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전기차 보조금 정책 총정리: 지원 금액, 차량 성능·안전 기준 강화 및 계층별 추가 혜택 완벽 해설
개요
2025년 대한민국 전기차 구매 보조금 정책은 차량의 성능 및 안전성 강화와 소비자 구매 부담 완화를 목표로 상당 부분 개편되었습니다. 핵심적인 변경 사항으로는 국고 보조금 최대 지원액의 소폭 하향 조정과 함께, 1회 충전 주행거리 및 충전 속도 등 차량 성능에 따른 차등 지원이 더욱 강화된 점을 들 수 있습니다. 또한, 배터리 안전 기술 및 차량 정보 제공 기능 등 안전 관련 사양을 갖춘 차량에 대한 인센티브가 신설되었으며, 제조사의 안전 책임도 한층 강조되었습니다.
특히, 청년층의 생애 첫 전기차 구매 지원 조건이 완화되었고, 다자녀 가구에 대한 지원금이 확대되는 등 특정 계층을 위한 추가 지원책이 눈에 띄게 늘어났습니다. 더불어, 제조사의 차량 가격 할인 폭에 연동하여 정부 보조금을 추가로 지급하는 제도가 도입되어, 시장 경쟁을 통한 가격 인하를 유도하고 소비자의 실질적인 구매 비용 절감 효과를 높이고자 하는 정부의 의지가 반영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전기차 시장의 질적 성장과 대중화를 동시에 촉진하기 위한 다각적인 접근으로 평가됩니다.
상세 보고서
국고 보조금 상한액 및 차량 가격 기준 변경
2025년 전기차 구매 시 지원되는 국고 보조금의 최대 지원 금액이 일부 조정되었습니다. 이는 한정된 예산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전기차 시장의 가격 안정화를 유도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됩니다.
중·대형 전기 승용차의 경우, 2024년 최대 650만 원이었던 국고 보조금 상한액이 2025년에는 580만 원으로 70만 원 감소했습니다[7][9][11]. 소형 전기 승용차의 국고 보조금 상한액 역시 기존 550만 원에서 530만 원으로 20만 원 하향 조정되었습니다[7][35][37]. 이러한 보조금 상한액의 조정은 기술 발전과 생산 규모 확대로 인한 전기차 가격 하락 추세를 반영하는 동시에, 더 많은 구매자에게 보조금 혜택을 제공하려는 정책적 고려가 담긴 것으로 보입니다.
2025년도 전기승용차 보조금 개편안 주요 내용
차량 가격에 따른 보조금 지급 기준 또한 더욱 엄격해졌습니다. 보조금 전액(100%)을 지원받을 수 있는 차량의 가격 기준은 2024년 5,500만 원 미만에서 2025년 5,300만 원 미만으로 하향 조정되었습니다[7][9][26]. 이는 상대적으로 가격 경쟁력이 있는 전기차 모델의 보급을 확대하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차량 가격이 5,300만 원을 초과하고 8,500만 원 이하(일부 자료에서는 8,300만 원 이하로 명시[9][22][31])인 경우에는 보조금의 50%만 지급받을 수 있으며, 차량 가격이 8,500만 원(또는 8,300만 원)을 초과하는 고가 전기차는 2025년부터 보조금 지원 대상에서 완전히 제외됩니다[7][9][22]. 이러한 가격 상한선 설정은 고가 수입 전기차에 대한 보조금 지급을 줄이고, 국산 전기차 및 중저가 전기차 시장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은 2025년 전기 승용차 국고 보조금 및 차량 가격 기준의 주요 변경 사항을 요약한 표입니다.
구분 | 2024년 기준 | 2025년 변경 기준 | 출처 |
---|---|---|---|
국고보조금 상한 | |||
중·대형 승용차 | 최대 650만 원 | 최대 580만 원 | [7][9][11] |
소형 승용차 | 최대 550만 원 | 최대 530만 원 | [7][35][37] |
차량 가격 기준 | |||
보조금 100% 지급 | 5,500만 원 미만 | 5,300만 원 미만 | [7][9][26] |
보조금 50% 지급 | 5,500만 원 이상 ~ 8,500만 원 이하 (자료별 상이) | 5,300만 원 이상 ~ 8,500만 원 이하 (자료별 상이) | [7][9][26] |
보조금 미지급 | 8,500만 원 초과 (자료별 상이) | 8,500만 원 초과 (자료별 상이) | [7][9][22] |
이러한 기준 변경은 전기차 구매를 고려하는 소비자들이 차량 선택 시 가격과 성능을 더욱 면밀히 비교하도록 유도할 것이며, 제조사에게는 합리적인 가격대의 고성능 전기차 개발에 대한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성능 및 안전 중심의 보조금 차등 강화
2025년 전기차 보조금 정책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변화는 차량의 실제 성능과 안전성에 기반한 보조금 차등 지급 방식이 대폭 강화되었다는 점입니다[19][28][36]. 이는 단순히 전기차 보급 대수를 늘리는 것을 넘어, 기술 혁신을 통해 소비자가 체감할 수 있는 우수한 품질의 전기차 시장을 조성하려는 정부의 정책적 의지를 반영합니다.
성능 기반 보조금 차등 강화: 1회 충전 시 실제 주행 가능 거리와 충전 속도는 전기차 사용 편의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 성능 지표입니다. 2025년 보조금 정책은 이러한 성능 지표에 따라 지원금을 더욱 세밀하게 차등화했습니다.
1회 충전 주행거리 기준 강화: 중·대형 전기 승용차의 경우, 보조금 차등의 기준이 되는 1회 충전 주행거리가 2024년 400km에서 2025년 440km로 상향 조정되었습니다[7][9][28]. 이 기준에 미달하는 차량은 주행거리가 짧을수록 보조금이 더 큰 폭으로 삭감되는데, 440km 미만 차량의 경우 10km당 차감되는 보조금 액수가 기존 약 6.8만 원에서 약 8.1만 원으로 증가했습니다[7][9][28]. 소형 전기 승용차 역시 주행거리 기준이 250km에서 280km로 상향되었으며, 기준 미달 시 10km당 차감액이 4.5만 원에서 5만 원으로 확대되었습니다[7][28][35]. 이는 장거리 주행이 가능한 고성능 배터리 기술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충전 속도 인센티브 도입: 빠른 충전 속도는 전기차의 실용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에 따라, 250kW 이상의 초고속 충전 기능을 갖춘 전기 승용차에는 30만 원의 추가 보조금(인센티브)이 지급됩니다[7][35][37]. 전기 화물차의 경우에도 150kW 이상 고속 충전 기능 탑재 시 인센티브가 제공되며, 보조금이 삭감되는 충전 속도 기준 또한 기존 90kW에서 100kW로 강화되어 전반적인 충전 성능 향상을 유도하고 있습니다[36].
혁신 기술 추가 지원: 차량 대 차량(V2L, Vehicle to Load) 충전 기능과 같은 혁신 기술을 탑재하고 고속 충전이 가능한 전기 승용차에는 최대 50만 원의 추가 지원금이 지급될 수 있어, 부가 가치가 높은 기술의 적용을 장려합니다[19][28].
안전 관련 보조금 신설 및 제조사 책임 강화: 전기차의 안전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2025년 보조금 정책은 안전 기능 탑재 차량에 대한 지원을 신설하고 제조사의 책임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편되었습니다.
안전 보조금 지급: 기존의 차량정보수집장치(OBD-II) 의무 탑재 외에도, 배터리 상태 및 충전 관련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 그리고 주차 중 배터리 이상 상황을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갖춘 전기 승용차에는 총 50만 원의 안전 보조금이 추가로 지급됩니다[9][19][28]. 전기 화물차의 경우에도 충전 중 배터리 상태 정보 제공 기능 및 BMS(배터리 관리 시스템) 기반의 주차 중 이상 상황 감지·알림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에 50만 원의 안전 보조금이 지원됩니다[36].
제조사 안전 책임 강화 (안전계수 도입): 자동차 제조사가 '제조물 책임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경우 보조금 지급이 전면 중단됩니다(6개월의 유예기간 적용)[28][35][36]. 또한, 차량의 충전량 정보(SOC)를 급속 및 완속 충전기에 제대로 제공하지 않는 차량 역시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12개월의 유예기간 적용)[28][35][36]. 이는 전기차 제조 및 수입사의 안전에 대한 책임을 한층 강화하고 소비자 보호를 두텁게 하려는 조치입니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관련 추가 지원: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불가능한 노후 전기차를 폐차하고 신규 전기차를 구매하는 경우에는 20만 원의 추가 보조금이 지원되어, 안전성이 향상된 신차로의 전환을 유도합니다[19][28].
이처럼 성능과 안전을 중심으로 한 보조금 차등 강화는 소비자들이 더 우수하고 안전한 전기차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자동차 제조사들의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안전 투자 확대를 이끌어낼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정 계층 대상 추가 지원 확대
2025년 전기차 보조금 정책은 사회적 배려가 필요한 특정 계층의 전기차 구매 부담을 실질적으로 완화하고, 친환경차 보급의 포용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추가 지원책을 확대·강화했습니다. 이는 전기차로의 전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보 격차나 경제적 장벽을 해소하려는 정부의 노력을 보여줍니다.
2025년 전기차 구매 보조금의 주요 인센티브 항목
청년 생애 첫 전기차 구매 지원 강화: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의 청년이 생애 처음으로 전기차를 구매하는 경우, 기존에는 차상위 이하 계층이라는 소득 요건이 있었으나 2025년부터는 이러한 소득 요건 없이도 기본 국고 보조금의 20%를 추가로 지원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1][7][9]. 예를 들어, 기본 국고 보조금이 580만 원인 차량을 구매하는 청년은 116만 원(580만 원의 20%)의 추가 보조금을 받아 총 696만 원의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이는 청년층의 친환경차 접근성을 높이고 미래 세대의 전기차 이용을 장려하기 위한 파격적인 조치로 평가됩니다.
다자녀 가구 지원 방식 변경 및 확대: 18세 이하의 자녀를 둔 다자녀 가구에 대한 전기차 구매 지원이 기존의 정률 지원 방식에서 자녀 수에 따른 정액 지원 방식으로 변경되어 혜택이 더욱 명확해지고 확대되었습니다[7][35]. 구체적으로 자녀가 2명인 가구에는 100만 원, 자녀가 3명인 가구에는 200만 원, 그리고 자녀가 4명 이상인 가구에는 300만 원의 추가 보조금이 각각 지급됩니다[7][9][19]. 이는 출산 장려 정책과 연계하여 다자녀 가구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려는 취지입니다.
농업인 전기 화물차 구매 지원: 농업 활동에 필수적인 화물차의 친환경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농업인이 전기 화물차를 구매할 경우 국고 보조금의 10%를 추가로 지원합니다[1][7][23]. 이는 농촌 지역의 대기질 개선과 함께 농업인의 유류비 절감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소상공인 전기 화물차 구매 지원: 경제 활동의 주축인 소상공인의 경영 부담을 완화하고 친환경 물류 시스템 구축을 장려하기 위해, 소상공인이 사업용으로 전기 화물차를 구매할 경우 국고 보조금의 30%라는 높은 비율의 추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7][35].
택배용 전기 화물차 지원: 도심 내 대기오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되는 노후 경유 택배 차량의 전기차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택배용으로 전기 화물차를 구매하고 일정 기간 택배업을 유지하는 조건으로 국고 보조금의 10%를 추가 지원합니다[7][35].
차상위 계층 구매 지원 지속: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의 전기차 구매를 돕기 위해, 차상위 이하 계층이 전기차를 구매할 경우에는 기존과 같이 국고 보조금의 20%를 추가로 지원합니다[7][35].
이러한 특정 계층 대상 추가 지원 항목들은 중복 적용 가능 여부, 신청 절차, 필요 서류 등이 각기 다를 수 있으므로, 구매자는 사전에 해당 지자체나 무공해차 통합누리집(ev.or.kr)을 통해 상세 내용을 반드시 확인하고 신청해야 합니다. 정부는 이러한 맞춤형 지원 확대를 통해 전기차 보급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고 사회 전체의 친환경 전환을 촉진하고자 합니다.
제조사 할인 연계 보조금 지급
2025년 전기차 보조금 정책의 주목할 만한 변화 중 하나는 자동차 제조사의 자체적인 가격 할인 노력에 비례하여 정부가 보조금을 추가로 지원하는 제도가 새롭게 개편되어 시행된다는 점입니다[7][35][36]. 이 제도는 제조사 간의 건전한 가격 경쟁을 유도함으로써 소비자들이 보다 합리적인 가격으로 전기차를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전기차 시장의 가격 안정화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구체적인 지원 방식은 차량의 기본 가격 구간에 따라 차등적으로 적용됩니다.
차량 기본 가격 5,300만 원 미만 차량의 경우: 제조사가 차량 가격을 할인하여 판매할 때, 정부는 제조사 할인액 중 최초 500만 원까지는 해당 할인액의 20%를, 그리고 500만 원을 초과하는 할인분에 대해서는 그 초과분의 40%에 해당하는 금액을 추가 보조금으로 지원합니다[7][35][36]. 예를 들어, 제조사가 700만 원을 할인한다면, 500만 원에 대한 20%(100만 원)와 초과분 200만 원에 대한 40%(80만 원)를 합한 총 180만 원의 추가 보조금이 지급될 수 있습니다.
차량 기본 가격 4,500만 원 미만 차량의 경우: 더욱 가격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 구간의 차량에 대해서는 제조사 할인 시, 할인액 400만 원까지는 해당 할인액의 30%를 추가 보조금으로 지원합니다. (일부 자료에서는 할인액 200만 원까지 20%, 200만 원 초과 400만 원까지는 40%를 지원하는 것으로 언급되기도 합니다[36].) 그리고 400만 원을 초과하는 할인분에 대해서는 그 초과분의 40%를 추가 보조금으로 지원합니다[7][35]. 이 규정은 시장 상황에 따라 6개월간 한시적으로 운영될 가능성도 제기되었습니다[36].
이러한 제조사 할인 연계 추가 보조금 제도는 모든 전기차 모델이나 모든 할인 프로모션에 일괄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정부가 정한 특정 조건과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41]. 따라서 소비자들은 차량 구매 시 해당 차량이 이 제도의 적용 대상인지, 그리고 예상되는 추가 보조금액은 얼마인지 판매 대리점이나 관련 기관을 통해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제도의 도입은 제조사들이 단순히 정부 보조금에 의존하기보다는 자체적인 원가 절감 노력과 마케팅 전략을 통해 차량 가격을 인하하도록 유도하는 강력한 인센티브로 작용할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소비자들은 제조사의 할인 혜택과 정부의 추가 보조금 지원이라는 이중의 가격 인하 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되어, 전기차 구매에 대한 경제적 부담이 한층 완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는 특히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들이 전기차 시장으로 유입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전기 승합차 및 화물차 보조금 주요 변경 사항
2025년 전기차 보조금 개편은 승용차뿐만 아니라 대중교통 및 물류 운송 부문의 핵심인 전기 승합차(버스)와 전기 화물차에 대해서도 중요한 변경 사항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는 해당 분야의 친환경차 전환을 가속화하고, 차량의 운행 특성을 고려한 성능 및 안전 기준을 강화하기 위함입니다.
전기 승합차(버스) 보조금 변경 사항: 전기 버스는 시민들의 일상과 밀접하게 관련된 대중교통 수단인 만큼, 성능과 안전, 그리고 보조금 집행의 투명성이 더욱 강조되었습니다.
성능 기준 강화: 1회 충전 시 주행 가능 거리에 대한 기준이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대형 전기 버스의 경우 1회 충전 주행거리가 500km 미만일 경우, 중형 전기 버스는 400km 미만일 경우 보조금이 차등적으로 삭감됩니다[36]. 이는 장거리 노선 운행이 가능한 고성능 배터리 탑재를 유도하기 위함입니다.
안전 관리 대폭 강화: 배터리 안전성 확보를 위해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을 활용한 주차 중 이상 상황 감지 및 알림 기능 지원 여부가 배터리 안전 보조금(최대 1,000만 원) 지급의 주요 항목으로 추가되었습니다[13][27][36]. 또한, 승용차와 마찬가지로 제조물 책임보험 가입 여부와 충전량 정보(SOC) 제공 여부에 따른 안전계수가 도입되어, 미충족 시 보조금이 지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사후관리(A/S) 체계에 대한 요건 강화도 2026년부터 시행될 예정임이 예고되었습니다[36].
다양성 및 특정 용도 지원 확대: 정부는 무공해 승합차의 종류를 다양화하고 특정 용도의 보급을 촉진하기 위한 지원책도 마련했습니다. 예를 들어, 어린이 통학용으로 사용되는 전기 승합차에 대한 지원이 대폭 강화되어, 대형 기준 최대 1억 1,500만 원, 중형 기준 최대 1억 원까지 보조금이 지급됩니다[36]. 이는 「대기관리권역의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 시행에 따른 어린이 통학버스 경유차 제한 조치의 원활한 이행을 지원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수소버스 보급 등 무공해 승합차 연료 다변화에 기여한 제조·수입사에는 최대 700만 원의 추가 인센티브가 제공됩니다[36].
보조금 집행 투명성 제고: 전기 버스는 타 차종에 비해 보조금 규모가 크기 때문에 집행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도 도입되었습니다. 대형 전기버스의 경우 보조금 과다 수령을 방지하기 위해 최소 자부담금(1억 원) 요건이 설정되었으며, 제조·수입사와 구매자가 특수관계(예: 계열사 간 거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재지원 제한 기간(2년)을 적용하여 공정한 보조금 집행을 도모합니다[36].
전기 화물차 보조금 변경 사항: 물류 운송의 핵심 수단인 화물차의 전기차 전환은 도심 대기질 개선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2025년 정책은 전기 화물차의 성능 향상과 구매 부담 완화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성능 인센티브 도입 및 기준 강화: 기존 전기 화물차의 단점으로 지적되던 짧은 주행거리와 느린 충전 속도를 개선하기 위해, 1회 충전 주행거리가 280km를 초과하거나 150kW 이상의 고속 충전 기능을 갖춘 차량에는 혁신기술 추가 보조금이 지급됩니다[36]. 또한, 보조금이 삭감되는 충전 속도 기준도 기존 90kW에서 100kW로 강화되어 전반적인 성능 향상을 유도합니다[36].
안전 관리 강화: 전기 화물차에도 배터리 안전 보조금(총 50만 원)이 신설되어, 충전 중 배터리 상태 정보 제공 기능 및 BMS 기반의 주차 중 이상 상황 감지·알림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에 지원됩니다[36]. 승합차와 마찬가지로 제조물 책임보험 가입, SOC 정보 제공 관련 안전계수 설정 및 A/S 요건 강화가 2026년부터 예고되었습니다[36].
구매 부담 완화 및 특정 수요 지원: 농업인이 전기 화물차를 구매할 경우 국비 보조금의 10%가 추가 지원되며, 제조사의 차량 할인 금액에 비례한 보조금 추가 지원 제도도 확대 적용되어 실질적인 구매 가격 인하를 유도합니다[36].
이러한 전기 승합차 및 화물차 보조금 정책의 변화는 관련 산업의 기술 개발을 촉진하고,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친환경 상용차 보급을 확대하여 수송 부문의 탄소 중립 목표 달성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1] https://blog.naver.com/illwalkwithgod/223712739899 [2] https://www.kiplinger.com/taxes/whats-happening-with-the-ev-tax-credit [3] https://m.site.naver.com/1BkSL [4] https://www.nerdwallet.com/article/taxes/ev-tax-credit-electric-vehicle-tax-credit [5] https://www.ev.or.kr/nportal/buySupprt/initSubsidyPaymentCheckAction.do [6] https://electrek.co/which-ev-qualify-us-federal-tax-credit-ev-2025/ [7] https://whiseung.tistory.com/entry/2025%EB%85%84-%EC%A0%84%EA%B8%B0%EC%B0%A8-%EB%B3%B4%EC%A1%B0%EA%B8%88-%EC%99%84%EB%B2%BD-%EA%B0%80%EC%9D%B4%EB%93%9C-%EC%B5%9C%EC%8B%A0-%EC%A0%95%EB%B3%B4%EB%B6%80%ED%84%B0-%EC%8B%A0%EC%B2%AD-%EB%B0%A9%EB%B2%95%EA%B9%8C%EC%A7%80-%F0%9F%9A%97%E2%9A%A1%F0%9F%92%B0 [8] https://www.fisherhonda.com/federal-ev-tax-incentives-in-2025/ [9] https://tenten-healty.tistory.com/116 [10] https://pluginamerica.org/learn/federal-ev-tax-credits/2024-info/ [11] https://moneycompany.tistory.com/692 [12] https://arstechnica.com/cars/2025/01/winners-and-losers-as-the-ev-tax-credit-rules-change-for-2025/ [13] https://news.nate.com/view/20250102n19587 [14] https://www.edmunds.com/fuel-economy/the-ins-and-outs-of-electric-vehicle-tax-credits.html [15] http://www.ev.or.kr/ [16] https://www.irs.gov/credits-deductions/credits-for-new-clean-vehicles-purchased-in-2023-or-after [17] https://richroad300.com/entry/2025%EB%85%84-%EC%A0%84%EA%B8%B0%EC%B0%A8-%EB%B3%B4%EC%A1%B0%EA%B8%88-%EB%B3%80%EA%B2%BD-%EC%82%AC%ED%95%AD-%EC%B4%9D%EC%A0%95%EB%A6%AC?category=1182345 [18] https://www.jsmorlu.com/tax-central/ev-incentive-changes-2025/ [19] https://moneycompany.tistory.com/692 [20] https://richroad300.com/entry/2025%EB%85%84-%EC%A0%84%EA%B8%B0%EC%B0%A8-%EB%B3%B4%EC%A1%B0%EA%B8%88-%EB%B3%80%EA%B2%BD-%EC%82%AC%ED%95%AD-%EC%B4%9D%EC%A0%95%EB%A6%AC?category=1182345 [21] http://www.ev.or.kr/ [22] https://tenten-healty.tistory.com/116 [23] https://blog.naver.com/illwalkwithgod/223712739899 [24] https://www.ev.or.kr/nportal/buySupprt/initSubsidyPaymentCheckAction.do [25] https://m.site.naver.com/1BkSL [26] https://whiseung.tistory.com/entry/2025%EB%85%84-%EC%A0%84%EA%B8%B0%EC%B0%A8-%EB%B3%B4%EC%A1%B0%EA%B8%88-%EC%99%84%EB%B2%BD-%EA%B0%80%EC%9D%B4%EB%93%9C-%EC%B5%9C%EC%8B%A0-%EC%A0%95%EB%B3%B4%EB%B6%80%ED%84%B0-%EC%8B%A0%EC%B2%AD-%EB%B0%A9%EB%B2%95%EA%B9%8C%EC%A7%80-%F0%9F%9A%97%E2%9A%A1%F0%9F%92%B0 [27] https://news.nate.com/view/20250102n19587 [28] https://moneycompany.tistory.com/692 [29] https://richroad300.com/entry/2025%EB%85%84-%EC%A0%84%EA%B8%B0%EC%B0%A8-%EB%B3%B4%EC%A1%B0%EA%B8%88-%EB%B3%80%EA%B2%BD-%EC%82%AC%ED%95%AD-%EC%B4%9D%EC%A0%95%EB%A6%AC?category=1182345 [30] http://www.ev.or.kr/ [31] https://tenten-healty.tistory.com/116 [32] https://blog.naver.com/illwalkwithgod/223712739899 [33] https://www.ev.or.kr/nportal/buySupprt/initSubsidyPaymentCheckAction.do [34] https://m.site.naver.com/1BkSL [35] https://whiseung.tistory.com/entry/2025%EB%85%84-%EC%A0%84%EA%B8%B0%EC%B0%A8-%EB%B3%B4%EC%A1%B0%EA%B8%88-%EC%99%84%EB%B2%BD-%EA%B0%80%EC%9D%B4%EB%93%9C-%EC%B5%9C%EC%8B%A0-%EC%A0%95%EB%B3%B4%EB%B6%80%ED%84%B0-%EC%8B%A0%EC%B2%AD-%EB%B0%A9%EB%B2%95%EA%B9%8C%EC%A7%80-%F0%9F%9A%97%E2%9A%A1%F0%9F%92%B0 [36] https://news.nate.com/view/20250102n19587 [37] https://ignition-inform.tistory.com/219 [38] https://blueberry33.tistory.com/entry/2025%EB%85%84-%EC%B5%9C%EC%8B%A0-%EC%A0%84%EA%B8%B0%EC%B0%A8%EB%B3%B4%EC%A1%B0%EA%B8%88-%EC%A0%95%EC%B1%85-%EC%B4%9D%EC%A0%95%EB%A6%AC [39] https://brunch.co.kr/@@aGMr/263 [40]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45733224&memberNo=16056627&searchKeyword=%EB%B0%B0%ED%84%B0%EB%A6%AC%20bms&searchRank=107 [41] https://namu.wiki/w/2025%EB%85%84%20%EC%A0%84%EA%B8%B0%EC%9E%90%EB%8F%99%EC%B0%A8%20%EB%B3%B4%EC%A1%B0%EA%B8%88%20%EB%8C%80%EB%9E%80 [42] https://v.daum.net/v/20250521112142021 [43] https://www.e4ds.com/sub_view.asp?ch=11&t=0&idx=18225 [44] https://kcg.korea.kr/multi/visualNewsView.do?newsId=148938584&pWise=sub&pWiseSub=C1 [45] https://blog.naver.com/cooljakey/223712906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