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검색
공개 노트 검색
회원가입로그인

영화 "Roustabout" 속 아이비 리그 풍자곡 "Poison Ivy League" 분석

Poison Ivy League

1964년 영화 *"Roustabout"*에서 부른 곡이다. 이 곡은 전통적인 명문대 문화와 특권층 자녀들에 대한 풍자를 담고 있다. 작곡은 마이크 스토러 (Mike Stoller)와 제리 리버 (Jerry Leiber)가 맡았으며, 그들은 엘비스의 여러 히트곡을 만든 유명한 작곡가 듀오였다.

이 노래는 Ivy League(아이비 리그) 대학에 다니는 부유한 학생들을 조롱하는 내용이다. 가사 속의 "ra-ra boys"는 부유한 가정에서 자란 명문대 학생들을 의미하며, 그들의 특권적인 삶과 게으른 태도를 풍자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이들은 스스로 공부하기보다는 시험 대리 응시자를 고용하고, 아버지의 후광 덕분에 성공을 보장받는 인물들로 그려진다.

영화 *"Roustabout"*에서 엘비스는 자유로운 영혼을 지닌 오토바이 곡예사 찰리 로저스 (Charlie Rogers) 역할을 맡았으며, 이런 부유층의 특권적인 삶과 대조되는 캐릭터로 등장한다. 노래의 재치 있는 가사와 신나는 멜로디 덕분에, 이 곡은 영화 속에서 엘비스의 반항적인 성격을 강조하는 장면에서 사용되었다.


*"Poison Ivy League"*는 엘비스 프레슬리의 곡 중에서도 사회 풍자를 담은 희귀한 곡으로, 부유층 명문대 학생들에 대한 조롱과 비판을 담고 있다. 엘비스는 원래 로큰롤의 반항적인 이미지로 시작했지만, 이 곡에서는 조금 더 유머러스한 시선으로 상류층을 풍자하고 있다.

이 노래는 "Roustabout" 영화 속 장면에서 사용되었으며, 당시 미국 사회에서 계급 차이와 명문대 특권층에 대한 대중의 불만을 반영하는 곡이었다. 오늘날에도 여전히 공감할 수 있는 메시지를 담고 있어 흥미로운 곡이다.

Hail to thee old ivy league아이비 리그여, 만세!
Poison ivy league하지만 너희는 독성 덩굴 같은 존재야
The ra-ra boys are sitting round the table tonight부유한 명문대생들이 오늘 밤 모여 앉아 있어
The ra-ra boys have lots of plans in view그들은 여러 가지 계획을 세우고 있지
They're gonna have panty raids여자 기숙사 습격을 할 거고
And make their own lemonade직접 레모네이드를 만들겠지
They'll live it up just like the big boys do어른들처럼 신나게 놀아보겠다는 거야
Poison ivy league, boys in that ivy league독성 덩굴 같은 아이비 리그 녀석들
Give me an itch, those sons of the rich부자집 자식들, 그들만 보면 가려워
That poison ivy league저 독이 된 아이비 리그 녀석들
The ra-ra boys will go to bed so early tonight명문대생들은 오늘 밤 일찍 잠자리에 들 거야
Before exams they need a lot of rest시험 전에 푹 쉬어야 하니까
They gotta make good for dad아버지를 위해 성적을 잘 받아야 하고
They gotta make good so bad어떻게든 좋은 성적을 받아야 해
They'll even pay someone to take that test시험을 대신 봐줄 사람을 고용하기까지 하겠지
Poison ivy league, boys in that ivy league독이 된 아이비 리그 학생들
How can they flunk, they're so full of bunk어떻게 낙제하겠어? 거짓말로 가득한데
That poison ivy league저 독성 아이비 리그 녀석들
The ra-ra boys are being groomed for business some day그들은 언젠가 사업을 물려받을 준비를 하고 있어
For better things to college they were sent더 나은 미래를 위해 대학에 보냈다고 하지만
And you can bet they'll be the head of the company결국 회사의 대표가 될 게 뻔해
As long as dear old daddy's president아버지가 사장으로 있는 한 말이지
Poison ivy league, boys in that ivy league독성 덩굴 같은 아이비 리그 녀석들
So loaded with cash, they give me a rash돈이 너무 많아서 보기만 해도 두드러기가 나
That poison ivy league저 독성 아이비 리그
So let it be told그러니 확실히 말할게
I won't touch them with a ten-foot pole나는 저들과 거리를 둘 거야
That poison Ivy league저 독성 아이비 리그 녀석들

ㅇ가사 이야기

한 부유한 대학의 학생들이 오늘 밤도 여느 때처럼 모여 앉아 있다. 그들은 "라-라 보이즈(Ra-Ra Boys)", 즉 부모 덕에 대학에 다니는 부잣집 도련님들이다. 이들은 학교에서 공부하는 대신, 여자 기숙사를 습격하는 장난을 계획하고, 직접 술을 만들어 마시며, 어른들처럼 신나게 놀 궁리를 한다.

하지만 그들의 진짜 고민은 따로 있다. 시험을 앞두고 있는데, 아버지의 기대에 부응해야 하므로 어떻게든 성적을 잘 받아야 한다. 그 해결책은? 시험 대리 응시자를 고용하는 것! 그들은 직접 공부하지 않고 돈으로 성적을 살 생각이다.

결국, 이 부자 학생들은 미래가 보장되어 있다. 그들은 졸업 후 곧바로 사업을 물려받고, 아버지의 후광 덕분에 회사의 CEO가 될 것이다. 그들의 삶은 이미 정해져 있으며, 노력보다는 가문과 돈이 모든 것을 해결해준다.

노래의 화자는 이런 특권층 자녀들을 혐오하며, "저들과는 거리를 두겠다"고 선언한다. "그들은 독이 된 덩굴처럼, 가까이할수록 위험한 존재"라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ㅇ 1964년 패션

영화 "Roustabout" 속 아이비 리그 풍자곡 "Poison Ivy League" 분석 image 1

공유하기
카카오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하기
조회수 : 20
heart
T
페이지 기반 대답
AI 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