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제도 완전 정리: 신청방법, 지원대상, 혜택 총정리
- 2024년부터 소득 기준 없이 19가지 고위험 임신 질환으로 입원한 임산부에게 의료비의 90%를 최대 300만원까지 지원합니다.
- 지원 신청은 분만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주소지 관할 보건소에서 관련 서류와 함께 접수해야 합니다.
- 비급여 본인부담금을 지원받아 산모와 아기가 건강하게 치료 및 출산할 수 있도록 돕는 제도입니다.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건강한 출산을 위한 든든한 지원 (2024년)
서론:
임신과 출산 과정에서 조기진통, 중증 임신중독증 등 고위험 요인이 발생하면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위해 입원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때 발생하는 의료비 부담을 덜어드리기 위해 정부에서는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지원 대상은 누구인가요?
19가지 고위험 임신 질환*으로 진단받고 입원 치료를 받은 임산부
가구 소득 기준 제한 없음 (2024년부터 소득 기준 폐지)
신청 기간: 분만일로부터 6개월 이내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나요?
고위험 임신 질환 입원 치료비 중 비급여 본인부담금(상급병실료 차액, 환자 특식 제외)의 90%를 지원합니다.
지원 한도: 1인당 최대 300만 원
신청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신청 장소: 임산부의 주민등록상 주소지 관할 보건소
제출 서류:
지원 신청서
진단서 1부 (질병명 및 질병코드 포함)
입퇴원 확인서, 진료비 영수증, 진료비 세부내역서 각 1부
주민등록등본, 통장 사본 등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관할(주소지) 보건소
보건복지상담센터: ☎ 129
마무리:
고위험 임신은 산모와 아기의 건강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의료비 걱정 없이 필요한 치료를 받고 건강하게 출산할 수 있도록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제도를 적극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024년부터 소득 기준이 폐지되어 더 많은 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고위험임산부 #의료비지원 #임신중독증 #조기진통 #전치태반 #임신성당뇨 #입원비지원 #보건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