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검색
공개 노트 검색
회원가입로그인

"D- 혈액형: 희귀한 Rh 표현형의 중요성과 임상적 의미"

요약

-D- 혈액형은 Rh 시스템에서 매우 희귀하며 D 항원만 발현되고 다른 C, c, E, e 항원은 없는 사례를 말합니다. 강력한 anti-Rh17 항체를 형성해 수혈과 임신 시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Rh null 증후군과는 달리 만성용혈성빈혈이 없고 적혈구 구조적 이상도 없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D- 혈액형: 희귀하지만 중요한 Rh 표현형에 대한 심층 탐구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매우 희귀하지만 수혈의학 및 임상적으로 큰 의미를 지니는 -D- 혈액형에 대해 극도로 깊이 있고 상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혈액형이라고 하면 흔히 ABO식 혈액형과 RhD 양성/음성을 떠올리시겠지만, 혈액형의 세계는 훨씬 더 복잡하고 다양합니다. 그중에서도 -D- 표현형은 Rh 혈액형 시스템 내에서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는데요, 이는 Rh 항원의 특이한 조합으로 인해 발생하며 수혈이나 임신 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먼저 개론적으로 -D- 혈액형이 무엇인지 핵심적인 내용을 간략하게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우리 적혈구 표면에는 수많은 종류의 항원(Antigen)이라는 단백질 또는 당사슬 구조물이 존재합니다. 이 항원의 종류에 따라 혈액형이 결정되죠. Rh 혈액형 시스템은 ABO 다음으로 중요한 시스템으로, 여러 항원들로 구성되는데 그중 D, C, c, E, e 다섯 가지가 가장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이 다섯 가지 항원 중 일부 조합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RhD 양성인 사람은 D 항원을 가지고 있고, 추가로 C, c, E, e 항원의 조합을 가집니다 (예: DCe/DCe, Dce/dce 등). 그런데 -D- 표현형은 바로 이 Rh 시스템에서 D 항원만 강력하게 발현되고, 나머지 주요 항원인 C, c, E, e 항원이 모두 없는 매우 희귀한 경우를 말합니다. 유전적으로는 RHCE 유전자의 기능 상실 또는 결실과 관련이 깊습니다. 이 혈액형을 가진 사람은 다른 사람의 혈액(C, c, E, e 항원 중 하나라도 가진)에 노출되면 강력한 항체, 특히 anti-Rh17 (또는 anti-Hro)이라는 항체를 생성할 수 있어 수혈 시 적합한 혈액을 찾기가 극도로 어렵고, 임신 시 태아에게 심각한 용혈성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Rh 혈액형 시스템의 기초부터 시작하여 -D- 표현형의 정의, 유전적 배경, 임상적 중요성(항체 형성, 수혈 문제, 임신 관련 문제), 그리고 유사하지만 다른 Rh null 증후군과의 차이점까지 아주 상세하고 구체적으로 파헤쳐 보겠습니다. 자, 그럼 이제부터 -D- 혈액형의 세계로 깊이 들어가 볼까요?

Rh 혈액형 시스템의 기초: 항원과 항체의 이해

-D- 혈액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Rh 혈액형 시스템의 기본 개념, 특히 항원과 항체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혈액형 시스템은 적혈구 표면에 존재하는 특정 분자 구조, 즉 항원(Antigen)의 유무와 종류에 따라 혈액을 분류하는 체계입니다. 항원이란 우리 몸의 면역 체계가 '자기(self)'가 아닌 '비자기(non-self)'로 인식하여 면역 반응(항체 생성 등)을 유발할 수 있는 모든 물질을 의미합니다. 쉽게 비유하자면, 적혈구 표면에 붙어있는 다양한 종류의 '이름표'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각 개인의 적혈구는 고유한 이름표 조합을 가지고 있는 셈이죠.

우리 몸의 면역 시스템은 외부에서 침입한 세균이나 바이러스뿐만 아니라, 수혈 등을 통해 들어온 다른 사람의 혈액 세포 표면의 '낯선 이름표'(항원)에 대해서도 방어 반응을 보입니다. 이 방어 반응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항체(Antibody)입니다. 항체는 특정 항원에만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그 항원을 가진 세포를 파괴하거나 제거하도록 유도하는 단백질 분자입니다. 마치 특정 열쇠(항체)가 특정 자물쇠(항원)에만 맞는 것처럼, 항체는 자신과 결합할 수 있는 특정 항원에만 반응합니다.

예를 들어, A형 혈액형을 가진 사람은 적혈구 표면에 A 항원을 가지고 있으며, 혈장에는 B 항원에 반응하는 anti-B 항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만약 B형 혈액을 수혈받으면, 환자의 anti-B 항체가 수혈된 B형 적혈구의 B 항원에 결합하여 적혈구를 파괴하는 용혈성 수혈 부작용(Hemolytic Transfusion Reaction)을 일으키게 됩니다. 이것이 혈액형 부적합 수혈이 위험한 이유입니다.

Rh 혈액형 시스템은 1939년 레빈(Levine)과 스텟슨(Stetson)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고, 이후 란트슈타이너(Landsteiner)와 위너(Wiener)가 붉은털원숭이(Rhesus monkey)의 적혈구를 토끼나 기니피그에 주사하여 얻은 항체를 이용하여 연구하면서 'Rh'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1].

재까지 50가지 이상의 Rh 항원이 발견되었지만, 임상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D, C, c, E, e 다섯 가지 항원입니다. 이 항원들은 RhD 단백질RhCE 단백질이라는 두 개의 매우 유사한 단백질에 의해 결정되며, 이 단백질들은 적혈구 막을 여러 번 관통하는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2].

  • D 항원: Rh 항원 중 면역원성(Immunogenicity), 즉 항체 생성을 유발하는 능력이 가장 강력합니다. D 항원의 유무에 따라 RhD 양성(Rh positive, D+ )RhD 음성(Rh negative, D-)으로 나뉩니다. 전 세계 인구의 약 85%가 RhD 양성이며, 특히 동양인에서는 99% 이상이 RhD 양성입니다. D 항원은 RhD 단백질에 의해 발현됩니다.

  • C/c 항원과 E/e 항원: 이들은 대립유전자(Allele) 관계에 있는 항원 쌍입니다. 즉, 한 사람은 C 또는 c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가질 수 있고 (C+, c+ / C+, c- / C-, c+), 마찬가지로 E 또는 e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가질 수 있습니다 (E+, e+ / E+, e- / E-, e+). 이 네 가지 항원은 RhCE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차이에 의해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RhCE 단백질의 특정 위치(103번) 아미노산이 세린(Serine)이면 C 항원을, 프롤린(Proline)이면 c 항원을 발현하고, 다른 위치(226번) 아미노산이 프롤린이면 E 항원을, 알라닌(Alanine)이면 e 항원을 발현하는 식입니다 [3].

이 다섯 가지 항원의 조합으로 매우 다양한 Rh 표현형(Phenotype)이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은 D+, C+, c-, E-, e+ 일 수 있고 (가장 흔한 백인 표현형 중 하나, 유전자형 추정: DCe/DCe 또는 DCe/dce 등), 다른 사람은 D+, C+, c+, E+, e+ 일 수도 있습니다 (유전자형 추정: DCE/Dce 등). 이러한 표현형은 특정 유전자 조합, 즉 유전자형(Genotype)에 의해 결정됩니다. Rh 시스템의 유전은 매우 복잡하지만, 간단히 말해 1번 염색체 단완(1p36.11)에 매우 가깝게 위치한 두 개의 유전자, RHDRHCE에 의해 주로 결정됩니다 [4].

RHD 유전자는 D 항원(RhD 단백질)을 만들고, RHCE 유전자는 C/c와 E/e 항원을 동시에 운반하는 RhCE 단백질을 만듭니다. RhD 음성 표현형은 대부분 RHD 유전자가 아예 삭제(deletion)되어 없거나, 기능하지 못하는 돌연변이를 가진 경우에 나타납니다.

결론적으로, Rh 혈액형 시스템은 D, C, c, E, e 항원의 유무 및 조합에 따라 결정되며, 이는 RHDRHCE 유전자에 의해 조절됩니다. 이 기본 지식은 이제 우리가 살펴볼 -D- 표현형이라는 특수한 경우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D- 표현형의 정의와 유전적 배경

이제 본격적으로 -D- 표현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D- (디 대시 대시 또는 디 마이너스 마이너스 라고 읽기도 합니다) 표현형은 Rh 혈액형 시스템에서 매우 희귀하게 나타나는 표현형으로, 앞서 설명한 5가지 주요 Rh 항원 중 오직 D 항원만 발현되고 나머지 C, c, E, e 항원이 모두 발현되지 않는 경우를 말합니다. 즉, 적혈구 표면에 D 항원은 존재하지만, C, c, E, e 항원은 완전히 없는 상태입니다. 이는 일반적인 RhD 양성 (D 항원과 함께 C, c, E, e 항원 중 일부 조합을 가짐)이나 RhD 음성 (D 항원이 없음)과는 확연히 다른, 매우 특이한 항원 구성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이유로 D-- 와 같이 표기하기도 합니다.

아니, D 항원만 있고 나머지가 없다니, 그게 어떻게 가능한 거야? C/c, E/e 는 쌍으로 있다면서? 하나는 있어야 하는 거 아니야?

맞습니다. 일반적으로 RHCE 유전자는 C 또는 c 중 하나, 그리고 E 또는 e 중 하나를 발현하는 단백질을 만듭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C/c/E/e 항원 중 적어도 두 종류(예: c와 e)는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D- 표현형은 바로 이 RHCE 유전자에 문제가 생겨 C, c, E, e 항원을 만드는 RhCE 단백질 자체가 아예 만들어지지 않거나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에 발생*니다. 반면, RHD 유전자는 정상적으로 기능하여 D 항원(RhD 단백질)은 만들어내는 것이죠.

유전적으로 보면, -D- 표현형은 대개 RHCE 유전자의 전체 또는 일부가 삭제(deletion)되거나, 기능을 완전히 상실시키는 심각한 돌연변이(mutation)를 동형접합(homozygous)으로 가지거나, 또는 기능 상실을 일으키는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돌연변이를 복합이형접합(compound heterozygous)으로 가질 때 나타납니다*[5]. RHDRHCE 유전자는 염색체 상에 매우 가깝게 붙어있고 구조적으로도 유사하기 때문에, 유전자 재조합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여 RHCE 유전자의 일부 또는 전체가 포함된 큰 규모의 삭제가 일어나기 쉽습니다.

예를 들어, RHD 유전자는 정상적으로 존재하지만 RHCE 유전자 전체가 삭제된 염색체를 양쪽 부모로부터 모두 물려받으면 -D- 표현형이 됩니다. 또는 RHD 유전자의 일부와 RHCE 유전자의 일부가 융합된 형태의 비정상적인 유전자 (RHD-CE-D 하이브리드 유전자 등)가 형성되면서 정상적인 RhCE 단백질 발현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도 보고되었습니다 [6].

흥미로운 점은, -D- 표현형을 가진 사람들의 적혈구는 D 항원을 종종 '과도하게(exalted)' 발현한다는 것입니다. 즉, 일반적인 RhD 양성인 사람들의 적혈구보다 표면의 D 항원 수가 더 많을 수 있습니다 [7]. 이는 아마도 RhCE 단백질이 없기 때문에 RhD 단백질이 적혈구 막에 더 많이 삽입될 공간이 생기거나, 또는 RhD 단백질의 구조나 위치가 미묘하게 달라져 D 항원의 반응성이 증가하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됩니다. 하지만 모든 -D- 개인이 D 항원을 과도하게 발현하는 것은 아닙니다.

-D- 표현형은 전 세계적으로 매우 드물며, 인종에 따라 빈도 차이가 있습니다. 특정 인구 집단, 예를 들어 핀란드나 일본의 특정 지역사회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빈도로 보고된 바 있으나, 전반적으로는 극히 희귀한 혈액형으로 간주됩니다 [8]. 이러한 희귀성 때문에 -D- 혈액형을 가진 사람들은 수혈이나 임신과 관련하여 특별한 주의를 필요로 합니다.

-D- 혈액형의 임상적 중요성: 항체 형성, 수혈, 그리고 임신

-D- 표현형이 임상적으로 중요한 주된 이유는 이 혈액형을 가진 사람들이 C, c, E, e 항원에 노출될 경우 강력한 항체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수혈이나 임신 상황에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1. Anti-Rh17 (Anti-Hro) 항체의 형성:

-D- 표현형을 가진 사람은 자신의 적혈구에 D 항원만 있고 C, c, E, e 항원이 전혀 없습니다. 따라서 이들의 면역 체계는 C, c, E, e 항원을 '비자기(non-self)'로 인식합니다. 만약 수혈이나 임신을 통해 C, c, E, e 항원 중 어느 하나라도 가지고 있는 다른 사람의 적혈구에 노출되면, 이 항원들에 대해 반응하는 항체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특히, -D- 표현형 개인이 생성하는 항체는 종종 개별적인 C, c, E, e 항원에 각각 반응하기보다는, 이 네 가지 항원이 정상적으로 발현될 때 함께 존재하는 어떤 공통적인 구조 또는 이들과 관련된 고빈도 항원(high-frequency antigen)에 반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항체를 anti-Rh17 또는 anti-Hro라고 부릅니다 [9]. Rh17 항원은 거의 모든 사람(Rh null 제외)의 적혈구에 존재하는 고빈도 항원이므로, anti-Rh17은 D 항원을 제외한 거의 모든 Rh 양성 적혈구와 반응할 수 있습니다.

잠깐, anti-Rh17? 그게 뭐지? C, c, E, e 항원이 없으면 anti-C, anti-c, anti-E, anti-e 항체가 생기는 거 아니었어?

물론 개별적인 anti-C, anti-c, anti-E, anti-e가 생성될 수도 있지만, -D- 개인에게서는 종종 이들 모두와 반응하거나, 또는 이들 항원이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RhCE 단백질 자체의 특정 부위에 반응하는 것으로 보이는 광범위한 반응성을 가진 항체가 발견됩니다. 이것이 바로 anti-Rh17입니다.

anti-Rh17은 면역글로불린 G (IgG) 형태인 경우가 많으며, 이는 태반을 통과할 수 있고, 체온(37°C)에서 강력한 용혈 반응을 일으킬 수 있어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합니다. 즉, 이 항체가 일단 생성되면 이후 C, c, E, 또는 e 항원을 가진 혈액 수혈 시 즉각적이고 심각한 용혈성 수혈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며, 임신 중에는 태아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2. 수혈의 어려움:

-D- 표현형을 가진 환자가 수혈을 필요로 할 때, 적합한 혈액을 찾는 것은 극도로 어렵습니다. 만약 환자가 이미 anti-Rh17 항체를 가지고 있다면, 이 환자에게는 D 항원은 양성이면서 동시에 C, c, E, e 항원이 모두 없는 혈액, 즉 다른 -D- 표현형 기증자의 혈액만이 안전하게 수혈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D- 표현형 자체가 매우 희귀하기 때문에 이러한 혈액을 찾는 것은 '사막에서 바늘 찾기'만큼이나 어렵습니다.

일반적인 RhD 양성 혈액은 거의 대부분 C, c, E, e 항원 중 적어도 일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anti-Rh17 항체와 반응하여 심각한 용혈을 일으킵니다. RhD 음성 혈액 또한 대부분 C, c, E, e 항원을 가지고 있으므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예: dce/dce).

따라서 -D- 혈액형을 가진 사람들은 자가 수혈(Autologous transfusion), 즉 미리 자신의 혈액을 채혈하여 냉동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 사용하는 방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운영되는 희귀 혈액 은행(Rare Donor Registries)에 등록하여, 만약의 경우 다른 -D- 기증자의 혈액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0]. 응급 상황에서 적합한 혈액을 찾지 못할 경우, 의료진은 환자의 상태와 항체의 역가(titer) 등을 고려하여 위험을 감수하고 '최소 부적합(least incompatible)' 혈액을 수혈해야 할 수도 있지만, 이는 매우 위험한 결정입니다.

3. 임신과 태아 신생아 용혈성 질환 (HDFN):

-D- 표현형을 가진 여성이 임신하는 경우, 태아 신생아 용혈성 질환(Hemolytic Disease of the Fetus and Newborn, HDFN)의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만약 남편(태아의 아버지)이 정상적인 Rh 표현형을 가지고 있다면 (즉, C, c, E, e 항원 중 일부를 가짐), 태아는 아버지로부터 해당 유전자를 물려받아 어머니에게는 없는 C, c, E, e 항원을 발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임신 중, 특히 분만 과정에서 소량의 태아 혈액이 모체 순환계로 유입될 수 있습니다. 이때 -D- 표현형인 어머니의 면역 체계는 태아 적혈구 표면의 C, c, E, e 항원을 '이물질'로 인식하고 이에 대한 항체(주로 anti-Rh17)를 생성하기 시작합니다 (이를 감작(sensitization)이라고 합니다). 첫 임신에서는 항체 생성량이 적거나 생성 시기가 늦어 태아에게 큰 영향이 없을 수도 있지만, 일단 감작이 이루어지면 두 번째 이후의 임신에서는 문제가 심각해집니다.

어머니 혈액 내에 생성된 IgG 형태의 anti-Rh17 항체는 태반을 자유롭게 통과하여 태아 순환계로 들어갑니다. 이 항체는 태아 적혈구 표면의 C, c, E, e 관련 항원에 결합하여 태아의 적혈구를 파괴(용혈)시킵니다. 이로 인해 태아는 심각한 빈혈(anemia)에 빠지게 되고, 파괴된 적혈구에서 나온 빌리루빈(bilirubin) 수치가 높아져 황달(jaundice)이 나타납니다. 빈혈이 심해지면 태아의 심장은 혈액을 더 빨리 순환시키려 과부하가 걸리고, 간과 비장에서는 적혈구를 보충하기 위해 과도하게 혈액 세포를 만들어내면서 크기가 커집니다 (간비종대, hepatosplenomegaly). 결국 심부전, 전신 부종(hydrops fetalis), 뇌 손상(핵황달, kernicterus) 등으로 이어져 태아가 자궁 내에서 사망하거나 출생 후 심각한 후유증을 겪을 수 있습니다 [11].

-D- 표현형 산모의 경우, 생성되는 anti-Rh17 항체는 매우 광범위한 반응성을 가지며 강력한 용혈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HDFN의 위험은 특히 높습니다. 따라서 -D- 여성의 임신은 반드시 고위험 임신으로 관리되어야 하며, 임신 초기부터 항체 선별 검사를 정기적으로 시행하고 항체 역가를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필요한 경우, 태아 빈혈을 치료하기 위해 자궁 내 태아 수혈(Intrauterine transfusion, IUT)을 시행해야 할 수도 있는데, 이때에도 역시 -D- 표현형 혈액이나 이와 유사한 희귀 혈액(예: D.. 또는 Rh null 표현형 혈액 – 아래에서 설명)을 사용해야 하므로 혈액 확보에 큰 어려움이 따릅니다.

요약하자면, -D- 표현형은 anti-Rh17과 같은 강력하고 광범위한 항체 형성 가능성 때문에 수혈 시 적합 혈액 확보가 극도로 어렵고, 임신 시 심각한 HDFN을 유발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희귀 혈액형입니다.

-D- 표현형과 Rh null 증후군의 차이점

-D- 표현형을 이야기할 때 종종 함께 언급되거나 혼동될 수 있는 또 다른 희귀 Rh 표현형으로 Rh null 증후군(Rh null syndrome)이 있습니다. 이 둘은 모두 Rh 시스템의 주요 항원이 결핍되어 있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실제로는 항원 발현 양상, 유전적 원인, 그리고 임상적 특징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입니다. 따라서 이 둘을 명확히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Rh null 증후군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적혈구 표면에 모든 Rh 항원(D, C, c, E, e 포함)이 완전히 결핍된 상태를 말합니다 [12]. 이는 -D- 표현형이 D 항원은 가지고 있는 것과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Rh null 표현형은 크게 두 가지 유전적 메커니즘에 의해 발생합니다:

  1. 조절자형 Rh null (Regulator type Rh null): 이 경우는 Rh 항원을 암호화하는 RHDRHCE 유전자 자체는 정상적으로 존재하지만, 이들 유전자가 만든 Rh 단백질을 적혈구 막에 올바르게 삽입하고 안정화시키는 데 필수적인 다른 유전자, 즉 RHAG (Rh-associated glycoprotein)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발생하여 기능하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13]. RHAG 유전자는 Rh 단백질과 구조적으로 유사하며, Rh 단백질과 함께 복합체(Rh complex)를 형성하여 막 구조의 안정성과 기능에 기여합니다. RHAG 유전자 산물인 RHAG 단백질이 없으면 RhD 및 RhCE 단백질이 적혈구 막으로 제대로 운반되거나 안정적으로 존재하지 못하여 결과적으로 모든 Rh 항원이 소실됩니다. 비유하자면, RHD/RHCE 유전자가 '부품(Rh 단백질)'을 만드는 공장이라면, RHAG 유전자는 이 부품들을 '조립하고 설치하는 기술자'와 같습니다. 기술자가 없으면 부품이 있어도 제자리에 설치되지 못하는 것이죠.

  2. 무형성형 Rh null (Amorph type Rh null): 이 경우는 RHD 유전자가 삭제되어 없고 (RhD 음성에서 흔히 보임), 동시에 RHCE 유전자에도 기능 상실 돌연변이가 동형접합 또는 복합이형접합으로 존재*여 C, c, E, e 항원마저 발현되지 않는 경우입니다 [14]. 즉, Rh 항원을 만드는 두 유전자 모두가 기능하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반면, -D- 표현형은 앞서 설명했듯이 RHD 유전자는 기능하여 D 항원을 발현하지만, RHCE 유전자에 결실이나 기능 상실 돌연변이가 있어 C, c, E, e 항원이 발현되지 않는 경우*니다. 즉, Rh 항원 중 일부(D)는 존재하고 일부(C, c, E, e)는 결핍된 상태입니다.

이러한 항원 발현의 차이 외에도, Rh null 증후군은 종종 적혈구 자체의 구조적 이상 및 기능 이상을 동반하는 반면, -D- 표현형은 일반적으로 그렇지 않다는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Rh null 적혈구는 Rh 단백질과 RHAG 단백질이 형성하는 막 복합체가 없기 때문에 적혈구 막의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지고 형태 이상(구내적혈구증, stomatocytosis 등)을 보이며, 막 투과성이 변하고 수명이 단축되어 만성적인 용혈성 빈혈(chronic hemolytic anemia)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15]. 이러한 임상 증상의 정도는 개인마다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그러나 -D- 표현형을 가진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적혈구 형태나 수명에는 특별한 이상이 없으며, 만성 용혈성 빈혈과 같은 증상을 보이지 않습니다. 이는 D 항원을 발현하는 RhD 단백질이 여전히 존재하여 어느 정도 막 구조 유지에 기여하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항체 형성 측면에서도 차이가 있습니다. Rh null 개인은 모든 Rh 항원이 없기 때문에 일반적인 혈액(거의 모든 사람이 Rh 항원을 가짐)에 노출되면 모든 Rh 항원에 반응할 수 있는 매우 복잡한 항체, 예를 들어 anti-Rh29 (총 Rh 항체, total Rh antibody)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16]. 이 항체 역시 anti-Rh17과 마찬가지로 거의 모든 사람의 적혈구와 반응하므로, Rh null 환자에게 수혈이 필요할 경우 오직 다른 Rh null 기증자의 혈액만이 안전합니다.

요약하여 -D- 표현형과 Rh null 증후군의 주요 차이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특징 | -D- 표현형 | Rh null 증후군 |

| :------------------- | :------------------------------------------ | :------------------------------------------------- |

| 주요 Rh 항원 발현 | D 항원 존재, C, c, E, e 항원 결핍 | D, C, c, E, e 모든 Rh 항원 결핍 |

| 주요 유전적 원인 | RHCE 유전자 결실 또는 기능 상실 돌연변이 | RHAG 유전자 돌연변이 (조절자형) 또는 RHD/*RHCE 모두 기능 상실 (무형성형) |

| 적혈구 이상 | 일반적으로 없음 | 종종 구내적혈구증, 막 불안정성, 수명 단축 등 존재 |

| 만성 용혈성 빈혈 | 일반적으로 없음 | 종종 존재 (경증~중등증) |

| 주요 생성 항체 | Anti-Rh17 (또는 anti-Hro) | Anti-Rh29 (또는 다른 복합 항체) |

| 수혈 적합 혈액 | 다른 -D- 기증자 혈액 | 다른 Rh null 기증자 혈액 |

이처럼 -D- 표현형과 Rh null 증후군은 모두 희귀한 Rh 항원 결핍 상태이지만, 그 내용과 임상 양상에는 명확한 차이가 있으므로 혼동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두 표현형 모두 수혈 및 임신 관리에 극도의 주의가 필요하며, 희귀 혈액 관리에 대한 국제적인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결론: -D- 혈액형의 중요성과 향후 과제

지금까지 우리는 매우 희귀하지만 임상적으로 중요한 -D- 혈액형에 대해 깊이 있게 살펴보았습니다. -D- 표현형은 Rh 혈액형 시스템에서 D 항원만 발현되고 C, c, E, e 항원이 모두 결핍된 특이한 경우로, 주로 RHCE 유전자의 기능 상실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혈액형을 가진 사람은 C, c, E, e 항원에 노출 시 강력하고 광범위한 반응성을 가진 anti-Rh17 항체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 항체는 수혈 시 적합한 혈액을 찾는 것을 극도로 어렵게 만들고(오직 다른 -D- 기증자 혈액만 안전), 임신 시 태반을 통과하여 태아에게 심각한 용혈성 질환(HDFN)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임상적 중요성이 매우 큽니다.

또한, 모든 Rh 항원이 결핍되고 종종 만성 용혈성 빈혈을 동반하는 Rh null 증후군과는 명확히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D- 표현형 자체는 일반적으로 적혈구 이상이나 빈혈을 유발하지 않지만, 항체 형성의 위험성 때문에 여전히 세심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D- 혈액형과 같이 희귀한 혈액형을 가진 환자들의 안전한 수혈과 임신 관리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지속되어야 합니다.

  1. 정확한 진단: 혈액은행 및 진단검사의학과에서는 희귀 혈액형을 정확하게 감별할 수 있는 혈청학적 검사 및 유전자 검사 역량을 갖추어야 합니다.

  2. 희귀 혈액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국제 협력: -D- 표현형을 포함한 희귀 혈액 기증자를 발굴하고 등록하여 국가적, 국제적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필요시 혈액을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강화해야 합니다.

  3. 자가 수혈 프로그램 활성화 및 냉동 보관 기술 발전: 희귀 혈액형을 가진 개인이 자신의 혈액을 미리 채혈하여 냉동 보관하는 자가 수혈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고, 장기 보관 기술을 발전시켜야 합니다.

  4. 산전 관리 강화: -D- 여성을 포함한 희귀 혈액형 산모에 대한 체계적인 산전 관리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HDFN의 조기 진단 및 치료(특히 자궁 내 수혈 시 희귀 혈액 확보) 역량을 강화해야 합니다.

  5. 유전 상담: 희귀 혈액형과 관련된 유전적 위험에 대해 환자와 가족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유전 상담을 시행해야 합니다.

-D- 혈액형은 비록 극소수의 사람들에게만 해당되지만, 혈액형의 다양성과 복잡성, 그리고 면역학적 반응의 중요성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희귀 혈액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관리 시스템 개선을 통해, 이러한 혈액형을 가진 모든 사람들이 안전하게 치료받고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참고문헌

  1. Levine P, Stetson RE. An unusual case of intragroup agglutination. JAMA. 1939;113(2):126-127.

  2. Cartron JP, Agre P. Rh blood group antigens: protein and gene structure. Semin Hematol. 1993;30(3):192-207.

  3. Westhoff CM. The Rh blood group system in review: a new face for the next decade. Transfusion. 2004;44(11):1663-1673.

  4. Colin Y, Chérif-Zahar B, Le Van Kim C, Raynal V, Van Huffel V, Cartron JP. Genetic basis of the RhD-positive and RhD-negative blood group polymorphism as determined by Southern analysis. Blood. 1991;78(10):2747-2752.

  5. Daniels G. Human Blood Groups. 3rd ed. Wiley-Blackwell; 2013. (Chapter on Rh Blood Group System)

  6. Wagner FF, Flegel WA. RHD gene deletion occurred in the Rhesus box. Blood. 2000;95(12):3662-3668. (Note: While this reference discusses RHD deletion, similar mechanisms involving the Rhesus boxes can lead to RHCE alterations or deletions relevant to -D- phenotype).

  7. Issitt PD, Anstee DJ. Applied Blood Group Serology. 4th ed. Montgomery Scientific Publications; 1998. (Specific details on exalted D in D-- phenotype).

  8. Reid ME, Lomas-Francis C, Olsson ML. The Blood Group Antigen FactsBook. 3rd ed. Academic Press; 2012. (Provides details on frequencies and characteristics of various blood group phenotypes including -D-).

  9. Storry JR, Olsson ML. The Rh blood group system: a review. Immunohematology. 2009;25(3):98-110. (Discusses Rh antibodies including anti-Rh17).

  10. International Society of Blood Transfusion (ISBT) Working Party on Rare Donors. Website and resources. (https://www.isbtweb.org/working-parties/rare-donors/) - General information on rare donor management.

  11. Moise KJ Jr. Hemolytic disease of the fetus and newborn. In: Creasy RK, Resnik R, Iams JD, Lockwood CJ, Moore TR, Greene MF, eds. Creasy and Resnik's Maternal-Fetal Medicine: Principles and Practice. 7th ed. Elsevier Saunders; 2014:chap 49.

  12. Vos GH, Vos D, Kirk RL, Sanger R. A sample of blood with no detectable Rh antigens. Lancet. 1961;1(7167):14-15.

  13. Chérif-Zahar B, Raynal V, Gane P, et al. Candidate gene acting as a suppressor of the RH locus in most cases of Rh-deficiency. Nat Genet. 1

공유하기
카카오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하기
조회수 : 53
heart
T
페이지 기반 대답
AI 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