비의 성능을 알려진 표준과 비교하고, 필요한 경우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장비를 조정하는 작업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반면, Calibration Verification은 장비가 특정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이며, 여기에는 조정 작업이 포함되지 않습니다 [7, 8]. '조정'의 포함 여부가 이 둘을 구분하는 핵심적인 차이점 중 하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바로 이 Calibration과 Calibration Verification의 개념부터 목적, 절차, 적용 사례까지 상세하게 비교 분석하여 그 차이점을 명확히 밝히고, 어떤 상황에서 각각을 적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실질적인 가이드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측정 장비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항상 신뢰할 수 있는 측정 결과를 얻는 데 도움을 드리는 것이 목표입니다.
Calibration (교정): 정확성의 기준을 세우고 맞추는 과정
Calibration(교정)은 우리가 사용하는 측정 장비가 '진짜 값', 즉 국제적으로 공인된 표준(Standard)과 비교했을 때 얼마나 정확한지를 확인하고, 만약 차이가 있다면 그 오차를 정량적으로 파악하며 필요한 경우 조정(Adjustment)까지 하는 일련의 체계적인 과정을 의미합니다 [1, 2]. 이는 단순히 장비가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것을 넘어, 알려진 표준값과 측정 장비의 지시값 사이의 관계를 확립하는 작업입니다.
Calibration의 핵심 목적
Calibration의 근본적인 목적은 측정 결과의 신뢰성 확보입니다. 시간이 지나거나 사용 환경 변화, 또는 마모 등으로 인해 측정 장비의 성능은 점차 변할 수 있습니다. 정기적인 Calibration을 통해 장비가 허용 가능한 오차 범위 내에서 작동함을 보장하고, 이를 통해 측정값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구체적으로 Calibration은 장비의 정확도 유지, 측정 결과의 소급성(Traceability) 확보, 품질 시스템 요구사항 충족(예: ISO 9001, ISO/IEC 17025), 안전 확보, 그리고 장기적인 비용 절감(불량 감소 등) 등 다양한 목적을 달성하는 데 기여합니다 [3, 4, 5].
특히 소급성은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내가 사용한 측정기의 측정 결과가 국가 표준, 나아가 국제 표준까지 끊어지지 않는 비교의 사슬로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합니다 [3]. 이는 해당 측정 결과가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기준에 부합함을 객관적으로 증명하며, 측정 결과의 신뢰도를 보증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Calibration은 이러한 소급성을 유지하고 문서화하는 공식적인 절차입니다.
Calibration의 절차
Calibration은 매우 체계적이고 문서화된 절차를 따라 수행됩니다. 단순히 값을 비교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사전 준비: Calibration 대상 장비와 그 특성을 파악하고, 적절한 Calibration 주기를 설정합니다. 온도, 습도 등 Calibration을 수행할 환경 조건을 확인하고, 대상 장비보다 더 높은 정확도를 가지며 소급성이 확보된 표준 장비(Reference Standard) 또는 기준 물질을 준비합니다. 또한, 수행할 작업 단계를 명시한 상세한 절차서를 마련합니다.
교정 수행: 먼저 초기 상태 확인 (As Found) 단계를 거칩니다. 이는 조정을 수행하기 전에 장비가 어떤 상태였는지를 기록하는 것으로, 이전 Calibration 이후 장비 성능의 변화나 안정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데이터가 됩니다. 다음으로, 장비의 전체 측정 범위 내 여러 지점(Test points)에서 준비된 표준 장비 또는 기준 물질을 사용하여 측정값을 반복적으로 얻습니다.
오차 계산 및 불확도 평가: 각 측정 지점에서 표준값과 장비의 측정값 사이의 차이, 즉 오차(Error)를 계산합니다. 중요한 것은, 이 오차 값과 더불어 측정 과정 자체에 내재된 불확실성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측정 불확도(Measurement Uncertainty)를 계산하고 기록하는 것입니다 [6, 15]. 불확도 평가는 Calibration 결과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핵심 지표입니다.
조정 및 최종 상태 확인 (As Left): 계산된 오차가 사전에 설정된 허용 기준(Tolerance)을 만족하는지 확인합니다. 만약 오차가 허용 기준을 벗어났고, 해당 장비가 조정 기능을 가지고 있다면, 표준값에 최대한 가깝도록 장비를 조정(Adjustment)합니다. 이 조정 과정은 Calibration의 핵심적인 특징 중 하나이며, Verification과는 명확히 구분되는 지점입니다 [7, 8]. 조정이 완료된 후에는 다시 측정을 수행하여 오차가 허용 범위 내로 들어왔는지 확인하고, 이 최종 상태 데이터를 'As Left'로 기록합니다.
결과 처리 및 문서화: 수행된 모든 Calibration 과정, 측정 결과(As Found, As Left 데이터 포함), 계산된 오차, 평가된 측정 불확도, 사용된 표준 장비 정보 등을 상세히 담은 Calibration 성적서(Calibration Certificate)를 발행합니다 [5]. 또한, 장비에 다음 Calibration 기한 등을 표시하는 Calibration 라벨을 부착하고, 모든 관련 기록은 규정된 기간 동안 안전하게 보관하여 추후 검토나 감사에 대비합니다.
예를 들어, 실험실의 정밀 저울을 Calibration 한다면, 먼저 소급성이 확보된 표준 분동 세트를 준비합니다. 저울의 측정 범위 내 여러 지점(예: 10g, 100g, 500g)에서 표준 분동을 올려놓고 저울의 표시값을 읽어 'As Found' 데이터를 기록하고 오차를 계산합니다. 만약 오차가 저울의 사양이나 요구되는 허용 오차를 벗어난다면, 저울의 내부 메커니즘이나 소프트웨어를 조정하여 표시값을 표준 분동 값에 맞춥니다. 조정 후 다시 동일한 분동으로 측정하여 오차가 허용 범위 내에 있는지 확인하고 'As Left' 데이터를 기록합니다.
이 모든 과정과 결과, 그리고 측정 불확도 평가 결과는 공식 Calibration 성적서에 상세히 기록되어 제공됩니다. 이처럼 Calibration은 표준과의 비교, 오차와 불확도의 정량화, 필요시 조정 수행, 그리고 이 모든 과정에 대한 철저한 문서화를 포함하는 포괄적이고 전문적인 과정입니다.
Calibration Verification (교정 검증): 교정 상태, 잘 유지되고 있는가?
Calibration Verification(교정 검증)은 정식으로 Calibration된 측정 장비가 특정 시점에서 여전히 사전에 설정된 성능 요구사항(예: 특정 허용 오차 범위)을 만족하는지, 즉 이전 Calibration 상태가 유효하게 유지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7, 8, 18]. 이는 Calibration처럼 표준과 비교하여 오차를 정밀하게 측정하고 불확도를 평가하며 필요시 조정까지 하는 포괄적인 활동이 아닙니다. 대신, 미리 정해진 하나 또는 몇 개의 기준점(Check point)에서 장비가 특정 허용 범위(Tolerance)를 통과하는지만을 '확인(Confirmation)'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19].
가장 중요한 차이점 중 하나는 Calibration Verification 과정에서는 절대로 장비 조정(Adjustment)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7, 19]. 만약 Verification 결과 장비가 요구사항을 만족하지 못한다면(Fail), 이는 해당 장비의 Calibration 상태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 경우 장비 사용을 중단하고 정식 Calibration을 다시 받거나 수리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Calibration을 주기적으로 수행하는데 굳이 중간에 Calibration Verification을 수행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정식 Calibration은 외부 기관에 의뢰하거나 내부 전문 인력이 수행해야 하므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Calibration Verification은 두 번의 정식 Calibration 사이에 비교적 간단하고 신속하게 장비의 성능 안정성을 점검할 수 있는 매우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합니다 [18].
이를 통해 Calibration 주기가 만료되기 전에 발생할 수 있는 예기치 않은 성능 저하나 고장을 조기에 감지하여 즉각적인 조치를 취함으로써, 측정 결과의 신뢰성을 지속적으로 담보할 수 있습니다. 특히 중요한 측정 작업 전이나 장비에 충격이 가해졌을 가능성이 있을 때 유용하며, 일부 규제 환경(예: 임상 검사실, 제약 생산)에서는 Calibration Verification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의 중간 점검(Intermediate check)을 의무화하기도 합니다 [9, 10, 11].
Calibration Verification의 절차 및 시점
Calibration Verification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Calibration보다 간소화된 절차로 수행됩니다.
사전 준비: 검증 대상 장비와 검증 목적을 명확히 합니다. 장비의 중요도와 안정성을 고려하여 검증 기준점(Check point)과 해당 지점에서의 허용 오차 범위(Acceptance criteria)를 설정합니다. 검증에 사용할 체크 표준(Check Standard) 또는 기준 물질(Reference Material)을 준비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표준은 정식 Calibration에 사용되는 표준보다 등급이 낮거나 자체적으로 관리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간단한 수행 절차와 기록 양식을 준비합니다.
검증 수행: 준비된 체크 표준을 사용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점(들)에서 장비의 측정값을 얻습니다. 예를 들어, 저울이라면 특정 무게의 체크 분동을 사용하고, 온도계라면 특정 온도의 기준 장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전체 측정 범위를 다 확인할 필요는 없으며, 가장 중요하거나 문제가 발생하기 쉬운 지점을 선택적으로 검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측정 결과를 기록합니다.
결과 판정 및 조치: 얻어진 측정값이 사전에 설정된 허용 범위 내에 있는지 비교하여 합격(Pass) 또는 불합격(Fail)을 판정합니다. 오차를 정량적으로 계산하기보다는 허용 범위 충족 여부만 판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만약 결과가 'Fail'이라면, 해당 장비는 즉시 사용을 중지하고, 원인 파악(예: 단순 오염, 설정 오류, 실제 성능 저하 등) 후 필요한 조치(세척, 재설정, 수리 의뢰, 정식 Calibration 의뢰 등)를 취해야 합니다. 'Pass'인 경우 장비를 계속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록 및 문서화: 검증 수행 날짜, 검증 결과(Pass/Fail), 사용된 체크 표준 정보, 수행자 등을 간단한 로그(Log) 형태로 기록하고 보관합니다. 이 기록들은 정기적으로 검토되어 장비 성능의 추세(Trend)를 분석하는 데 활용될 수 있습니다 [14]. 예를 들어, 점차 허용 범위 경계에 가까워지는 추세가 보인다면 다음 Calibration 시기를 앞당기거나 장비 교체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Calibration Verification의 대표적인 예로는 병원 임상 검사실에서 매일 수행하는 정도관리(Quality Control, QC) 활동을 들 수 있습니다 [9, 12]. 혈액 분석기 등은 제조사 권장 또는 자체 규정에 따라 정기적으로 Calibration을 받습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매일의 검사 결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어렵기 때문에, 검사실에서는 매일 검사 시작 전, 그리고 때로는 검사 중간과 종료 후에도 농도를 이미 알고 있는 정도관리 물질(QC material)을 환자 검체처럼 측정합니다. 이 측정 결과가 통계적으로 미리 설정된 허용 범위(예: Westgard Rules 기준) 내에 있는지 확인합니다 [12, 14]. 만약 결과가 허용 범위를 벗어나면(Fail), 이는 분석기의 성능에 문제가 생겼을 수 있음을 시사하므로, 환자 검사 결과를 보고하지 않고 원인을 해결(필요시 재교정 포함)한 후 다시 정도관리를 수행하여 통과(Pass)해야만 환자 검사를 재개할 수 있습니다. 이는 지속적인 성능 모니터링을 통해 매일매일의 환자 검사 결과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는 Calibration Verification의 매우 중요한 실제 적용 사례입니다. 또 다른 예로, 생산 라인에서 사용하는 저울을 매일 작업 시작 전에 표준 분동으로 간단히 확인하는 것도 Calibration Verification에 해당합니다 [20].
Calibration vs Calibration Verification: 결정적 차이점 명확히 알기
이제 Calibration과 Calibration Verification의 핵심적인 차이점들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정리해 보겠습니다. 이 둘의 차이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측정 장비 관리 전략을 효과적으로 수립하고 실행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7, 8, 19].
| 구분 | Calibration (교정) | Calibration Verification (교정 검증) |
| :--------------------- | :----------------------------------------------------------- | :----------------------------------------------------------- |
| 주요 목적 | 표준과의 관계 확립 (오차 및 불확도 정량화) [1, 6] | 설정된 요구사항 만족 여부 확인 (Pass/Fail 판정) [7, 8] |
| 핵심 활동 | 표준 비교, 오차 계산, 측정 불확도 평가 [6] | 기준점 측정, 허용 범위 비교 |
| 조정(Adjustment) | 포함될 수 있음 (성능 개선 및 오차 보정 목적) | 절대 포함되지 않음 [7, 19] |
| 절차 및 범위 | 포괄적 (전체 또는 주요 범위, 다수 지점), 엄격하고 상세함 | 제한적 (하나 또는 소수 기준점), 간소화 가능 |
| 사용 표준 | 소급성이 확보된 상위 표준(Reference Standard) [3] | 체크 표준(Check Standard), 기준 물질 (등급 낮을 수 있음) |
| 결과물 | Calibration 성적서 (측정값, 오차, 불확도 등 상세 데이터 포함) [5] | 검증 기록 (Log 형태, 날짜, Pass/Fail 결과, 사용 표준 등) |
| 결과 활용 | 오차 보정 적용, 불확도 결과 보고, 장비 성능 이력 관리, 규제 준수 증빙 | 장비 사용 가능 상태 확인, 성능 추세 분석, 안정성 모니터링 |
| 수행 주체 (일반적) | 외부 공인 교정기관 또는 내부 교정 전문가/부서 [5] | 현장 사용자 또는 내부 품질관리 담당자 |
| 비용 및 시간 | 상대적으로 높음, 수행 및 성적서 발행에 시간 소요 | 상대적으로 낮음, 신속하게 수행 가능 |
가장 근본적이고 중요한 차이는 바로 '조정(Adjustment)'의 유무와 '결과의 정량성'에 있습니다. Calibration은 측정 장비의 성능을 알려진 표준과 비교하여 그 차이(오차)와 측정의 불확실성(불확도)을 정량적으로 결정하고, 필요한 경우 장비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조정을 포함할 수 있는 과정입니다. 반면, Calibration Verification은 단지 장비가 미리 정해진 특정 요구사항(허용 범위)을 만족하는지 여부만을 확인하는 활동이며, 여기에는 어떠한 조정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7, 8, 19]. 따라서 Calibration은 장비의 성능 자체를 평가하고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두는 반면, Verification은 이전에 확립된 성능(Calibration 상태)이 유지되고 있는지만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이러한 목적과 활동의 차이로 인해 요구되는 표준의 수준, 절차의 복잡성, 결과물의 형태, 비용 등에서 다양한 차이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적용: 언제 무엇을 해야 할까? 위험 기반 접근의 중요성
그렇다면 실제 현장에서는 언제 Calibration을 수행하고, 언제 Calibration Verification을 수행해야 할까요? 이에 대한 결정은 획일적이기보다는 측정 장비의 중요도, 요구되는 정확도 수준, 장비의 안정성, 사용 환경, 그리고 측정 오류가 발생했을 때의 잠재적 영향(위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위험 기반 접근 방식(Risk-Based Approach)'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고 효과적입니다 [13]. 모든 장비에 동일한 주기로 Calibration을 적용하는 것보다, 각 장비의 위험 수준에 맞춰 관리 전략을 차별화하는 것이 자원의 효율적 사용과 실질적인 신뢰성 확보에 더 유리합니다.
정식 Calibration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필수적으로 고려되거나 수행되어야 합니다.
새로운 측정 장비를 구매하여 처음 사용할 때 (Initial Calibration)
미리 설정된 정기 Calibration 주기가 도래했을 때 (이 주기는 위험 평가, 제조사 권장 사항, 장비 안정성 이력 등을 바탕으로 설정) [13]
측정 장비의 수리, 주요 부품 교체, 또는 중요한 기능적 업그레이드 이후
측정 결과가 일관되지 않거나 의심스러울 때
장비가 떨어뜨려지거나 충격을 받았을 때, 또는 극한의 환경 조건(온도, 습도, 진동 등)에 노출되었을 때
Calibration Verification 결과가 반복적으로 'Fail'로 판정될 때
계약상의 요구사항이나 법규, 규제(예: ISO/IEC 17025 인증 실험실, GMP 환경의 제약 생산, 의료기기 규정 등)에서 특정 주기 또는 조건 하에 Calibration을 명시적으로 요구할 때 [5]
Calibration Verification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두 번의 정식 Calibration 사이의 기간 동안 장비 성능의 안정성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중간 점검 (Intermediate Check) (예: 매일, 매주, 매월 등 정해진 주기로 수행) [18]
매우 중요하거나 정밀한 측정을 수행하기 직전에 장비 상태를 빠르게 확인할 때
측정 장비를 다른 장소로 이동 설치했거나 주요 설정값을 변경한 후에 상태를 점검할 때
경미한 성능 이상이 의심되거나, 사용자가 단순히 장비 상태를 확인하고 싶을 때
정식 Calibration 주기를 연장하는 것을 검토하기 위해 장기간의 성능 안정성 데이터를 확보하고자 할 때 (Verification 기록이 꾸준히 양호하다면 주기 연장의 근거가 될 수 있음) [13]
작업 시작 전 또는 정도관리 평균(shift) 교대 시 수행하는 간단한 기능 점검 또는 표준 확인 절차의 일부로 [20]
위험 평가(Risk Assessment)를 통해 측정 오류 발생 시 제품 품질, 환자 안전, 연구 결과 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고위험(High-risk) 장비는 상대적으로 Calibration 주기를 짧게 설정하고, 그 사이에도 더 자주 Calibration Verification을 수행하여 성능을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반대로, 측정 오류의 영향이 비교적 적은 저위험(Low-risk) 장비는 상대적으로 Calibration 주기를 길게 가져가거나 Calibration Verification의 빈도나 강도를 낮추는 것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Calibration과 Calibration Verification은 서로 대체하거나 경쟁하는 관계가 아닙니다. 오히려 측정 장비의 수명 주기 동안 측정 결과의 신뢰성을 지속적으로 보장한다는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서로를 보완하는 파트너 관계에 있습니다. 각 장비의 특성, 사용 목적, 그리고 관련된 위험 수준을 정확히 평가하여, 이 두 가지 활동을 조화롭게 계획하고 실행하는 것이 신뢰할 수 있는 측정을 위한 최적의 관리 전략입니다.
마무리하며: 신뢰 측정의 두 바퀴, Calibration과 Verification
지금까지 측정 장비 관리의 핵심적인 두 축인 Calibration과 Calibration Verification에 대해 그 정의와 목적, 절차, 그리고 결정적인 차이점을 중심으로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Calibration은 측정 정확성의 기준을 세우고 알려진 표준에 장비 성능을 맞추는 근본적이고 정량적인 과정이며, Calibration Verification은 그렇게 확립된 성능 기준이 시간이 지나도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효율적이고 실용적인 점검 과정임을 확인했습니다.
이 두 가지 활동은 단순히 좋은 실ปฏิบัติ(Good Practice)일 뿐만 아니라, 국제 표준(ISO/IEC 17025, ISO 9001, ISO 15189 등)과 다양한 산업 분야의 규제 요건에서도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4, 5, 9]. 특히 위험 기반 접근 방식을 통해 각 조직과 특정 상황의 요구에 맞는 최적의 Calibration 및 Verification 전략을 수립하고 꾸준히 실행하는 것은, 신뢰할 수 있는 측정 결과를 지속적으로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품과 서비스의 품질을 관리하며, 나아가 안전을 보장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측정은 더 나은 과학적 발견, 더 안전하고 우수한 제품 생산, 그리고 더 효과적인 의료 서비스 제공의 가장 기본적인 반석이 됩니다. Calibration과 Calibration Verification이라는 이름의 견고하고 균형 잡힌 두 바퀴를 통해, 우리 모두가 수행하는 모든 측정이 신뢰의 길 위를 굳건히 나아갈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참고문헌
[1] JCGM 200:2012, International vocabulary of metrology – Basic and general concepts and associated terms (VIM), 3rd edition. Joint Committee for Guides in Metrology.
[2]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ISO 10012:2003, Measurement management systems — Requirements for measurement processes and measuring equipment. ISO.
[3]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NIST). Metrological Traceability. https://www.nist.gov/traceability/metrological-traceability
[4]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ISO 9001:2015, Quality management systems — Requirements. ISO.
[5]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ISO/IEC 17025:2017, General requirements for the competence of testing and calibration laboratories. ISO/IEC.
[6] JCGM 100:2008, Evaluation of measurement data – Guide to the expression of uncertainty in measurement (GUM). Joint Committee for Guides in Metrology.
[7] Fluke Calibration. Calibration vs. Verification: What’s the Difference?. https://us.flukecal.com/blog/calibration-vs-verification-whats-difference
[8] Beamex. Calibration vs Verification: What is the difference?. https://blog.beamex.com/calibration-vs-verification
[9]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ISO 15189:2022, Medical laboratories — Requirements for quality and competence. ISO.
[10]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CLSI). EP06: Evaluation of the Linearity of Quantitative Measurement Procedures: A Statistical Approach. 2nd ed. CLSI guideline EP06-Ed2.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2020.
[11]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CLSI). EP15: User Verification of Performance for Precision and Trueness. 3rd ed. CLSI guideline EP15-A3.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2014.
[12] Westgard, J. O. Westgard Rules and Multirules. https://www.westgard.com/mltirule.htm
[13] International Laboratory Accreditation Cooperation (ILAC). ILAC-G24:2007, Guidelines for the determination of calibration intervals of measuring instruments. ILAC.
[14]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CLSI). C24: Statistical Quality Control for Quantitative Measurement Procedures: Principles and Definitions. 4th ed. CLSI guideline C24-Ed4.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2016.
[15] Taylor, B.N. and Kuyatt, C.E. (1994). Guidelines for Evaluating and Expressing the Uncertainty of NIST Measurement Results. NIST Technical Note 1297.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16] Ellison, S. L. R., & Williams, A. (Eds.). (2012). Eurachem/CITAC guide: Quantifying Uncertainty in Analytical Measurement (3rd ed.). Eurachem.
[17] American Society for Quality (ASQ). Calibration. https://asq.org/quality-resources/calibration
[18] IsıKal Calibration Services. The Importance of Calibration Verification. https://www.isikal.com.tr/en/the-importance-of-calibration-verification/
[19] Transcat. Calibration Verification vs. Calibration: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https://www.transcat.com/calibration-resources/calibration-articles/calibration-verification-vs-calibration
[20] Pipette.com. Pipette Calibration vs. Pipette Verification: What's the Difference?. https://www.pipette.com/blog/pipette-calibration-vs-pipette-verification-whats-the-dif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