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검색
회원가입로그인
page thumbnail

삼성바이오로직스 회사소개: 글로벌 CDMO 선두주자, 사업 분야·생산능력·주요 파트너십·2024 실적 총정리

요약
  •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인천 송도에 본사를 둔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전문 기업으로, 세계 최대 수준의 생산 능력과 글로벌 빅파마와의 파트너십을 보유하고 있음.
  • CDO(개발), CMO(생산), 품질 서비스를 포괄적으로 제공하며, 2024년 기준 4조 5,473억 원의 매출과 꾸준한 성장세를 기록 중임.
  • 자회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바이오시밀러 개발)와 함께 미래 바이오 신기술에 투자하며, 글로벌 CDMO 시장에서 선도적 입지를 강화하고 있음.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11년 설립된 대한민국 인천 송도에 본사를 둔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전문 기업입니다 . 삼성그룹의 바이오 부문을 담당하며, 초기 개발 단계부터 임상 및 상업 생산에 이르는 엔드투엔드(end-to-end)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핵심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 주요 서비스 분야는 위탁개발(CDO), 위탁생산(CMO), 품질 서비스(Quality)로 구성되며, 단일클론항체, 이중항체, 항체-약물 접합체(ADC), mRNA 백신 등 다양한 바이오의약품 포트폴리오를 다루고 있습니다 .

회사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바이오의약품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4개의 생산시설을 가동 중이고 제5공장이 완공되면 총 784,000리터의 생산 능력을 확보하게 됩니다 . 이는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수요 증가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화이자(Pfizer),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 일라이 릴리(Eli Lilly),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 모더나(Moderna) 등 글로벌 상위 제약사들과의 견고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있으며, 100개 이상의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 또한, 미국과 일본 등 주요 시장에 해외 지사를 운영하며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

자회사로는 바이오시밀러 개발 전문 기업인 삼성바이오에피스(Samsung Bioepis)를 두고 있으며, 2022년 미국 바이오젠(Biogen)의 지분을 전량 인수하여 완전 자회사로 편입했습니다 .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와 생산 설비 확충을 통해 글로벌 CDMO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Driven. For Life."라는 슬로건 아래 인류의 더 건강한 삶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 2024년 연결 기준 매출액은 약 4조 5,473억 원으로 추정되며,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Detailed Report

기업 현황 및 지배구조

삼성바이오로직스 주식회사(Samsung Biologics Co., Ltd.)는 2011년 4월 22일에 설립되어 ,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바이오대로 300에 본사를 두고 있는 글로벌 바이오 제약 기업입니다 . 삼성그룹의 계열사로서, 코스피(KRX: 207940)에 상장된 공개 기업입니다 . 현재 대표이사(CEO)는 존 림(John Rim, 임존종보)입니다 . 2023년 기준 약 4,300명 , 2024년 기준으로는 4,900명 이상 또는 5,011명의 임직원이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

회사의 주요 주주 구성은 삼성물산(Samsung C&T)이 43.44%, 삼성전자(Samsung Electronics)가 31.49%를 보유하고 있으며, 국민연금공단(National Pension Service)도 약 5.1%에서 6.68%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 이는 삼성그룹 차원에서 바이오 산업을 핵심 성장 동력으로 육성하려는 의지를 반영하는 지배구조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Driven. For Life."라는 핵심 가치를 바탕으로 운영되며, 이는 '생명을 향한 의지'를 의미하며 더 나은 삶을 향한 약속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 회사는 기술과 혁신을 통해 인류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고,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며, 열정과 도전정신으로 한계를 극복하여 초격차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기업의 기본 정보는 다음 표와 같습니다.

항목내용출처
정식 명칭삼성바이오로직스 주식회사 (Samsung Biologics Co., Ltd.)
한글 약칭삼성바이오로직스
영문 명칭Samsung Biologics
설립일2011년 4월 22일
본사 위치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바이오대로 300
대표이사존 림 (John Rim, 임존종보)
기업 규모대기업
상장 시장코스피 (KRX: 207940)
주요 사업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 (CDMO)
직원 수약 4,900명 이상 (2024년 기준)
웹사이트samsungbiologics.com
자회사삼성바이오에피스 (Samsung Bioepis)
2024년 연결 매출액(추정)4조 5,473억 원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글로벌 바이오 클러스터의 중심에 위치하여 최첨단 설비와 세계 최대 수준의 생산 능력을 기반으로 바이오의약품의 초기 개발부터 임상 및 상업 생산에 이르는 전 과정을 포괄하는 엔드투엔드(end-to-end) CDMO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모든 공정은 cGMP(current Good Manufacturing Practice) 기준을 엄격히 준수하며, 고객의 다양한 요구와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전문 인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핵심 사업 영역: CDMO 서비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바이오의약품 분야에서 포괄적인 위탁개발생산(CDMO, Contract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Organization)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는 크게 위탁개발(CDO), 위탁생산(CMO), 그리고 품질 서비스(Quality)로 구분됩니다 . 회사는 이러한 통합 서비스를 통해 고객사의 신약 개발부터 상업 생산까지의 전 과정을 지원하며, 효율성과 품질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1. 위탁개발 (CDO - Contract Development Organization)

Development Services Image<span class="footnote-wrapper">[1]</span>

Development Services Image

삼성바이오로직스의 CDO 서비스는 신약 개발의 초기 단계부터 상업화에 이르기까지 필요한 모든 개발 과정을 지원합니다 . 숙련된 개발 전문가들이 고객사의 개발 전략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하며, 개발 비용 절감과 동시에 신속한 타임라인 달성을 목표로 합니다 . 일반적으로 10개월 이내에 최적화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

주요 CDO 서비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 세포주 개발 (Cell Line Development): 안정적이고 고품질의 바이오의약품 생산을 위한 세포주를 개발합니다.

  • 공정 개발 (Process Development): 초기 임상부터 상업 생산까지 확장 가능한 강력하고 효율적인 생산 공정을 개발합니다. 여기에는 배양 공정, 정제 공정 개발 등이 포함됩니다.

  • 제형 개발 (Formulation Development): 개발된 바이오의약품의 안정성과 유효성을 유지할 수 있는 최적의 제형을 개발합니다.

  • 분석법 개발 및 밸리데이션 (Analytical Method Development and Validation): 제품의 품질 관리를 위한 신뢰성 있는 분석법을 개발하고 검증합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특히 상업화를 염두에 둔 개발 전략을 강조하며, 초기 단계부터 최종 제품의 성공적인 시장 출시를 목표로 개발 전반을 관리합니다 . 이를 통해 고객사는 개발 과정에서의 위험을 줄이고,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신약을 시장에 선보일 수 있습니다.

2. 위탁생산 (CMO - Contract Manufacturing Organization)

Manufacturing Services Image<span class="footnote-wrapper">[1]</span>

Manufacturing Services Image

CMO 서비스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핵심 사업 중 하나로, 임상용 및 상업용 바이오의약품을 대규모로 생산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 회사는 최첨단 cGMP(current Good Manufacturing Practice) 생산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이를 통해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고품질의 바이오의약품을 공급합니다 .

주요 CMO 서비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 기술 이전 (Technology Transfer): 고객사로부터 개발된 생산 기술을 성공적으로 이전받아 대규모 생산에 적용합니다.

  • 임상 시료 생산 (Clinical Trial Material Manufacturing): 임상시험에 필요한 의약품을 생산 규정에 맞춰 생산합니다.

  • 상업용 제품 생산 (Commercial Product Manufacturing): 시장에 출시될 상업용 바이오의약품을 대규모로 생산합니다.

  • 무균 충전 및 완제 생산 (Aseptic Fill/Finish): 생산된 원료의약품(DS, Drug Substance)을 최종 제품 형태(DP, Drug Product)로 무균 충전하고 포장하는 완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 분석 테스팅 서비스 (Analytical Testing Services): 생산된 제품의 품질을 보증하기 위한 다양한 분석 시험을 수행합니다 .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단일클론항체(Monoclonal Antibodies), 이중항체(Bispecific Antibodies), 항체-약물 접합체(ADC, Antibody-Drug Conjugates), mRNA 백신 등 다양한 종류의 바이오의약품 생산 경험과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특히 ADC 분야에서는 전용 생산 라인 구축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3. 품질 서비스 (Quality)

Quality  Image<span class="footnote-wrapper">2</span>

Quality Image2

품질 서비스는 바이오의약품 개발 및 생산의 전 과정에서 최고 수준의 품질을 보증하기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엄격한 품질 관리 시스템을 운영하며, 모든 공정과 시설 운영이 규제 기준을 충족하고 품질 준수 문화를 장려하도록 사업 계획에 통합되어 있습니다 .

주요 품질 서비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 바이오안전성 시험 (Biosafety Testing): 개발 단계부터 원료의약품(DS) 제품의 출하 시험까지 마이코플라스마 및 바이러스 검출 시험 분석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 세포 은행 생산 및 특성화 (Cell Banking and Characterization): 생산에 사용될 세포 은행을 제조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여 일관된 품질을 보장합니다 .

  • 바이러스 제거 연구 (Viral Clearance Studies): 생산 공정 중 바이러스 제거 능력을 평가하여 제품의 안전성을 확보합니다 .

  • 규제 지원 (Regulatory Support): 글로벌 규제 기관의 기준을 충족하고, 고객사의 허가 신청 과정을 지원합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FDA (미국 식품의약국), EMA (유럽 의약품청), PMDA (일본 의약품의료기기종합기구) 등 주요 글로벌 규제 기관으로부터 다수의 생산시설 실사를 성공적으로 통과하며 높은 수준의 품질 관리 역량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 2025년 기준 총 356건의 글로벌 규제 승인을 획득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

이러한 CDO, CMO, 품질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고객사에게 원스톱 솔루션(One-Stop Solution)을 제공하며, 바이오의약품 개발 및 생산의 복잡성과 어려움을 해소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생산 시설 및 능력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바이오의약품 생산 능력을 자랑하며, 이는 회사의 핵심 경쟁력 중 하나입니다 . 회사는 2011년 설립 이후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생산 시설을 확장해 왔으며, 현재 대한민국 인천 송도에 위치한 바이오 캠퍼스에 다수의 대규모 생산 공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현재 가동 중인 생산 공장 및 능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공장 구분생산 능력 (리터)주요 특징
제1공장30,000 L초기 임상 및 소규모 상업 생산에 적합
제2공장154,000 L대규모 상업 생산 가능
제3공장180,000 L세계 최대 규모의 단일 공장 중 하나 (건설 당시)
제4공장240,000 L'슈퍼 플랜트'로 불리며, 최첨단 설비 보유
총계604,000 L(현재 4개 공장 합계)

제4공장은 2023년 6월부터 전체 가동을 시작했으며, 이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의 수요 증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입니다 .

제2 바이오 캠퍼스 및 제5공장 증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증가하는 바이오의약품 수요에 부응하고 초격차 경쟁력을 확대하기 위해 제2 바이오 캠퍼스 건설을 추진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제5공장을 증설하고 있습니다 .

  • 제5공장: 생산 능력은 180,000리터로 계획되어 있으며, 2025년 4월부터 본격적인 가동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 제5공장의 건설은 96% 이상 완료되었으며, 예비 운영 준비도 마친 상태로 점진적으로 시설 가동률을 높여나갈 계획입니다 .

제5공장이 완공되면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총 생산 능력은 784,000리터에 달하게 되어, 세계 최대 CDMO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Bio Campus II : Plant 5 ](coming soon)<span class="footnote-wrapper">42</span>

[Bio Campus II : Plant 5 ](coming soon)42


(위 이미지는 실제 5공장 이미지가 아닐 수 있으며, 웹사이트 내 Quality 서비스 이미지와 동일한 URL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컨텍스트 에서는 "Bio Campus II : Plant 5 (coming soon)" 링크와 함께 해당 이미지가 사용되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단순히 생산 능력 확대에만 그치지 않고, 항체-약물 접합체(ADC), 다중항체(Multispecific Antibody), mRNA 등 차세대 바이오의약품 생산을 위한 기술력 확보와 시설 투자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 예를 들어, ADC 의약품 생산을 위한 전용 라인 구축과 프리필드시린지(PFS) 생산 설비 구축 등이 진행 중입니다 .

이러한 대규모 생산 시설과 첨단 기술력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글로벌 제약사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고, 고품질의 바이오의약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기반이 됩니다. 또한, 모든 생산 시설은 cGMP(current Good Manufacturing Practice) 기준을 엄격히 준수하며, FDA, EMA 등 주요 규제 기관의 실사를 성공적으로 통과하여 높은 수준의 품질 관리 시스템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

글로벌 네트워크 및 주요 파트너십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전 세계 바이오 제약 시장을 대상으로 사업을 전개하며, 광범위한 글로벌 네트워크와 강력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는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과 시장 경쟁력 강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글로벌 고객 기반 및 해외 거점

삼성바이오로직스는 100개가 넘는 글로벌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으며 , 이들 대부분은 북미, 유럽, 아시아 등 주요 제약 시장에 위치한 기업들입니다. 회사는 고객과의 긴밀한 소통과 신속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주요 거점에 해외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미국: 삼성바이오로직스 아메리카(Samsung Biologics America, SBA)는 미국 자회사로, 고객 및 업계 파트너에게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

    • 뉴저지 오피스 (Ridgefield Park, NJ): 글로벌 고객과의 소통 강화를 위한 거점입니다 .

    • 샌프란시스코 오피스 (South San Francisco, CA): CDO R&D 센터로서, 특히 미국 서부 해안 지역의 바이오 기업들을 지원합니다 .

    • 보스턴 오피스 (Boston, MA): 미국 동부의 주요 바이오 클러스터 고객 지원을 위한 사무소입니다 .

  • 일본: 삼성바이오로직스 재팬(Samsung Biologics Japan)은 도쿄에 지역 사무소를 개설하여, 일본 내 고객사와의 파트너십 강화 및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이러한 글로벌 거점 확장은 고객사의 요구 사항에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며, 현지 시장 동향을 파악하고 새로운 사업 기회를 발굴하는 데 기여합니다 .

주요 글로벌 제약사와의 파트너십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세계 상위 20개 대형 제약사 중 16개사와 파트너십을 맺고 있을 정도로 강력한 고객 네트워크를 자랑합니다 (2024년 6월 기준, CEO 존 림 언급) . 주요 파트너십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 화이자 (Pfizer): 2023년,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화이자와 다수의 바이오시밀러 제품 포트폴리오에 대한 상업 생산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초기 계약 규모는 4억 1,100만 달러였으며, 이후 항암제, 염증 치료제, 면역 치료제 분야의 바이오시밀러 생산을 위한 두 건의 추가 계약(총 8억 9,700만 달러 규모)을 제4공장에서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 이는 K-바이오 업계의 경쟁력을 입증한 사례로 평가받습니다 .

  • 글락소스미스클라인 (GSK): 2020년, GSK와 8년간 2억 3,100만 달러 규모의 바이오의약품(루푸스 치료제 벤리스타 포함) 생산 계약을 체결했으며, 2년 후 2억 9,600만 달러 규모의 추가 계약을 맺었습니다 .

  • 일라이 릴리 (Eli Lilly):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일라이 릴리의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생산을 담당했습니다 .

  • 아스트라제네카 (AstraZeneca): 다중 제품 계약의 일환으로 아스트라제네카의 장기 지속형 코로나19 항체 치료제를 생산했습니다 .

  • 모더나 (Moderna):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모더나의 mRNA 백신 '스파이크백스(Spikevax)'의 완제(fill-finish), 포장 및 라벨링 작업을 수행했습니다 .

  • 로슈 (Roche)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 (Bristol-Myers Squibb): 2013년 초기부터 파트너십을 맺어온 주요 고객사입니다 .

  • 노바티스 (Novartis): 2023년 7월, 5,000억 원 규모의 CMO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

이 외에도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유럽의 벤처 캐피털 회사인 쿠르마 파트너스(Kurma Partners)와 다년간 계약을 체결하여 포트폴리오 회사들의 개발, 제조 및 위험 완화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으며 , 국내 기업인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LigaChem Biosciences, 구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와는 항체 개발 및 ADC 파이프라인 지원을 위한 원료의약품 제조 서비스 파트너십을 맺었습니다 .

최근에는 익명의 아시아 제약사와 1조 7천억 원(약 12억 달러) 규모의 CMO 계약을 체결했는데, 이는 회사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단일 계약으로 기록되었습니다 .

이러한 강력한 파트너십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기술력, 생산 능력, 품질 관리 시스템에 대한 글로벌 시장의 신뢰를 반영하며, 안정적인 수주 물량 확보와 지속적인 성장의 원동력이 되고 있습니다.

재무 성과 및 시장 경쟁력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설립 이후 꾸준한 성장을 거듭하며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재무 성과는 이러한 성장세를 명확히 보여줍니다.

주요 재무 지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항목2020년2021년2022년2024년 (연결, FnGuide/캐치 추정)출처
매출액1조 1,648억 원1조 5,680억 원2조 4,373억 원4조 5,473억 원
영업이익2,926억 원5,365억 원9,681억 원1조 3,201억 원
영업이익률25.12%34.22%39.72%29.03% (FnGuide 추정)
당기순이익(지배)2,410억 원3,936억 원7,981억 원1조 833억 원 (FnGuide 추정)

참고: 2024년 수치는 예측치이며, 출처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위키피디아에 언급된 2024년 매출액 4.55조 원 은 2023년 실적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이며, 해당 출처의 각주 는 '2023 Financials'를 가리킵니다. 인크루트에서는 2024년 매출액을 3조 4,971억 4,567만 원으로 제시하기도 합니다 .

2020년 대비 2022년 영업이익은 3.3배로 크게 증가했으며, 영업이익률 또한 지속적으로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 이러한 성장은 1~3공장의 안정적인 가동과 더불어 2023년 6월 세계 최대 규모의 4공장 가동 본격화, 그리고 글로벌 대형 제약사들과의 대규모 위탁생산 계약 체결에 힘입은 결과입니다 .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을 기점으로 제약/바이오 업계의 CDMO 활용 트렌드가 본격화되면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성장세는 더욱 가속화되었습니다 .

시장 경쟁력 및 수상 내역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글로벌 CDMO 시장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으며, 이는 다양한 외부 평가를 통해 입증되고 있습니다.

  • CDMO Leadership Awards: 고객 만족도, 실행 우수성 및 혁신성을 바탕으로 12년 연속 CDMO 리더십 어워드를 수상했습니다 . 이는 고객사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CDMO LEADERSHIP AWARDS 2025<span class="footnote-wrapper">[5]</span>

    CDMO LEADERSHIP AWARDS 2025

  • 글로벌 규제 승인: FDA, EMA 등 주요 규제 기관으로부터 2025년 기준 총 356건의 생산시설 실사 및 규제 승인을 획득하여 높은 수준의 품질 관리 역량을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

  • 신용 등급: 국내 신용평가사들로부터 높은 신용등급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KIS, KR, NICE 신용평가사로부터 회사채에 대해 'AA' 등급을 받았습니다 (2025년 4-5월 기준) .

주식 시장 정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한국거래소(KRX) 코스피 시장에 상장되어 있으며, 종목 코드는 207940입니다 . 시가총액은 2025년 5월 21일 기준으로 약 78조 2,914억 원에 달하며, 코스피 제약 업종 내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 외국인 보유 비중은 약 13% 수준입니다 .

성장 전망

삼성바이오로직스의 향후 성장 전망은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됩니다. 바이오의약품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 제약사들의 CDMO 활용 확대 추세, 그리고 회사의 공격적인 생산 설비 투자와 기술 개발 노력이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 제5공장 완공 시 총 784kL의 세계 최대 생산 능력을 확보하게 되며, ADC, mRNA, 세포/유전자 치료제 등 새로운 모달리티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어 미래 성장 잠재력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 2023년 상반기 기준 수주 규모가 이미 2조 원을 넘었으며, 화이자, 노바티스와 같은 빅파마와의 대규모 계약은 안정적인 매출 성장을 뒷받침할 것입니다 .

자회사 및 투자 활동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핵심 사업인 CDMO 외에도 자회사 운영 및 전략적 투자를 통해 바이오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삼성바이오에피스 (Samsung Bioepis)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바이오시밀러(Biosimilar) 개발 및 상업화를 전문으로 하는 기업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핵심 자회사입니다 .

  • 설립 및 지분 구조: 삼성바이오에피스는 2012년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미국 바이오 기업인 바이오젠(Biogen)의 합작 투자로 설립되었습니다 . 초기에는 양사가 공동으로 지분을 보유했으나, 2022년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바이오젠의 잔여 지분 전체를 23억 달러에 인수하면서 100% 자회사로 편입했습니다 . 이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바이오시밀러 사업에 대한 주도권을 확보하고 장기적인 성장 전략을 강화하기 위한 결정으로 풀이됩니다.

  • 주요 사업: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항암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수의 바이오시밀러 제품을 개발하여 글로벌 시장에 출시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엔브렐 바이오시밀러(SB4, 베네팔리/에티코보), 레미케이드 바이오시밀러(SB2, 플릭사비/렌플렉시스), 휴미라 바이오시밀러(SB5, 임랄디/하드리마), 허셉틴 바이오시밀러(SB3, 온트루잔트), 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SB8, 에이빈시오/온베브지) 등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안과 질환 치료제인 루센티스 바이오시밀러 '오퓨비즈(Opuviz)'가 2024년 11월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로부터 판매 허가를 획득하는 등 지속적인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

  • 시너지 효과: 삼성바이오로직스는 CDMO 사업을 통해 축적된 대규모 생산 기술과 품질 관리 노하우를 삼성바이오에피스의 바이오시밀러 개발 및 생산에 활용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삼성 라이프 사이언스 펀드 (Samsung Life Science Fund)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미래 성장 잠재력이 높은 신기술 및 유망 바이오 기업에 투자하기 위해 삼성 라이프 사이언스 펀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설립: 이 펀드는 2021년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에피스, 그리고 삼성물산(Samsung C&T)이 공동으로 출자하여 조성되었습니다 .

  • 운용: 펀드 운용은 삼성그룹의 투자 전문 회사인 삼성벤처스(Samsung Ventures)가 담당합니다 .

  • 투자 분야: 주요 투자 대상은 유전자 치료제, 항체-약물 접합체(ADC)와 같은 차세대 기술을 보유한 초기 단계의 바이오 기업들입니다 . 이를 통해 삼성그룹은 바이오 분야의 혁신 기술을 조기에 확보하고, 미래 성장 동력을 발굴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러한 자회사 운영과 전략적 투자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단순한 생산 전문 기업을 넘어, 바이오의약품 개발부터 생산, 그리고 미래 기술 투자에 이르기까지 바이오 산업 전반에 걸쳐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장기적인 비전을 보여줍니다. 특히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성공적인 바이오시밀러 사업은 안정적인 수익 창출과 함께 삼성 브랜드의 바이오 분야 인지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으며, 삼성 라이프 사이언스 펀드를 통한 투자는 미래 바이오 시장의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새로운 성장 기회를 모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공유하기
카카오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하기

저자의 책

이 저자의 책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