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6월 한국 장마 예측 및 강수량 전망: 지역별 장마 시작일, 기간, 폭우 대비 가이드
- 2025년 한국 장마는 평년과 비슷하거나 다소 빨리 시작되며, 강수량과 기온이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됨
- 제주, 남부, 중부지방 순으로 장마가 시작되고, 특히 국지성 집중호우 및 무더위가 예상되어 사전 대비가 필요함
- 주변 아시아 몬순 지역(일본, 인도 등) 역시 강수량이 많을 것으로 예측되며, 최신 기상 정보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권고됨
2025년 6월 한국의 장마는 평년과 비슷하거나 다소 이른 시기에 시작하여, 전반적으로 강수량이 평년보다 많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특히 제주도를 시작으로 남부지방, 중부지방 순으로 장마가 확대될 전망이며, 지역에 따라 장마 기간과 강수량에 차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온 역시 평년보다 높을 확률이 있어, 덥고 습한 장마철이 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예측은 주로 기상청의 과거 기후통계분석 자료(장마평년값)에 기반하고 있으며, 보다 상세한 공식 예보는 2025년 5월 23일경 기상청을 통해 발표될 예정입니다. 본 보고서는 현재까지 발표된 자료들을 종합하여 2025년 6월 장마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2025년 한국 장마 전망 상세 분석
예상 장마 기간 및 지역별 편차
2025년 한국의 장마는 6월 중순부터 시작되어 7월 하순까지 약 31일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1995년부터 2025년까지의 장마평년값을 토대로 한 예측에 따른 것으로, 일부 자료에서는 예년보다 다소 빠르게 장마가 시작될 가능성도 시사하고 있습니다.
지역별로 장마 시작 시점에는 차이가 나타날 것으로 보입니다. 제주지방이 가장 먼저 장마권에 들어설 것으로 예상되며, 이후 남부지방과 중부지방으로 순차적으로 확대될 것입니다. 구체적으로 제주지방은 6월 19일경 시작하여 7월 20일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측되며, 이는 약 32.4일간의 장마 기간을 의미합니다. 일부 예측에서는 제주 지역의 장마 시작일을 6월 15일경으로 보기도 합니다.
남부지방(전라, 경상 등)의 경우, 6월 23일경 장마가 시작되어 7월 24일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이는 약 31.4일의 기간입니다. 다른 분석에서는 남부지방의 장마 시작 시기를 6월 20일에서 25일 사이, 종료 시기를 7월 20일에서 25일 사이로 예측하기도 합니다.
중부지방(서울 및 수도권, 강원, 충청 등)은 6월 25일경 장마가 시작되어 7월 26일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장마 기간은 약 31.5일로 전망됩니다. 일부 자료에서는 중부지방의 장마 시작을 6월 25일에서 30일 사이, 종료를 7월 25일에서 30일 사이로 보거나, 수도권의 경우 6월 20일경 시작될 가능성을 언급하기도 합니다.
2025 한국 장마 기간 예측
강수량 및 기온 전망
2025년 장마 기간 동안의 강수량은 평년 대비 약 1.5배가량 늘어날 것으로 추정됩니다. 기상청이 2025년 2월 발표한 '2025년 여름 기후전망'에 따르면, 여름철 강수량은 평년(622.7790.5mm)과 비슷하거나 많을 확률이 각각 40%로 예측되었으며, 최근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국지성 집중호우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되었습니다. 2024년 장마철 강수량이 평년 대비 32.5% 증가한 474.8mm를 기록했던 점을 감안할 때, 2025년에는 이보다 더 많은 300650mm 범위의 강수량이 예상되는 상황입니다.
지역별 예상 총 강수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주도: 750~850mm (평년 대비 130%)
남부 지방: 550~650mm (평년 대비 115%)
중부 지방: 450~550mm (평년 대비 120%)
특히 중부지방은 장마 기간 중 가장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으로, 지난해에도 중부지방의 장마철 강수량은 506.3mm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으며, 하루 80mm 이상의 폭우가 자주 기록된 바 있어 올해도 유사한 패턴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025년 6월 한국 장마 기간 강수량 전망
기온의 경우, 2025년 여름철 기온은 평년(23.4~24.0℃)보다 높을 확률이 60%로 예측되어, 무더운 장마철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요 영향 요인: 엘니뇨-남방진동(ENSO) 및 기타 기상학적 조건
장마는 일반적으로 6월 하순부터 7월 말 사이, 북태평양 고기압과 오호츠크해 고기압(또는 시베리아 기단)이 힘의 균형을 이루면서 한반도 부근에 정체전선이 형성되어 발생합니다. 이 정체전선을 따라 비가 내리는 시기를 장마라고 부릅니다.
2025년 여름에는 엘니뇨-남방진동(ENSO) 현상이 중립 상태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아, 장마 패턴에 큰 변동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엘니뇨 현상이 발생하면 열대 동태평양의 해수 온도가 상승하면서 대류 활동이 활발해져 강수량이 증가하고 장마 기간이 길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반대로 라니냐가 발생하면 강수량이 감소하고 장마 시작 시기가 빨라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현재 열대 태평양 해역은 중립적인 엘니뇨-남방진동(ENSO) 상태이며, 이러한 조건은 남서 몬순 시즌 동안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북반구 겨울과 봄철 눈 덮임 면적은 이후 여름철 남아시아 몬순 강수량과 일반적으로 반비례 관계를 가지는데, 2025년 1월과 3월의 눈 덮임 면적은 지난 59년 동안 각각 4번째와 6번째로 낮은 기록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조건들이 아시아 지역의 몬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지역별 6월 장마 예보 상세
제주 지방
제주지방은 전국에서 가장 먼저 장마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5년 제주지방의 장마는 6월 19일경 시작하여 7월 20일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이며, 이는 약 32.4일의 기간입니다. 일부 예측에서는 6월 15일 시작을 언급하기도 합니다. 6월 하순부터 본격적인 장마의 영향권에 들 것으로 보이며, 장마 기간 동안 강수일수는 평균 17.5일로 예상됩니다. 제주도는 지리적 특성상 많은 강수량이 예상되며, 예상 총 강수량은 750~850mm로 평년 대비 130% 수준에 이를 수 있습니다. 6월 말부터 장마가 시작될 가능성이 높아, 여행 계획 시 참고해야 합니다.
폭우가 내리는 모습
남부 지방
전라 및 경상 지역을 포함하는 남부지방의 장마는 제주지방보다 다소 늦게 시작될 전망입니다. 남부지방의 장마는 6월 23일경 시작하여 7월 24일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측되며, 장마 기간은 약 31.4일, 강수일수는 17일로 예상됩니다. 다른 분석에 따르면, 6월 20일에서 6월 25일 사이에 장마가 시작하여 7월 20일에서 7월 25일 사이에 종료될 가능성이 큽니다. 남부지방은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국지성 집중호우가 잦을 수 있으며, 예상 총 강수량은 550~650mm로 평년 대비 115% 수준으로 전망됩니다. 6월 말부터 장마가 예상되므로, 이 시기 야외 활동 계획에 유의해야 합니다.
중부 지방
서울, 인천, 경기, 강원 영서, 충청 지역을 포함하는 중부지방의 장마는 6월 25일경 시작하여 7월 26일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장마 기간은 약 31.5일, 강수일수는 17.7일로 예상됩니다. 일부 예측에서는 6월 25일에서 6월 30일 사이에 시작하여 7월 25일에서 7월 30일 사이에 종료될 것으로 보기도 하며, 수도권은 6월 20일경 시작될 가능성도 제기되었습니다. 중부지방은 장마 기간 중 가장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되며, 하루 80mm 이상의 폭우가 쏟아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예상 총 강수량은 450~550mm로 평년 대비 120% 수준입니다. 특히 7월 초에 집중호우 발생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도 있습니다.
서울에 폭우가 내리는 모습
2025년 아시아 지역 몬순 동향
한반도의 장마는 광범위한 아시아 몬순 시스템의 일부로, 주변 지역의 몬순 동향을 살펴보는 것은 중요합니다.
동아시아: 일본의 장마 (East Asia: Japan's Tsuyu)
일본의 장마(츠유, 梅雨)는 지역별로 시차가 있으며, 2025년의 경우 평년과 비슷하거나 약간 늦은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오키나와 및 아마미 지역: 5월 20일경 늦은 장마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규슈 남부 ~ 도호쿠 북부: 평년 수준의 시작 시기가 예측됩니다. 후쿠오카 등 규슈 북부는 6월 초부터 7월 중순까지 장마가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도카이 지역 (나고야 등): 6월 7일 전후로 장마에 들어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간토 지역 (도쿄, 요코하마 등): 6월 7~8일 사이에 장마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긴키 지역 (오사카, 교토 등): 6월 8일경부터 장마가 시작되어 약 7월 18일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홋카이도: 예년과 마찬가지로 장마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일본 장마 관련 이미지
남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몬순 (South and Southeast Asian Monsoon)
남아시아 지역에서는 2025년 남서 몬순 시즌(6월~9월) 동안 대부분 지역에서 평년보다 많은 강수량이 예상됩니다. 기온 또한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보입니다.
인도: 인도 기상청(IMD)은 남서 몬순이 케랄라 해안에 평년보다 이른 5월 27일경 도착할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오차 범위 ±4일). 인도 전체의 남서 몬순 계절 강수량은 평년보다 많을 것(장기 평균의 104% 초과)으로 예상됩니다. 벵갈루루와 첸나이는 6월 1일에서 5일 사이, 델리는 6월 25일에서 30일 사이에 몬순 비가 예상됩니다. 텔랑가나 남부 지역은 6월 3일에서 8일 사이에 몬순이 시작될 수 있습니다.
싱가포르: 5월 말 또는 6월 초부터 남서 몬순 조건이 점차 형성되어 남동쪽 또는 남서쪽에서 바람이 불어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북미 지역에서도 북미 몬순이 6월 말 내륙 서부에서 활성화되어 평년보다 많은 강우량을 기록할 것으로 예보되었습니다. 애리조나의 경우 몬순 시즌은 공식적으로 6월 15일에 시작되며, 건조한 봄 이후 폭풍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습니다.
장마 대비 및 권고 사항
2025년 장마는 평년보다 많은 비와 국지성 집중호우 가능성이 예고된 만큼, 철저한 사전 대비가 중요합니다.
주택 및 시설 점검: 주택 주변 배수구 및 하수구를 미리 점검하고, 막힌 곳은 청소하여 원활한 배수를 확보해야 합니다. 특히 저지대나 상습 침수 지역의 경우 더욱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며, 지하 주차장의 물 유입 방지 대책도 강구해야 합니다. 창문 및 발코니의 방수 상태를 확인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비상용품 준비: 비상 식량과 약품을 미리 준비해두고, 정전 대비용 손전등, 양초 등도 구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산, 우비, 장화 등은 필수품이며, 습기 제거를 위한 제습기, 신문지, 숯 등을 준비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교통 안전: 장마철에는 시야 확보가 어렵고 도로가 미끄러우므로 차량 운행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자동차 와이퍼 및 배터리 상태를 미리 점검하고, 타이어 마모 상태도 확인해야 합니다. 강우 시에는 평소보다 감속 운행하고 안전거리를 충분히 확보해야 합니다.
농작물 관리: 농촌 지역에서는 농작물 침수 피해 예방을 위해 배수로 정비 등 사전 조치가 필요합니다.
최신 기상 정보 확인: 장마 예보는 예측 단계이며, 실제 날씨는 기상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기상청에서 발표하는 최신 기상 특보 및 예보를 수시로 확인하고, 특히 국지성 호우 관련 정보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기상청의 여름철 상세 3개월 기상 전망은 5월 23일경 공식 발표될 예정이므로, 이를 통해 최종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장마철 대비
기상청 관계자는 "장마평년값은 최근 수십 년간의 추이 정도로 참고해야 하며, 기상 상황은 유동적이므로 과거 데이터를 참고 자료로 활용하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습니다. 따라서 예보를 맹신하기보다는 지속적인 관심과 대비가 필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