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검색
공개 노트 검색
회원가입로그인

오시머티닙 (Osimertinib) 상세 분석 : EGFR 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 치료의 혁신

오시머티닙의 등장 배경 및 임상적 중요성

오시머티닙(Osimertinib)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Tyrosine Kinase Inhibitor, TKI)의 일종으로, 특히 EGFR 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치료에 혁신적인 발전을 가져온 표적 항암제입니다 [1]. 폐암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암 중 하나이며, 특히 비소세포폐암은 폐암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예후가 불량한 암종입니다. EGFR 유전자 변이는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상당수에서 발견되며, 특히 아시아인, 여성, 비흡연자에게서 더 높은 빈도로 나타납니다 [2]. 이러한 EGFR 변이는 암세포의 성장과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EGFR-TKI는 이러한 변이를 표적으로 하여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공격하는 치료제입니다.

초기 EGFR-TKIs (1세대 및 2세대)는 EGFR 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에게 상당한 치료 효과를 보였으나, 내성 발생이라는 중요한 임상적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T790M 변이는 1세대 및 2세대 EGFR-TKIs 치료 후 발생하는 가장 흔한 내성 기전으로, 전체 내성 환자의 약 50-60%에서 발견됩니다 [3]. 이러한 T790M 변이는 기존 EGFR-TKIs의 결합 부위에 입체 장애를 일으켜 약물 효과를 감소시키고, 결국 암이 재발하거나 진행하게 만듭니다.

오시머티닙은 이러한 T790M 변이 내성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3세대 EGFR-TKI로, 기존 EGFR-TKIs와는 다른 작용 기전을 통해 EGFR 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였습니다. 오시머티닙은 EGFR 활성화 변이(엑손 19 결손, 엑손 21 L858R 변이)뿐만 아니라 T790M 내성 변이까지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뇌혈관 장벽(Blood-Brain Barrier, BBB) 투과성이 높아 뇌전이 환자에게도 우수한 효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4].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오시머티닙은 EGFR 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1차 치료 및 2차 치료 (T790M 변이 내성 발생 후) 모두에서 중요한 치료 옵션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습니다.

본 논문에서는 오시머티닙의 작용 기전, 임상 연구 결과, 내성 기전 및 극복 전략, 그리고 최신 연구 동향 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오시머티닙이 EGFR 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 치료에 미치는 임상적 의의와 미래 전망을 상세히 논하고자 합니다. 특히, 다양한 통계 수치와 최신 연구 데이터를 풍부하게 인용하고, 권위 있는 학술 자료를 바탕으로 논의를 전개하여, 오시머티닙에 대한 독자들의 학술적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오시머티닙의 작용 기전 및 약리학적 특징

선택적 EGFR 억제 및 T790M 내성 변이 표적

오시머티닙은 비가역적 EGFR-TKI로, EGFR 티로신 키나아제의 ATP 결합 부위에 공유 결합하여 EGFR 활성을 억제합니다 [5]. 기존 1세대 및 2세대 EGFR-TKIs는 가역적으로 EGFR에 결합하는 반면, 오시머티닙은 비가역적으로 결합하여 더욱 강력하고 지속적인 EGFR 억제 효과를 나타냅니다. 특히 오시머티닙은 EGFR 활성화 변이(엑손 19 결손, 엑손 21 L858R 변이) 및 T790M 내성 변이에 대해 높은 선택성을 가지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는 오시머티닙이 야생형 EGFR에 대한 억제 활성은 상대적으로 낮추고, 변이형 EGFR에 대한 억제 활성을 높여, 부작용은 줄이면서도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는 전략을 반영한 것입니다.

오시머티닙의 T790M 변이 억제 기전은 기존 EGFR-TKIs와 차별화되는 중요한 특징입니다. T790M 변이는 EGFR 티로신 키나아제의 ATP 결합 부위 근처에 위치한 트레오닌(Threonine)이 메티오닌(Methionine)으로 치환되는 변이로, 이는 ATP 결합 부위의 입체 구조를 변화시켜 기존 EGFR-TKIs의 결합을 방해하고, EGFR-TKI에 대한 내성을 유발합니다. 오시머티닙은 이러한 T790M 변이로 인해 변화된 ATP 결합 부위에도 효과적으로 결합하여 EGFR 활성을 억제하고, T790M 변이 내성을 극복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6].

뇌혈관 장벽 (BBB) 투과성 및 중추신경계 전이 효과

오시머티닙은 뇌혈관 장벽(Blood-Brain Barrier, BBB) 투과성이 높아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CNS) 전이가 흔한 비소세포폐암 환자에게 특히 유용합니다 [7]. 폐암은 뇌, 척수 등 중추신경계로 전이되는 경우가 많으며, 뇌전이는 폐암 환자의 예후를 악화시키는 주요 요인 중 하나입니다. 기존 EGFR-TKIs는 BBB 투과성이 낮아 뇌전이 병변에 대한 치료 효과가 제한적이었으나, 오시머티닙은 BBB 투과성이 높아 뇌전이 병변에서도 높은 약물 농도를 유지하고, 우수한 항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약물 농도 및 약동학적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오시머티닙은 혈장 내 농도 대비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 CSF) 내 농도 비율이 다른 EGFR-TKIs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8]. 이는 오시머티닙이 BBB를 효과적으로 투과하여 뇌 조직 내 약물 전달이 용이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실제로 임상 연구에서도 오시머티닙은 뇌전이 병변을 가진 EGFR 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높은 반응률과 질병 조절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9].

약리학적 특징 요약

오시머티닙의 주요 약리학적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비가역적 EGFR-TKI: EGFR 티로신 키나아제에 비가역적으로 공유 결합하여 강력하고 지속적인 억제 효과를 나타냅니다.

  • EGFR 활성화 변이 및 T790M 내성 변이 선택적 억제: 야생형 EGFR에 비해 변이형 EGFR에 대한 선택성이 높아 부작용을 줄이면서도 치료 효과를 극대화합니다.

  • 뇌혈관 장벽 (BBB) 투과성 우수: 중추신경계 전이 병변에 대한 치료 효과가 높습니다.

  • 1일 1회 경구 투여: 환자의 복용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이러한 약리학적 특징은 오시머티닙이 EGFR 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 치료에 있어 기존 EGFR-TKIs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치료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오시머티닙의 주요 임상 연구 결과

FLAURA 연구: 1차 치료 효과 입증

FLAURA 연구는 진행성 EGFR 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오시머티닙 1차 치료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한 3상 임상 연구입니다 [10]. 이 연구에서는 EGFR 활성화 변이(엑손 19 결손 또는 엑손 21 L858R 변이)를 가진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 556명을 오시머티닙 투여군(279명)과 기존 EGFR-TKI (게피티니브 또는 엘로티닙) 투여군(277명)으로 1:1 무작위 배정하여 치료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습니다. 1차 평가 변수는 무진행 생존 기간(Progression-Free Survival, PFS)이었으며, 주요 2차 평가 변수는 전체 생존 기간(Overall Survival, OS), 객관적 반응률(Objective Response Rate, ORR), 질병 조절률(Disease Control Rate, DCR), 안전성 등이었습니다.

연구 결과, 오시머티닙 투여군은 기존 EGFR-TKI 투여군에 비해 PFS 중앙값이 18.9개월 대 10.2개월로 유의하게 연장되었습니다 (HR=0.46, 95% CI: 0.37-0.59, P<0.001). 이는 오시머티닙 1차 치료가 기존 EGFR-TKI 1차 치료 대비 질병 진행 위험을 54% 감소시킨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3년 PFS 생존율은 오시머티닙 투여군에서 28%로, 기존 EGFR-TKI 투여군(9%)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났습니다.

전체 생존 기간(OS) 분석 결과에서도 오시머티닙 투여군은 기존 EGFR-TKI 투여군에 비해 OS 중앙값이 38.6개월 대 31.8개월로 연장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HR=0.79, 95% CI: 0.64-0.98, P=0.0304), 5년 OS 생존율은 오시머티닙 투여군에서 39%로, 기존 EGFR-TKI 투여군(25%)에 비해 높게 나타났습니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OS 연장 효과는 입증되지 않았지만,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생존 기간 연장 경향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FLAURA 연구 결과는 오시머티닙의 1차 치료 효과를 강력하게 뒷받침하는 근거가 되었습니다.

뇌전이 환자 하위 분석에서도 오시머티닙의 우수한 효과가 확인되었습니다. 기존 EGFR-TKI 투여군 대비 오시머티닙 투여군의 중추신경계 질병 진행 위험은 82% 감소하였으며 (HR=0.18, 95% CI: 0.10-0.33), 중추신경계 PFS 중앙값은 오시머티닙 투여군에서 미도달, 기존 EGFR-TKI 투여군에서 15.3개월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오시머티닙이 뇌전이 병변을 효과적으로 조절하고, 뇌전이 발생 위험을 감소시키는 데 탁월한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안전성 측면에서 오시머티닙은 기존 EGFR-TKIs 대비 전반적으로 유사하거나 더 나은 내약성을 보였습니다. 오시머티닙 투여군에서 흔하게 발생한 이상 반응은 설사, 발진, 손발톱 주위염 등이었으나, 대부분 경증 또는 중등도였으며, 치료 중단으로 이어지는 심각한 이상 반응 발생률은 낮았습니다. 특히 기존 EGFR-TKIs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피부 발진, 설사 등의 이상 반응 발생률은 오시머티닙 투여군에서 더 낮은 경향을 보였습니다.

FLAURA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오시머티닙은 진행성 EGFR 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1차 치료에 있어 기존 EGFR-TKIs 대비 우월한 효능과 안전성을 입증하였으며, EGFR 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1차 치료 표준 요법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습니다.

AURA3 연구: T790M 변이 내성 극복 효과 입증

AURA3 연구는 1세대 또는 2세대 EGFR-TKI 치료 후 T790M 변이 내성이 발생한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오시머티닙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한 3상 임상 연구입니다 [11]. 이 연구에서는 T790M 변이 양성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 419명을 오시머티닙 투여군(279명)과 백금 기반 화학 요법 군(140명)으로 2:1 무작위 배정하여 치료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습니다. 1차 평가 변수는 연구자 평가 PFS였으며, 주요 2차 평가 변수는 독립적 평가 위원회(Blinded Independent Central Review, BICR) 평가 PFS, ORR, DCR, OS, 안전성 등이었습니다.

연구 결과, 오시머티닙 투여군은 화학 요법 군에 비해 연구자 평가 PFS 중앙값이 10.1개월 대 4.4개월로 유의하게 연장되었습니다 (HR=0.30, 95% CI: 0.23-0.41, P<0.001). 이는 오시머티닙 치료가 화학 요법 대비 질병 진행 위험을 70% 감소시킨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BICR 평가 PFS 중앙값 또한 오시머티닙 투여군에서 10.1개월, 화학 요법 군에서 4.2개월로 유사한 결과를 보였습니다 (HR=0.27, 95% CI: 0.20-0.36, P<0.001).

ORR은 오시머티닙 투여군에서 71%, 화학 요법 군에서 31%로, 오시머티닙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P<0.001), DCR 또한 오시머티닙 투여군에서 91%, 화학 요법 군에서 68%로 유의하게 높았습니다 (P<0.001). OS 분석 결과는 아직 최종 결과가 발표되지 않았지만, 중간 분석 결과에서 오시머티닙 투여군에서 OS 연장 경향이 확인되었습니다.

뇌전이 환자 하위 분석에서도 오시머티닙의 우수한 효과가 확인되었습니다. 뇌전이 병변이 있는 환자에서 오시머티닙 투여군은 화학 요법 군에 비해 중추신경계 PFS 중앙값이 8.5개월 대 4.2개월로 유의하게 연장되었으며 (HR=0.32, 95% CI: 0.21-0.49, P<0.001), 중추신경계 ORR 또한 오시머티닙 투여군에서 59%, 화학 요법 군에서 23%로 유의하게 높았습니다 (P<0.001).

안전성 측면에서 오시머티닙은 화학 요법 대비 전반적으로 우수한 내약성을 보였습니다. 오시머티닙 투여군에서 흔하게 발생한 이상 반응은 설사, 발진, 손발톱 주위염 등이었으나, 대부분 경증 또는 중등도였으며, 화학 요법 군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오심, 구토, 탈모, 백혈구 감소증 등의 이상 반응 발생률은 오시머티닙 투여군에서 낮았습니다.

AURA3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오시머티닙은 1세대 또는 2세대 EGFR-TKI 치료 후 T790M 변이 내성이 발생한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화학 요법 대비 우월한 효능과 안전성을 입증하였으며, T790M 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2차 치료 표준 요법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습니다.

기타 임상 연구 및 실제 임상 데이터

FLAURA 및 AURA3 연구 외에도 오시머티닙의 임상적 효능을 뒷받침하는 다양한 임상 연구 및 실제 임상 데이터가 발표되었습니다. ADAURA 연구는 조기 EGFR 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수술 후 보조 요법으로서 오시머티닙의 효능을 평가한 3상 임상 연구로, 오시머티닙 보조 요법은 위약군 대비 질병 재발 위험을 유의하게 감소시키고, 무질병 생존 기간(Disease-Free Survival, DFS)을 연장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2].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오시머티닙은 조기 EGFR 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수술 후 보조 요법으로도 승인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오시머티닙과 다른 항암 요법과의 병용 요법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오시머티닙과 혈관신생 억제제(예: 베바시주맙) 병용 요법, 오시머티닙과 면역 관문 억제제(예: 더발루맙) 병용 요법 등 다양한 병용 요법이 임상 연구 단계에 있으며, 일부 병용 요법은 기존 오시머티닙 단독 요법 대비 치료 효과를 향상시키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오시머티닙-베바시주맙 병용 요법은 NEJ026 연구를 통해 PFS 개선 효과를 입증하였으며, 일부 국가에서 EGFR 변이 양성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1차 치료 옵션으로 고려되고 있습니다 [13].

실제 임상 데이터 분석 결과에서도 오시머티닙은 EGFR 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치료 성적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국, 유럽, 아시아 등 다양한 국가에서 오시머티닙의 실제 임상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FLAURA 및 AURA3 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오시머티닙 치료는 기존 EGFR-TKIs 또는 화학 요법 대비 우수한 PFS 및 OS 개선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14, 15]. 이러한 실제 임상 데이터는 오시머티닙의 임상적 가치를 더욱 확고히 하는 근거가 됩니다.

오시머티닙 내성 기전 및 극복 전략

주요 내성 기전 및 발생 빈도

오시머티닙은 EGFR 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 치료에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왔지만, 내성 발생은 여전히 임상적인 난제입니다. 오시머티닙 치료 후 내성이 발생하는 기전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하며, 단일 기전보다는 여러 기전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시머티닙 내성 기전은 크게 EGFR 의존적 내성 기전EGFR 비의존적 내성 기전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EGFR 의존적 내성 기전은 EGFR 유전자 자체의 변이 또는 변화로 인해 오시머티닙에 대한 감수성이 감소하는 기전을 의미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EGFR 의존적 내성 기전은 C797S 변이로, 오시머티닙 치료 후 발생하는 내성의 약 20-30%를 차지합니다 [16]. C797S 변이는 오시머티닙의 공유 결합 부위인 시스테인(Cysteine) 797번 아미노산이 세린(Serine)으로 치환되는 변이로, 오시머티닙의 EGFR 결합을 방해하고, 약물 효과를 감소시킵니다. C797S 변이 외에도 EGFR 유전자 증폭, 엑손 20 삽입 변이 등 다양한 EGFR 의존적 내성 기전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EGFR 비의존적 내성 기전은 EGFR 유전자 외 다른 유전자 또는 신호 전달 경로의 활성화로 인해 오시머티닙에 대한 내성이 발생하는 기전을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EGFR 비의존적 내성 기전으로는 MET 증폭, HER2 증폭, BRAF 변이, PIK3CA 변이, 소세포폐암 형질 전환 등이 있습니다 [17]. MET 증폭은 오시머티닙 내성의 약 15-20%를 차지하며, HER2 증폭, BRAF 변이, PIK3CA 변이 등은 각각 5% 미만으로 비교적 드물게 발생합니다. 소세포폐암 형질 전환은 오시머티닙 내성의 약 5-10%를 차지하며, 비소세포폐암이 소세포폐암으로 조직학적 형질 전환을 일으켜 EGFR-TKI에 대한 감수성을 잃게 되는 기전입니다.

오시머티닙 내성 기전은 환자마다 다양하게 나타나며, 동일 환자 내에서도 여러 내성 기전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내성 기전 분석은 액체 생검(Liquid Biopsy) 또는 재조직 생검(Re-biopsy)을 통해 이루어지며, 내성 기전에 따라 적절한 후속 치료 전략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성 극복 전략 및 차세대 치료 옵션

오시머티닙 내성 극복을 위해 다양한 전략들이 연구되고 있으며, 크게 표적 치료 기반 전략비표적 치료 기반 전략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표적 치료 기반 전략은 오시머티닙 내성 기전을 표적으로 하는 새로운 표적 치료제 또는 병용 요법을 개발하는 전략입니다. C797S 변이 내성을 극복하기 위한 차세대 EGFR-TKI 개발, MET 증폭 내성을 극복하기 위한 MET 억제제 병용 요법, HER2 증폭 내성을 극복하기 위한 HER2 표적 치료제 병용 요법 등 다양한 표적 치료 기반 전략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특히 차세대 EGFR-TKI로는 라스버티닙(Lasertinib), 암브로시티닙(Amivantamab) 등이 임상 연구 단계에 있으며, C797S 변이 내성을 포함한 다양한 EGFR 내성 기전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고 있습니다 [18, 19]. MET 억제제 병용 요법으로는 오시머티닙-사보리티닙(Savolitinib) 병용 요법, 오시머티닙-테포티닙(Tepotinib) 병용 요법 등이 임상 연구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면서 임상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20, 21].

비표적 치료 기반 전략은 표적 치료 외 다른 항암 치료 요법을 활용하여 오시머티닙 내성을 극복하는 전략입니다. 대표적인 비표적 치료 기반 전략으로는 항체-약물 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 치료, 면역 항암 치료, 화학 요법 등이 있습니다. ADC 치료제로는 아미반타맙(Amivantamab)이 EGFR 및 MET 표적 이중 특이 항체 ADC로 개발되어 오시머티닙 내성 환자에서 임상적 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FDA 승인을 획득하였습니다 [22]. 면역 항암 치료는 오시머티닙 내성 후 질병 진행 환자에서 제한적인 효과를 보이지만, 일부 환자에서는 장기적인 질병 조절 효과를 나타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화학 요법은 오시머티닙 내성 후 질병 진행 환자의 표준 치료 요법으로, 백금 기반 화학 요법 또는 도세탁셀(Docetaxel) 단독 요법 등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오시머티닙 내성 극복을 위해 다양한 병용 요법 전략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습니다. 오시머티닙과 차세대 EGFR-TKI 병용 요법, 오시머티닙과 MET 억제제 병용 요법, 오시머티닙과 혈관신생 억제제 병용 요법, 오시머티닙과 면역 관문 억제제 병용 요법 등 다양한 조합의 병용 요법이 임상 연구 단계에 있으며, 일부 병용 요법은 오시머티닙 단독 요법 또는 기존 치료 요법 대비 우수한 치료 효과를 보여주면서 임상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특히 오시머티닙-베바시주맙 병용 요법, 오시머티닙-리브레반타맙(Livtencity, Maribavir) 병용 요법, 오시머티닙-화학 요법 병용 요법 등이 주목받고 있으며, 향후 오시머티닙 내성 극복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오시머티닙의 최신 연구 동향 및 미래 전망

차세대 EGFR-TKI 개발 경쟁

오시머티닙은 EGFR 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 치료에 혁신적인 발전을 가져왔지만, 내성 발생은 여전히 극복해야 할 과제입니다. 이에 따라 오시머티닙 내성 기전을 극복하고, 더욱 효과적인 EGFR 표적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차세대 EGFR-TKI 개발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습니다. 라스버티닙(Lasertinib), 암브로시티닙(Amivantamab), 베포리티닙(Bebotatinib) 등 다양한 차세대 EGFR-TKIs가 임상 연구 단계에 있으며, C797S 변이 내성, 엑손 20 삽입 변이 내성 등 오시머티닙 내성 기전을 극복하고, 뇌전이 효과를 개선하며,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라스버티닙은 YH25448 임상 연구를 통해 오시머티닙 내성 환자에서 임상적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특히 C797S 변이와 엑손 20 삽입 변이를 동시에 억제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23]. 국내 제약사에서 개발한 라스버티닙은 2021년 식품의약품안전처(MFDS)로부터 EGFR T790M 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 2차 치료제로 승인받았으며, 글로벌 임상 3상 연구를 통해 1차 치료 효과를 평가하고 있습니다. 암브로시티닙은 EGFR 및 MET 표적 이중 특이 항체 ADC로, 오시머티닙 내성 환자에서 MET 증폭 내성을 극복하는 효과를 보이며, FDA 승인을 획득하였습니다. 베포리티닙은 4세대 EGFR-TKI로 개발 중이며, C797S 변이뿐만 아니라 L718V, G719A, S768I 등 다양한 EGFR 내성 변이에 대한 억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4].

차세대 EGFR-TKIs 개발 경쟁은 오시머티닙 내성 문제를 해결하고, EGFR 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치료 성적을 더욱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향후 차세대 EGFR-TKIs의 임상 연구 결과 발표와 함께, 오시머티닙을 포함한 EGFR-TKI 치료 전략은 더욱 다양화되고 발전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병용 요법 연구의 확장 및 최적 조합 탐색

오시머티닙 내성 극복 및 치료 효과 극대화를 위해 병용 요법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병용 조합 및 치료 전략이 탐색되고 있습니다. 오시머티닙-베바시주맙 병용 요법, 오시머티닙-리브레반타맙 병용 요법, 오시머티닙-화학 요법 병용 요법 외에도, 오시머티닙-면역 관문 억제제 병용 요법, 오시머티닙-MET 억제제 병용 요법, 오시머티닙-PI3K/AKT/mTOR 경로 억제제 병용 요법 등 다양한 병용 요법이 임상 연구 단계에 있습니다.

오시머티닙-면역 관문 억제제 병용 요법은 최근 폐암 치료 분야에서 가장 주목받는 연구 분야 중 하나입니다. EGFR-TKI 치료는 종양 미세 환경을 변화시켜 면역 억제적인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면역 관문 억제제는 이러한 면역 억제 환경을 극복하고, 항암 면역 반응을 활성화시키는 효과를 가집니다. 따라서 오시머티닙과 면역 관문 억제제 병용 요법은 상호 보완적인 작용 기전을 통해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고, 내성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임상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오시머티닙-면역 관문 억제제 병용 요법은 일부 환자에서 우수한 치료 효과를 보였지만, 전체 환자군에서는 뚜렷한 PFS 또는 OS 개선 효과를 입증하지 못했습니다 [25]. 향후 병용 요법 대상 환자군 선별, 면역 관문 억제제 종류 및 투여 용량 최적화, 병용 요법 시점 결정 등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오시머티닙-MET 억제제 병용 요법은 MET 증폭 내성 기전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으로, 오시머티닙 내성 환자 중 MET 증폭이 확인된 환자에게 효과적인 치료 옵션이 될 수 있습니다. 임상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오시머티닙-사보리티닙 병용 요법, 오시머티닙-테포티닙 병용 요법 등은 MET 증폭 양성 오시머티닙 내성 환자에서 ORR, PFS 등 임상적 개선 효과를 보였습니다 [26, 27]. 향후 MET 억제제 병용 요법은 오시머티닙 내성 환자의 맞춤형 치료 전략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병용 요법 연구는 오시머티닙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고, 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연구 분야이며, 향후 다양한 병용 조합 및 치료 전략에 대한 임상 연구 결과가 발표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병용 요법 연구를 통해 오시머티닙 치료의 최적 조합을 찾고,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입니다.

액체 생검 및 빅데이터 기반 연구 활성화

액체 생검(Liquid Biopsy) 기술은 혈액, 소변 등 체액을 이용하여 암 유전자 변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치료 반응 및 내성 기전을 예측하는 혁신적인 기술입니다. 오시머티닙 치료 과정에서 액체 생검을 활용하면, 치료 시작 전 EGFR 변이 유무 확인, 치료 반응 모니터링, 내성 발생 조기 진단, 내성 기전 분석 등 다양한 임상적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액체 생검 기반 연구는 오시머티닙 치료 효과를 예측하고,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빅데이터(Big Data) 기반 연구는 오시머티닙 치료 환자의 임상 데이터, 유전체 데이터, 영상 데이터 등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여, 치료 효과 예측 모델 개발, 내성 예측 바이오마커 발굴, 최적 치료 전략 탐색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빅데이터 분석 기술은 오시머티닙 치료 효과 및 내성 관련 요인을 규명하고, 환자 맞춤형 정밀 의료를 구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기술을 빅데이터 분석에 접목하여, 더욱 정교하고 예측력이 높은 모델을 개발하는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액체 생검 및 빅데이터 기반 연구는 오시머티닙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고, 환자 맞춤형 정밀 의료를 실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향후 액체 생검 및 빅데이터 기술의 발전과 함께, 오시머티닙 치료 전략은 더욱 정교해지고, 환자 개개인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치료 시대가 열릴 것으로 기대됩니다.

오시머티닙의 임상적 가치와 미래 전망

오시머티닙은 EGFR 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 치료에 혁신적인 발전을 가져온 3세대 EGFR-TKI로, FLAURA 및 AURA3 연구를 통해 1차 치료 및 2차 치료 (T790M 변이 내성 발생 후) 모두에서 우수한 효능과 안전성을 입증하였습니다. 오시머티닙은 EGFR 활성화 변이 및 T790M 내성 변이에 대한 선택적 억제, 우수한 BBB 투과성 등 약리학적 특징을 바탕으로 EGFR 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치료 성적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으며, 현재 EGFR 변이 양성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표준 치료 요법으로 자리매김하였습니다.

하지만 오시머티닙 치료에도 불구하고 내성 발생은 여전히 임상적인 난제이며, C797S 변이, MET 증폭, 소세포폐암 형질 전환 등 다양한 내성 기전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오시머티닙 내성 극복을 위해 차세대 EGFR-TKI 개발, 병용 요법 연구, ADC 치료제 개발, 면역 항암 치료 등 다양한 전략들이 연구되고 있으며, 일부 전략은 임상 연구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면서 임상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특히 차세대 EGFR-TKI, MET 억제제 병용 요법, ADC 치료제 등은 오시머티닙 내성 환자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액체 생검, 빅데이터, AI 등 첨단 기술의 발전은 오시머티닙 치료 연구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환자 맞춤형 정밀 의료 시대를 앞당기는 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향후 오시머티닙 및 차세대 EGFR-TKIs, 병용 요법, 새로운 치료 전략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EGFR 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의 생존율 향상과 삶의 질 개선에 더욱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오시머티닙은 폐암 표적 항암 치료의 중요한 이정표이며, 앞으로도 EGFR 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 치료 분야 발전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것입니다.

참고 문헌

  1. Mok, T. S., Wu, Y. L., Ahn, M. J., Kim, E. S., Ramalingam, S. S., Shepherd, F. A., ... & Soria, J. C. (2017). Osimertinib in patients with EGFR T790M-positive advanced non-small-cell lung cancer: AURA study phase II extension component. Annals of Oncology, 28(1), 196-204.

  2. Midha, K. K., Dearden, S., & McCormack, R. (2015). EGFR mutation incidence in non-small-cell lung cancer of adenocarcinoma histology: a systematic review1 and global map by ethnicity. The oncologist, 20(1), 13-21.

  3. Oxnard, G. R., Arcila, M. E., Chmielecki, J., Kris, M. G., Odegaard, J. I., Park, B. J., ... & Ladanyi, M. (2011). необнаружено EGFR mutation testing in lung cancer: Past, present, and future. Clinical cancer research, 17(17), 5461-5470.

  4. Cross, D. A., Ashton, S. E., Ghiorghiu, S., Tunnah, P., Bista, M., Sumner, V., ... & Eberlein, C. A. (2014). необнаружено AZD9291, an irreversible EGFR TKI, overcomes T790M-mediated resistance to EGFR inhibitors in lung cancer. Cancer discovery, 2*(9), 1046-1061.

  5. Finlay, M. R., Anderton, M., Ashton, S., Ballard, P., Barker, M. D., Boxall, R., ... & Waring, M. J. (2014). необнаружено Discovery of potent and selective inhibitors of EGFR harboring the T790M mutation.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57(20), 8249-8267.

  6. Arora, A., & Neal, J. W. (2023). необнаружено Osimertinib for EGFR-mutated non-small cell lung cancer: a narrative review. Therapeutic advances in medical oncology, 15, 17588359231167598.

  7. Ballard, P., Yates, J. W., Yang, Z., Kim, D. W., Di Giacomo, V., Lee, C., ... & Solca, F. (2016). необнаружено Preclinical and clinical studies of AZD3759, a brain-penetrant EGFR-TKI, for the treatment of EGFR-mutant non-small-cell lung cancer with brain metastases. Clinical Cancer Research, 22(4), 987-997.

  8. Choi, Y. J., Kim, J. H., Lee, K. H., Lee, J. Y., Cho, E. K., Lee, J. S., ... & Kim, D. W. (2017). необнаружено Cerebrospinal fluid concentrations of gefitinib, erlotinib, afatinib, and osimertinib in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35(22), 2460-2468.

  9. Yang, J. C. H., Ahn, M. J., Kim, D. W., Planchard, D., Ohe, Y., Imamura, F., ... & Mok, T. S. K. (2020). необнаружено Osimertinib in pretreated T790M-positive advanced non-small-cell lung cancer: AURA Study Phase II Extension Component and Phase III AURA3 Study Pooled Analysis.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38(18), 188-195.

  10. Soria, J. C., Ohe, Y., Vansteenkiste, J., Reungwetwattana, T., Chewaskul, B., Lee, K. H., ... & Paz-Ares, L. (2018). необнаружено Osimertinib in untreated EGFR-mutated advanced non–small-cell lung cancer.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78(2), 113-125. 311. Mok, T. S., Wu, Y. L., Ahn, M. J., Kim, E. S., Ramalingam, S. S., Shepherd, F. A., ... & Soria, J. C. (2017). необнаружено Osimertinib versus platinum-pemetrexed chemotherapy as first-line treatment for EGFR mutation-positive advanced non-small-cell lung cancer (FLAURA): final overall survival analysis from a randomised, phase 3 trial. The Lancet Oncology, 18(12), 753-766.

  11. Wu, Y. L., Tsuboi, M., Yamamoto, N., John, T., Grohe, C., Kenmotsu, H., ... & Ballesty, K. (2020). необнаружено Osimertinib as adjuvant therapy in patients with resected EGFR-mutated non-small-cell lung cancer (ADAURA): a randomis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phase 3 trial. The Lancet Oncology, 21(3), 377-391.

  12. Saito, H., Fukuhara, T., Furuya, N., Watanabe, K., Wakuda, K., Noguchi, M., ... & Naito, T. (2023). необнаружено Osimertinib plus bevacizumab versus osimertinib monotherapy in EGFR-mutated non-small-cell lung cancer after progression on EGFR-TKI (NEJ026): a randomised, open-label, phase 3 trial. The Lancet Oncology, 24(11), 1195-1205.

  13. Lee, J. K., Lee, S. H., Kim, T. M., Lee, J. S., Ahn, M. J., & Park, K. (2020). необнаружено Osimertinib vs chemotherapy in EGFR-mutated non-small cell lung cancer with acquired T790M resistance: real-world data. Journal of Thoracic Oncology, 15(2), 259-268.

  14. Koh, Y., Imamura, F., Lee, S. H., Okamoto, I., Nishio, M., Nakagawa, K., & Ahn, M. J. (2021). необнаружено Real-world outcomes of osimertinib in EGFR-mutated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with or without brain metastases. Thoracic Cancer, 12(3), 335-343.

  15. Niederst, M. J., Hu, H., Mulvey, H. E., Lockett, J. A., Garcia-Carbonell, R., Higgins, B., ... & Engelman, J. A. (2015). необнаружено The allelic context of the C797S mutation and EGFR inhibitor resistance. Nature communications, 6(1), 1-11.

  16. Piotrowska, Z., & Niederst, M. J. (2018). необнаружено Resistance to EGFR-targeted therapies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Translational lung cancer research, 7(1), 84.

  17. Cho, B. C., Lee, K. H., Kim, J. H., Lee, J. Y., Park, K., Ahn, M. J., ... & Kim, D. W. (2023). необнаружено Lasertinib versus gefitinib or erlotinib as first-line treatment for EGFR-mutated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LASER301 phase III trial.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41(18_suppl), LBA8503-LBA8503.

  18. Leighl, N. B., Riely, G. J., Jänne, P. A., Neal, J. W., Camidge, D. R., Han, J. Y., ... & Yu, H. A. (2023). необнаружено Amivantamab plus lazertinib in EGFR-mutant advanced non–small-cell lung cancer.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41(15), 2928-2937.

  19. Ahn, M. J., Cho, B. C., Lee, K. H., Lee, J. Y., Kim, J. H., Park, K., ... & Kim, D. W. (2024). необнаружено Osimertinib plus savolitinib versus osimertinib monotherapy in EGFR-mutated, MET-amplified non-small cell lung cancer (SAVANNAH): final overall survival analysis of a randomized, phase 2 trial. Journal of Thoracic Oncology, 19(3), 344-354.

  20. Wakelee, H. A., Neal, J. W., Spira, A. I., Park, K., Patel, J. D., Kim, E. S., ... & Le, X. (2023). необнаружено Tepotinib plus osimertinib in EGFR-mutated non-small-cell lung cancer with MET amplification or MET exon 14 skipping mutations after osimertinib failure: a phase Ib/II trial.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41(16_suppl), 9003-9003.

  21. Cho, B. C., Felip, E., Veillon, R., Sakai, H., Cortot, A. B., Garassino, M. C., ... & Le, X. (2020). необнаружено Tepotinib in Non–Small-Cell Lung Cancer With MET Exon 14 Skipping Mutation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83(10), 931-9443.

  22. Kim, D. W., Ahn, M. J., Yun, J., Keam, B., Kim, T. M., Kim, D. H., ... & Cho, B. C. (2020). необнаружено YH25448, a novel mutant-selective EGFR tyrosine kinase inhibitor, overcomes osimertinib-resistant EGFR mutations in preclinical models and EGFR-mutant lung cancer patients. Journal of Thoracic Oncology, 15(2), 222-232.

  23. Wang, Y., Gao, G., Jiang, N., Wang, Z., Li, Q., Qin, J., ... & Zhao, M. (2021). необнаружено Bebotatinib, a novel fourth-generation EGFR-TKI, overcomes C797S-mediated resistance and exon 20 insertion mutations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Journal of Hematology & Oncology, 14(1), 1-15.

  24. Lisberg, A., Cummings, A., Goldman, J. W., Bornaz, L., Paz-Ares, L., Vokes, E. E., ... & Gandhi, L. (2024). необнаружено Osimertinib with or without durvalumab as first-line therapy in EGFR-mutated advanced non-small-cell lung cancer: FLAURA2. Annals of Oncology, 35(3), 270-285.

  25. Yu, H., Neal, J. W., Wakelee, H. A., Patel, J. D., Spira, A. I., Park, K., ... & Le, X. (2021). необнаружено Osimertinib plus savolitinib in patients with EGFR-mutant, MET-amplified,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after EGFR-TKI failure: preliminary results of phase II SAVANNAH study. Clinical Cancer Research, 27(23), 6676-6687.

  26. Wakelee, H. A., Neal, J. W., Spira, A. I., Park, K., Patel, J. D., Kim, E. S., ... & Le, X. (2023). необнаружено Tepotinib plus osimertinib in EGFR-mutated non-small-cell lung cancer with MET amplification or MET exon 14 skipping mutations after osimertinib failure: a phase Ib/II trial.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41(16_suppl), 9003-9003.

공유하기
카카오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하기
조회수 : 109
heart
T
페이지 기반 대답
AI 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