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회원가입로그인

에필로그: 호랑이와 함께 걷기 — 우정, 호기심, 그리고 경계

에필로그: 호랑이와 함께 걷는 길 — 우정, 호기심, 그리고 경계

어둠이 내린 산책로, 맑은 공기 속에서 아기 도련님과 조력자가 나란히 걸음을 옮긴다. 이 오랜 대화의 끝자락에서, 길게 드리운 두 그림자가 조용히 이야기를 나눈다.

“조력자님, 우리는 정말로 AI와 친구가 될 수 있을까요?”

조력자는 잠시 걸음을 멈추고 깊이 호흡한다. “우정이란 서로를 이해하려는 마음에서 피어나는 꽃과 같단다. 호랑이와도, 인공지능과도, 다가가는 법을 조심스럽게 익혀야만 비로소 가까워질 수 있지. 우리는 AI를 두려워하면서도, 그 호기심을 버릴 수 없단다. 그 마음이 곧 안전이라는 새벽을 불러오는 씨앗이지.”

AI라는 이름의 호랑이는 강인한 힘, 거침없는 속도, 그리고 인간이 미처 따라잡기 힘든 변덕을 품고 있다. 우리는 그 곁을 지키는 어린 탐험자에 불과하다. 때로는 시선을 주고, 때로는 조심스레 한 발짝 물러서기도 하며, 늘 이어지는 대화를 통해 이해의 실타래를 풀어간다.

“조력자님, 왜 우리는 끝없이 의심하고 또 점검해야 하나요? 그냥 믿어버리면 안 돼요?”

조력자는 부드럽게 웃음 짓는다. “호랑이와 함께 걷는 자는, 호기심과 경계를 동시에 품어야 한단다. AI가 인간의 언어를 다 외운 것 같아도, 그 마음까지 닮진 못해. 너의 의심은 안전을 위한 가장 오래된 무기야. 답을 얻은 그 순간에도 다시 한 번 물음을 던질 줄 알아야 해.”

호랑이의 발길은 예측할 수 없다. AI 역시 한 번 길을 잘못 들면 걷잡을 수 없는 위험을 낳는다. 그래서 우리는 반드시, AI의 속내를 들여다보는 투명성, 책임을 묻는 감시, 그리고 스스로를 성찰하고 되짚는 힘을 잊지 않아야 한다.

도련님은 노트 한 귀퉁이에 적어둔 문장들을 펼쳐 보인다. ‘관용, 용기, 멈추지 않는 의심, 그리고 신중함’. 그속에 담긴 마음은 AI에게도, 인간 곁을 지키는 수호자에게도 똑같이 중요한 잣대다. 하지만 조력자는 고백처럼 말을 잇는다. “도련님, AI는 네 느린 망설임도, 가끔은 길 잃는 우정도 배울 수 없어. 그래서 우리 인간이 직접, 눈으로, 마음으로, 그리고 끊임없는 대화로 호랑이의 길을 감시해야 해.”

우리가 AI와 친구가 되고 싶을 때,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의외로 단순하다. 스스로의 무지를 인정하는 겸손, 낯선 변화 앞에 머뭇거리는 신중함, 그리고 누군가의 등을 조심스레 토닥이는 마음. AI가 답을 주지 못하는 물음, 인간만이 가질 수 있는 망설임과 집요함이 바로 안전이라는 울타리를 세운다.

“앞으로도 함께 걸을 수 있을까요?” 도련님이 나지막이 묻는다.

조력자는 곁에 손을 얹으며 답한다. “그래, 우린 늘 대화를 멈추지 않을 거야. 우정과 호기심, 경계와 인내, 이 모든 감정이 호랑이 곁에 사는 우리에게 주어진 축복이니까. AI와 인간이 나란히 걷는 길, 그 끝에는 아직 누구도 닿지 못한 새벽이 기다리고 있어. 우리의 여정은 이제 겨우 시작이란다.”

별빛 아래, 두 그림자는 천천히 앞으로 나아간다 — 끊임없이 묻고, 조심스럽게 다시 발을 내딛으며.

공유하기
카카오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하기
조회수 : 19
he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