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모니터 시장 트렌드: OLED·Mini-LED·초고주사율·4K 고해상도 신제품 및 주요 제조사 비교 분석
Overview
2025년 5월 현재, 모니터 시장은 기술 혁신과 제품 다양성 확대로 인해 사용자들에게 폭넓은 선택지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기술의 대중화가 두드러지며, QD-OLED와 WOLED 패널을 탑재한 다양한 해상도와 고주사율의 제품들이 게이밍 및 전문가용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27인치 4K QD-OLED 모니터와 500Hz를 초과하는 초고주사율 OLED 게이밍 모니터의 등장은 이러한 추세를 명확히 보여줍니다[1][24][57]. 또한, Mini-LED 기술 역시 지속적인 발전을 통해 HDR 성능과 명암비를 극대화한 제품들로 하이엔드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으며, 삼성의 오디세이 Neo G9 G95NC와 같은 초광폭, 초고해상도 모델이 대표적입니다[37][60].
주사율 경쟁 또한 치열하여, TN 패널 기반의 600Hz 이상 초고주사율 모니터가 e스포츠 시장을 공략하고 있으며, IPS 패널 역시 게이밍 성능을 강화하며 꾸준한 수요를 보이고 있습니다[5][20]. 해상도 측면에서는 4K UHD가 표준으로 자리매김하는 가운데, LG의 5K2K 울트라와이드 OLED 모니터와 같은 전문가 및 하이엔드 사용자를 위한 초고해상도 제품도 등장하여 작업 효율성과 몰입감을 한층 높이고 있습니다[22][36]. 연결성 측면에서는 DisplayPort 2.1의 채택이 확대되어 고해상도, 고주사율 환경을 원활하게 지원하며, USB-C 포트는 데이터 전송, 디스플레이 출력, 전원 공급(PD)을 통합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있습니다[9][51][58]. 이 외에도 AI 기반 화질 최적화 기능, 스마트 OS 탑재 등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부가 기능들이 모니터에 통합되는 추세입니다[9][13].
상세 보고서
2025년 모니터 시장의 주요 기술 동향 및 전망
2025년 모니터 시장은 몇 가지 핵심 기술 트렌드를 중심으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이는 사용자 경험의 질을 한층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OLED 기술의 확산과 발전
OLED 기술은 2025년 모니터 시장에서 가장 주목받는 분야 중 하나입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QD-OLED와 LG디스플레이의 WOLED 기술이 경쟁하며 다양한 제품군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27인치 4K QD-OLED 모니터가 여러 제조사를 통해 출시되면서 고해상도와 뛰어난 색 재현력을 원하는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선택지를 제공하고 있습니다[1][9][24]. 이들 제품은 일반적으로 240Hz의 고주사율을 지원하여 게이밍 환경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발휘합니다. 또한, 게이밍 시장을 겨냥한 500Hz 이상의 초고주사율 OLED 모니터도 등장하여, e스포츠 선수들이나 극한의 부드러움을 추구하는 게이머들에게 매력적인 옵션이 되고 있습니다[1][9][46][58]. 예를 들어, MSI의 MPG 272QR QD-OLED X50 모델은 27인치 QHD 해상도에 500Hz 주사율을 구현했으며[9][27], ASUS는 2025년 말 540Hz WOLED 모니터 출시를 계획하고 있습니다[32]. LG디스플레이는 1500니트의 부분 최대 밝기를 구현할 수 있는 4세대 WOLED 패널을 선보이는 등 패널 자체의 성능 개선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27]. 비게이밍용 OLED 모니터 또한 Dell, LG, 삼성 등 주요 제조사에서 출시될 예정으로, 전문가용 및 일반 사용자 시장으로의 확대가 기대됩니다[1][24].
![2025년 출시 예정 OLED 모니터 목록[57]](https://img2.quasarzone.com/editor/2025/02/11/3eb628675c7cfffc97123de91a8fd9a7uaGdQ.jpg)
Mini-LED 기술의 지속적인 강세
Mini-LED 백라이트 기술은 LCD 모니터의 단점을 보완하며 하이엔드 시장에서 OLED와 경쟁하고 있습니다. 수많은 로컬 디밍 존을 통해 정교한 명암비 제어와 높은 HDR(High Dynamic Range) 성능을 구현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삼성의 오디세이 Neo G9 G95NC 모델은 57인치 듀얼 UHD(7680x2160) 해상도와 240Hz 주사율, 퀀텀 Mini-LED 기술을 결합하여 압도적인 시각 경험을 제공합니다[37][60][68]. MSI, AOC, Xiaomi 등 다양한 제조사들도 1000개가 넘는 디밍 존을 갖춘 Mini-LED 모니터를 출시하며 경쟁에 참여하고 있습니다[20]. 이러한 제품들은 특히 HDR 콘텐츠 소비와 게이밍 환경에서 뛰어난 화질을 제공합니다.
초고주사율 및 고해상도 경쟁 심화
주사율 경쟁은 e스포츠 시장을 중심으로 더욱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TN 패널은 응답속도의 이점을 바탕으로 600Hz를 넘어서는 초고주사율을 달성하며, ASUS ROG Strix ACE XG248QSG (610Hz), MSI MAG 242R X60N (600Hz) 등이 대표적입니다[5][20][32]. IPS 패널 또한 게이밍 성능이 지속적으로 향상되어, LG의 27G850A 모델은 27인치 4K 해상도에서 240Hz 주사율(듀얼 모드 시 1080p 480Hz)을 지원하는 IPS Black 패널을 탑재했습니다[20].
해상도 측면에서는 4K UHD(3840x2160)가 표준으로 자리 잡는 추세이며, 특히 27인치 및 32인치 크기에서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 LG는 45인치 5K2K(5120x2160) 해상도의 울트라와이드 OLED 게이밍 모니터 (45GX990A/950A)를 선보여, 넓은 작업 공간과 몰입감 넘치는 게이밍 경험을 동시에 제공합니다[9][22][36]. 이러한 초고해상도 모니터는 콘텐츠 제작자나 멀티태스킹 환경을 선호하는 사용자들에게 유용합니다.
연결성 및 부가 기능의 발전
최신 모니터들은 향상된 연결성과 다양한 부가 기능을 통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DisplayPort 2.1의 채택이 점차 확대되면서, 압축 없이도 고해상도와 초고주사율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대역폭을 제공합니다[9][51][58]. HDMI 2.1 역시 최신 콘솔 게임기 및 고성능 그래픽카드와의 호환성을 보장하며 게이밍 모니터의 필수 사양으로 자리 잡았습니다[62]. USB-C 포트는 단일 케이블로 영상 전송, 데이터 전송, 그리고 최대 98W에 달하는 전원 공급(Power Delivery)까지 지원하여 노트북 사용자들에게 깔끔한 데스크 환경을 제공합니다[9][19][21].
부가 기능으로는 삼성전자 모니터에서 볼 수 있는 AI 기반 화질 최적화 기술이나, 타이젠 OS를 탑재한 스마트 모니터 (예: 삼성 스마트 모니터 M9) 등이 있으며, 이는 모니터를 PC 없이도 다양한 콘텐츠 허브로 활용할 수 있게 합니다[9][13].
주요 제조사별 2025년 최신 모니터 라인업 비교
2025년 모니터 시장은 주요 제조사들의 기술력 경쟁과 혁신적인 신제품 출시로 활기를 띠고 있습니다. 각 제조사들은 OLED, Mini-LED, 고주사율 등 최신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며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려 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Samsung)
삼성전자는 오디세이(Odyssey) 게이밍 모니터 시리즈를 필두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 오디세이 OLED G8 (모델명: G80SD 또는 G81SF): 32인치 4K QD-OLED 모델(G80SD)과 27인치 4K QD-OLED 모델(G81SF, 165Hz)이 출시되어 뛰어난 화질과 게이밍 성능을 제공합니다[3][4][13].
* 오디세이 OLED G6 (모델명: G60SD): 27인치 QHD 해상도에 QD-OLED 패널을 탑재했으며, 일부 모델은 500Hz의 초고주사율을 지원하여 e스포츠 환경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3][4][9].
* 오디세이 Neo G9 G95NC: 57인치 32:9 비율의 듀얼 UHD(7680x2160) 해상도, 240Hz 주사율, 1000R 곡률, 퀀텀 Mini-LED 기술을 적용한 플래그십 모델로, 압도적인 몰입감과 화질을 자랑합니다[37][53][60][68].
!\[삼성 오디세이 Neo G9 G95NC\[60\]\](https://blog.kakaocdn.net/dn/bLckYh/btsNMArsam4/5BRJMsf3RkCP3BNAw5cnuK/img.jpg)
* 오디세이 Neo G8 S32BG85: 32인치 4K 해상도에 240Hz 주사율, Mini-LED 백라이트를 탑재한 고성능 게이밍 모니터입니다[3][4][28].
* 스마트 모니터 M9: 32인치 4K OLED 패널에 타이젠 OS를 탑재하여 PC 연결 없이도 다양한 OTT 서비스 및 스마트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 모니터입니다[9].
LG전자 (LG)
LG전자는 울트라기어(UltraGear) 게이밍 모니터 시리즈와 전문가용 IPS 모니터 라인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울트라기어 45GX990A / 45GX950A: 45인치 21:9 비율의 5K2K(5120x2160) 해상도를 지원하는 OLED 게이밍 모니터입니다. 45GX990A 모델은 평면과 곡면(최대 900R)을 오가는 벤더블 디스플레이를, 45GX950A 모델은 800R 곡률의 커브드 디스플레이를 적용했습니다. 두 모델 모두 고주사율(최대 330Hz)과 고해상도(최대 165Hz) 모드를 지원합니다[9][22][36][58].
* 울트라기어 32GS95UVW: 32인치 4K 해상도의 OLED 게이밍 모니터로, LG의 최신 OLED 기술이 집약된 모델입니다[26].
* LG 27G850A: 27인치 4K 해상도에 240Hz 주사율을 지원하는 IPS Black 패널을 탑재했으며, 1080p 해상도에서 480Hz로 작동하는 듀얼 모드 기능을 제공합니다[20].
* LG 27MR400: 27인치 FHD 해상도의 IPS 패널 모니터로, 얇은 베젤 디자인과 안정적인 성능으로 사무용 및 일반용으로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8][16][18][44].
MSI
MSI는 QD-OLED 기술을 적극 활용한 게이밍 모니터 라인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 MPG 321URX QD-OLED: 32인치 4K UHD 해상도와 QD-OLED 패널을 탑재하여 최상급 화질과 게이밍 성능을 제공하며, 다수의 매체에서 2025년 최고의 게이밍 모니터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3][4][6][12].
* MPG 271QRX QD-OLED: 27인치 QHD 해상도의 QD-OLED 게이밍 모니터입니다[3][4].
* MPG 272QR QD-OLED X50: 27인치 QHD 해상도에 500Hz의 초고주사율을 지원하는 QD-OLED 패널을 탑재하여 e스포츠 게이머들에게 최적의 환경을 제공합니다[9][27].
!\[MSI MPG 272QR QD-OLED X50\[9\]\](https://thumb.zumst.com/530x0/https://static.news.zumst.com/images/76/2025/01/09/1cdde725b6c246f6a96f721d73f32447.jpg)
* MPG 341CQPX QD-OLED: 34인치 울트라와이드 QHD 해상도의 QD-OLED 모니터입니다[3][4].
* MAG 242R X60N: 24.1인치 FHD 해상도에 600Hz 주사율을 지원하는 Rapid TN 패널을 탑재한 e스포츠용 모니터입니다[5].
* PRO MP275QPDG: 27인치 WQHD 해상도의 도킹 모니터로, 데이지 체인 및 98W PD 충전을 지원하여 업무 효율성을 높입니다[21].
Dell / Alienware
Dell과 Alienware 브랜드는 고성능 게이밍 모니터, 특히 QD-OLED 라인업에서 강점을 보입니다.
* Alienware AW3225QF: 32인치 4K UHD 해상도, 240Hz 주사율, QD-OLED 패널을 탑재한 플래그십 게이밍 모니터로, 뛰어난 HDR 성능과 색감을 제공합니다[3][4][7][28][34].
* Alienware AW2725DF/AW2725QF: AW2725DF는 27인치 QHD 해상도에 360Hz 주사율을 지원하는 QD-OLED 모델이며, AW2725QF는 27인치 4K 240Hz QD-OLED 모델로 사용자에게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합니다[3][4][7][27].
* Dell S3222DGM: 32인치 QHD 해상도, 165Hz 주사율의 VA 패널을 사용한 가성비 게이밍 모니터입니다[28][34].
ASUS
ASUS는 ROG(Republic of Gamers) 브랜드를 통해 하이엔드 게이밍 모니터 시장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 ROG Swift OLED PG27UCDM: 27인치 4K UHD 해상도, 240Hz 주사율의 QD-OLED 패널을 탑재했으며, DisplayPort 2.1a, HDMI 2.1, USB-C PD 등 풍부한 연결성을 제공합니다[3][9].
!\[ASUS ROG Swift OLED PG27UCDM\[9\]\](https://thumb.zumst.com/530x0/https://static.news.zumst.com/images/76/2025/01/09/763ba07b6f0b4ddcaa6a501e6bbc0aca.jpg)
* ROG Strix OLED XG27AQDMG: 27인치 QHD 해상도의 OLED 게이밍 모니터입니다[3][4].
* ROG Strix ACE XG248QSG: 24.1인치 FHD 해상도에 610Hz의 초고주사율을 지원하는 Super TN 패널을 탑재한 e스포츠 특화 모델입니다[5][20][32].
* ASUS XG32UCWMG / XG32UCWG: 32인치 4K 해상도의 W-OLED 게이밍 모니터로, 각각 240Hz(1080p 480Hz 듀얼 모드)와 165Hz(1080p 330Hz 듀얼 모드) 주사율을 지원합니다[27].
* ProArt Display PA279CRV: 전문가용 모니터로, 정확한 색 재현력과 다양한 연결성을 제공합니다[3].
기타 주요 제조사 (Acer, Gigabyte, 한성컴퓨터 등)
* Acer:
\* \*\*Predator X27 X\*\*: 26.5인치 4K 240Hz QD-OLED 게이밍 모니터입니다\[5\].
\* \*\*Predator X27U F5\*\*: 26.5인치 QHD 500Hz QD-OLED 게이밍 모니터입니다\[5\].
\* \*\*Nitro XV275K P3biipruzx\*\*: 고성능 게이밍 모니터 라인업에 속합니다\[3\]\[4\].
\* \*\*Nitro GA341CUR W0 / GA321QK P\*\*: 각각 34인치 UWQHD 240Hz VA, 31.5인치 4K 165Hz VA 패널을 탑재하고 Google TV 기능을 내장한 스마트 게이밍 모니터입니다\[5\].
* Gigabyte:
\* \*\*AORUS FO27Q3\*\*: 27인치 QHD 해상도의 OLED 게이밍 모니터입니다\[3\]\[4\].
\* \*\*M28U\*\*: 28인치 4K 144Hz IPS 패널을 탑재한 가성비 4K 게이밍 모니터입니다\[12\].
* 한성컴퓨터:
\* \*\*TFG24F14PB\*\*: 2025년 5월 출시된 24인치 FHD 해상도, 144Hz 주사율의 IPS 패널 가성비 게이밍 모니터입니다\[49\]\[56\]\[61\].
!\[한성컴퓨터 TFG24F14PB\[56\]\](https://blog.kakaocdn.net/dn/dCMinW/btsN1fPC7WK/7Qv9Tx93Irx5ATKG82pknK/img.jpg)
아래 표는 주요 제조사의 대표적인 2025년형 모니터 스펙을 요약한 것입니다.
| 제조사 | 모델명 | 크기(인치) | 해상도 | 패널 타입 | 주사율(Hz) | 주요 특징 | 출처 |
| :---------- | :------------------------- | :--------- | :------------ | :------------ | :--------- | :------------------------------------------ | :---------- |
| 삼성 | Odyssey Neo G9 G95NC | 57 | DUHD (7680x2160) | VA (Mini-LED) | 240 | 1000R 곡률, 32:9 비율, HDR1000 | [37][60][68] |
| 삼성 | Odyssey OLED G8 (G80SD) | 32 | 4K (3840x2160) | QD-OLED | 240 | 고성능 게이밍 | [3][4] |
| 삼성 | Odyssey OLED G6 (G60SD) | 27 | QHD (2560x1440) | QD-OLED | 500 | 초고주사율 게이밍 | [9] |
| LG | UltraGear 45GX990A | 45 | 5K2K (5120x2160)| OLED | 165/330 | 벤더블 디스플레이, 21:9 비율 | [9][22][36] |
| LG | UltraGear 32GS95UVW | 32 | 4K (3840x2160) | OLED | - | 고성능 게이밍 | [26] |
| MSI | MPG 321URX QD-OLED | 32 | 4K (3840x2160) | QD-OLED | 240 | 최상급 화질 및 게이밍 성능 | [3][4][12] |
| MSI | MPG 272QR QD-OLED X50 | 27 | QHD (2560x1440) | QD-OLED | 500 | 초고주사율 e스포츠용 | [9][27] |
| Alienware | AW3225QF | 32 | 4K (3840x2160) | QD-OLED | 240 | Dolby Vision, 고성능 게이밍 | [3][4][28] |
| Alienware | AW2725QF | 27 | 4K (3840x2160) | QD-OLED | 240 | 고해상도, 고주사율 게이밍 | [27] |
| ASUS | ROG Swift OLED PG27UCDM | 27 | 4K (3840x2160) | QD-OLED | 240 | DP 2.1a, USB-C PD | [3][9] |
| ASUS | ROG Strix ACE XG248QSG | 24.1 | FHD (1920x1080) | Super TN | 610 | e스포츠 특화 초고주사율 | [5][20][32] |
| Acer | Predator X27 X | 26.5 | 4K (3840x2160) | QD-OLED | 240 | 고성능 게이밍 | [5] |
| Acer | Predator X27U F5 | 26.5 | QHD (2560x1440) | QD-OLED | 500 | 초고주사율 게이밍 | [5] |
| Gigabyte | AORUS FO27Q3 | 27 | QHD (2560x1440) | OLED | - | 게이밍 모니터 | [3][4] |
| 한성컴퓨터 | TFG24F14PB | 24 | FHD (1920x1080) | IPS | 144 | 가성비 게이밍, 2025년 5월 출시 | [49][56][61] |
용도별 2025년 최신 모니터 추천
2025년 모니터 시장은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에 맞춰 세분화된 제품들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게이밍, 전문 작업, 사무 및 일반용 등 각 용도에 최적화된 모니터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상급 게이밍 경험을 위한 모니터
최고 수준의 게이밍 경험을 원하는 사용자들에게는 OLED 패널을 탑재한 고해상도, 고주사율 모니터가 최적의 선택입니다.
* MSI MPG 321URX QD-OLED (32인치 4K 240Hz) 및 Alienware AW3225QF (32인치 4K 240Hz QD-OLED)는 뛰어난 화질, 빠른 응답 속도, 높은 주사율을 겸비하여 몰입감 넘치는 게임 플레이를 제공합니다[3][4][12][28]. 이들 제품은 QD-OLED 패널의 장점인 넓은 색 영역과 깊은 블랙 표현으로 시각적 만족감을 극대화합니다.
* LG 울트라기어 45GX990A (45인치 5K2K 벤더블 OLED)는 21:9의 넓은 화면비와 사용 환경에 따라 곡률 조절이 가능한 혁신적인 기능으로 새로운 차원의 게이밍 환경을 선사합니다[9][22].
* 초고주사율을 선호하는 e스포츠 게이머에게는 MSI MPG 272QR QD-OLED X50 (27인치 QHD 500Hz)이나 Acer Predator X27U F5 (26.5인치 QHD 500Hz QD-OLED)와 같은 모델이 적합합니다[5][9][27]. TN 패널 기반의 ASUS ROG Strix ACE XG248QSG (24.1인치 FHD 610Hz)도 극한의 반응 속도를 요구하는 게임에 유리합니다[5][20].
* 압도적인 화면 크기와 해상도를 원한다면 삼성 오디세이 Neo G9 G95NC (57인치 DUHD 240Hz Mini-LED)가 독보적인 선택지로, 광활한 시야와 뛰어난 HDR 성능을 제공합니다[37][60].
전문가급 콘텐츠 제작 및 작업을 위한 모니터
정확한 색 표현과 높은 해상도가 필수적인 그래픽 디자인, 영상 편집, 사진 작업 등의 전문가에게는 다음과 같은 모니터들이 추천됩니다.
* Dell UltraSharp 시리즈는 전통적으로 뛰어난 색 정확도와 안정적인 품질로 전문가들에게 신뢰받는 라인업입니다. 2025년 모델 역시 이러한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62].
* ASUS ProArt Display PA279CRV와 같은 ProArt 시리즈는 넓은 색 영역(DCI-P3, Adobe RGB) 지원과 하드웨어 캘리브레이션 기능으로 정확한 색상 작업을 지원합니다[3].
* Acer PE270XT (27인치 5K IPS Black) 및 Acer PE320QXT (32인치 6K IPS Black)와 같이 IPS Black 기술을 적용하여 명암비를 개선하고 더욱 깊은 블랙을 표현하는 초고해상도 모니터도 전문 작업에 적합합니다[20].
* OLED 모니터 중에서도 27인치 4K QD-OLED 모델들 (예: ASUS ROG Swift OLED PG27UCDM)은 뛰어난 색 재현율과 픽셀 단위의 로컬 디밍으로 콘텐츠 제작에 활용될 수 있으며, 게이밍 성능까지 겸비하고 있습니다[3][9].
사무용 및 일반 사용자를 위한 가성비 모니터
일상적인 문서 작업, 웹 서핑, 멀티미디어 감상 등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하거나 사무 환경에 적합한 모니터는 가성비와 편의 기능이 중요합니다.
* LG 27MR400 (27인치 FHD IPS)은 얇은 베젤, 안정적인 화질, 넓은 시야각을 제공하며 듀얼 모니터 구성에도 용이하여 사무용으로 꾸준히 추천되는 모델입니다[8][18][44][52][70][73].
* 삼성 S27C310 (27인치 FHD VA) 역시 사무용으로 적합한 기본 성능과 삼성 브랜드의 신뢰성을 갖춘 가성비 모델입니다[18].
* 알파스캔 AOC Q32V3S (32인치 QHD IPS)는 넓은 작업 공간과 선명한 화질을 제공하며, 화면 분할 기능을 지원하여 멀티태스킹에 유리합니다[8].
* BenQ GW2486TC (24인치 FHD IPS)는 USB-C 포트를 통해 노트북 연결 및 충전(65W)이 가능하고, 높낮이 조절 스탠드와 100Hz 주사율을 지원하여 가성비 좋은 소형 모니터로 추천됩니다[19].
* MSI PRO MP275QPDG (27인치 WQHD)는 데이지 체인 및 98W PD 충전을 지원하는 도킹 기능을 갖춰 최신 업무 환경에 적합합니다[21].
* 2025년 5월에 출시된 한성컴퓨터 TFG24F14PB (24인치 FHD 144Hz IPS)는 게이밍과 사무용을 겸할 수 있는 가성비 모델로 주목받고 있습니다[49][56][61].
사용 목적과 예산을 고려하여 위에서 언급된 모델들을 포함한 다양한 제품들을 비교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특히, 2025년에는 OLED 모니터의 가격 안정화 추세도 예상되므로, 예산 범위 내에서 최적의 선택을 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2][12].
2025년 모니터 구매 시 주요 고려사항 및 시장 전망
2025년에 새로운 모니터를 구매하고자 할 때, 최신 기술 동향과 함께 몇 가지 중요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는 만족스러운 구매로 이어지고 장기간 사용할 제품을 현명하게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가격 동향 및 예산 설정
* OLED 모니터의 가격 변화: OLED 모니터는 여전히 프리미엄 제품군에 속하지만, 경쟁 심화와 생산 기술 발달로 인해 가격이 점차 안정화되고 접근성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됩니다[2][12]. 특히 2025년 신모델 출시와 함께 기존 OLED 모델들의 가격 인하 가능성도 염두에 둘 수 있습니다[2]. 삼성디스플레이의 8.6세대 IT OLED 팹 가동 등이 장기적으로 IT용 OLED 패널 가격 하락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25].
* 예산 범위 설정: 일반 사무용 FHD 모니터는 10만원대부터 시작하며[8][18], 고성능 게이밍 모니터나 전문가용 모니터는 수십만 원에서 백만 원을 훌쩍 넘는 경우도 많습니다[7][12][62]. 자신의 주 사용 목적과 필수 기능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예산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핵심 기술 및 사양 검토
* 패널 기술 선택 (OLED, Mini-LED, IPS, VA, TN):
\* \*\*OLED\*\*: 최상의 명암비, 색 재현율, 빠른 응답 속도를 제공하지만, 번인 가능성과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이 단점일 수 있습니다. 다만, 최신 OLED 패널은 번인 방지 기술이 향상되고 있으며, 밝기 또한 개선되고 있습니다\[15\]\[58\]. QD-OLED와 WOLED 간의 특성 차이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 \*\*Mini-LED\*\*: LCD 기반 기술 중 가장 뛰어난 HDR 성능과 명암비를 제공하며, OLED의 번인 우려가 없습니다. 주로 하이엔드 게이밍 및 전문가용 모니터에 사용됩니다.
\* \*\*IPS\*\*: 넓은 시야각과 우수한 색 정확도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며, 최근에는 응답 속도와 주사율이 개선되어 게이밍용으로도 많이 선택됩니다\[15\]. IPS Black 기술은 기존 IPS 패널의 명암비를 향상시킨 버전입니다\[20\].
\* \*\*VA\*\*: IPS보다 높은 명암비를 제공하여 깊은 블랙 표현에 유리하지만, 응답 속도나 시야각 측면에서 다소 불리할 수 있습니다. 커브드 모니터에 자주 사용됩니다.
\* \*\*TN\*\*: 가장 빠른 응답 속도와 초고주사율 구현에 유리하여 e스포츠용으로 특화되어 있지만, 시야각과 색 표현력은 다른 패널에 비해 떨어집니다.
* 해상도 및 크기: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한 해상도와 크기를 선택해야 합니다. 27인치 QHD(2560x1440) 또는 4K(3840x2160)가 일반적인 게이밍 및 작업 환경에서 인기가 높으며, 32인치 이상 대형 모니터는 몰입감이나 멀티태스킹 효율을 높여줍니다[19]. 27인치 4K 모니터는 약 163 PPI로 매우 선명한 화질을 제공합니다[58].
* 주사율 및 응답 속도: 게이밍 모니터의 경우 최소 144Hz 이상의 주사율과 1ms(GTG) 수준의 응답 속도가 권장됩니다[41]. 일반 사무용은 60~75Hz로도 충분하지만, 최근에는 100Hz 이상 제품도 가성비 좋게 출시되고 있습니다[18][19].
* HDR 성능: HDR 콘텐츠를 제대로 즐기기 위해서는 VESA DisplayHDR 인증(예: DisplayHDR 400, 600, 1000, True Black 400/500)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OLED는 True Black 인증, Mini-LED는 높은 숫자의 DisplayHDR 인증을 받는 경향이 있습니다.
연결성 및 부가 기능
* 포트 구성: 주로 사용하는 기기와의 호환성을 위해 필요한 포트(HDMI, DisplayPort, USB-C 등)를 확인해야 합니다. 고해상도/고주사율을 위해서는 HDMI 2.1 또는 DisplayPort 1.4/2.1 지원 여부가 중요합니다[51][58][62]. DisplayPort 2.1은 UHBR(Ultra-High Bit Rate) 등급(UHBR10, UHBR13.5, UHBR20)에 따라 지원 대역폭이 다르므로, 스펙을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58].
* USB-C 허브 및 PD 충전: 노트북 사용자에게는 USB-C 포트를 통한 디스플레이 출력, 데이터 전송, PD 충전 기능이 매우 유용합니다[9][19][21].
* 인체공학적 스탠드: 높낮이 조절, 틸트, 스위블, 피벗 기능을 지원하는 스탠드는 사용자의 편의성과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 시력 보호 기능: 플리커 프리, 로우 블루라이트 기능은 장시간 사용 시 눈의 피로를 줄여줍니다[18].
시장 전망
2025년은 모니터 기술이 한 단계 더 도약하는 해로 평가되며, 특히 OLED 기술의 성숙과 확산이 두드러질 것입니다[1][64]. 다양한 제조사에서 혁신적인 제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함에 따라 소비자들의 선택 폭은 더욱 넓어질 전망입니다. 고해상도, 고주사율, 향상된 HDR 성능은 물론, AI 기능 통합, 스마트 기능 강화 등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모니터들이 시장의 주류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최신 기술이 적용된 제품은 초기 가격이 높을 수 있으므로, 구매 시기와 예산을 신중하게 고려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장기적으로는 기술 발전과 경쟁 심화로 인해 고성능 모니터의 가격 접근성이 점차 개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1] https://bbs.ruliweb.com/news/board/1003/read/2319351
[3] https://www.rtings.com/monitor/reviews/best/monitors
[4] https://www.rtings.com/monitor/reviews/best/by-usage/gaming
[5] https://www.displayspecifications.com/en
[7] https://www.cnet.com/tech/computing/best-monitor/
[10] https://news.zum.com/articles/95487350
[11] https://www.pcmag.com/picks/the-best-computer-monitors
[12] https://www.pcgamer.com/best-gaming-monitor/
[13] https://www.samsung.com/hk_en/news/product/samsung-new-2025-monitors/
[14] https://blog.naver.com/yacomworld/223779625300
[15] https://www.reddit.com/r/Monitors/comments/1k3piax/ips_gaming_monitors_worth_it_in_2025/
[17] https://www.reddit.com/r/OLED_Gaming/comments/1jb5f7p/should_i_hold_off_oled_monitor_in_2025/?tl=ko
[18] https://newchap-ko.tistory.com/137
[19] https://www.nytimes.com/wirecutter/reviews/best-monitors/
[20] https://www.displayninja.com/new-monitors/
[21] https://www.msi.com/blog/ces-2025-monitor-round-up-oleds-mini-leds-600-hz-refresh-rates-and-more
[22] https://www.newsvalue.kr/news/articleView.html?idxno=12853
[23] https://www.pcworld.com/article/811315/best-monitors-2.html
[24] https://quasarzone.com/bbs/qn_hardware/views/1793794
[25] https://blog.naver.com/4leaf_231224/223695656878
[26] http://m.11st.co.kr/products/m/7973740395?&trTypeCd=21&trCtgrNo=1002958
[27] https://www.displayninja.com/best-oled-monitor/
[28] https://www.tomshardware.com/best-picks/best-computer-monitors
[29] https://www.clien.net/service/board/news/18846559
[30] https://arstechnica.com/civis/threads/the-8-most-interesting-pc-monitors-from-ces-2025.1505024/
[32] https://www.clien.net/service/board/news/18980603
[33] https://mudidi.tistory.com/2285
[34] https://www.tomshardware.com/monitors/best-holiday-monitor-deals-2024
[37] https://buffett-story.tistory.com/1737
[38] https://quasarzone.com/bbs/qn_hardware/views/1522040
[39] https://www.reddit.com/r/buildapc/comments/1kanogy/what_monitor_would_you_buy_in_2025/
[40] https://www.reddit.com/r/OLED_Gaming/comments/1hu7go9/oled_monitors_in_2025_current_market_status/
[41] https://kr.msi.com/Landing/best-monitor
[42] https://www.extremetech.com/deals/best-gaming-monitor-deals
[43] https://www.pcmag.com/picks/the-best-gaming-monitors
[44] https://nosearch.com/recommendation/pick/digitalit/monitor
[45] https://www.lg.com/us/ces-2025-ultragear-gaming-monitors
[46] https://www.yna.co.kr/view/AKR20250106024100003
[48] https://www.sentv.co.kr/article/view/sentv202501060067
[49] https://the-freestyle.tistory.com/32
[50] https://quasarzone.com/bbs/qn_hardware/views/1793794
[51] https://coolenjoy.net/bbs/38/6243300
[52] https://nosearch.com/recommendation/pick/digitalit/monitor
[53] https://buffett-story.tistory.com/1737
[54] https://ledsino.com/ko/blog/displayport-1-4-vs-hdmi-2-1/
[55] https://nosearch.com/recommendation/pick/digitalit/monitor/%EC%B4%88%EA%B3%A0%ED%99%94%EC%A7%88
[56] https://the-freestyle.tistory.com/32
[57] https://quasarzone.com/bbs/qn_hardware/views/1793794
[58] https://coolenjoy.net/bbs/38/6243300
[59] https://nosearch.com/recommendation/pick/digitalit/monitor
[60] https://buffett-story.tistory.com/1737
[61] https://the-freestyle.tistory.com/32
[63] https://blog.naver.com/danawa02/223773509985
[65] https://kjwwang.com/shop/pc_estimate.html?action=detail&keyword=59
[67] https://quasarzone.com/bbs/qn_hardware/views/1793794
[68] https://buffett-story.tistory.com/1737
[69] https://nosearch.com/recommendation/pick/digitalit/monitor/%EA%B2%8C%EC%9E%84%EC%9A%A9
[70] https://nosearch.com/recommendation/pick/digitalit/monitor
[71] https://kjwwang.com/shop/pc_estimate.html?action=detail&keyword=21
[72] https://www.ajd.co.kr/contents/basic-tip/guide/%EB%AA%A8%EB%8B%88%ED%84%B0
[74] https://nosearch.com/recommendation/pick/digitalit/monitor/%EC%B4%88%EA%B3%A0%ED%99%94%EC%A7%88
[75] http://brand.danawa.com/brand.php?id=jooyon&menu_seq=59719&listSeq=5718696&method=board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