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옵시디언 플러그인 ] Style Settings (CSS 스닛펫 설정)

1. Style Settings 플러그인 설치 및 설정
목표: Obsidian에서 Style Settings 플러그인을 설치하여 CSS 스니펫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단계:
Obsidian을 열고 왼쪽 하단의 설정 톱니바퀴 아이콘을 클릭하여 '설정(Settings)' 메뉴로 이동합니다.
'커뮤니티 플러그인(Community plugins)' 섹션을 클릭합니다.
'플러그인 탐색(Browse)'을 선택하고 'Style Settings'를 검색합니다.
플러그인 목록에서 'Style Settings'를 찾아 설치하고 활성화합니다.
![[옵시디언 플러그인 ] Style Settings (CSS 스닛펫 설정) image 1](https://server.tilnote.io/images/pages/2740ca0e-5178-43a2-98d2-b3e70891745d.png)
2. CSS 스니펫 생성 및 추가
목표: 원하는 스타일의 CSS 스니펫을 생성하고 Obsidian에 추가합니다.
단계:
텍스트 편집기(예: Notepad, VSCode 등)를 사용하여 원하는 CSS 코드를 작성합니다.
파일을
.css확장자를 가진 이름으로 저장합니다 (예:MyStyleSettings.css).
![[옵시디언 플러그인 ] Style Settings (CSS 스닛펫 설정) image 2](https://server.tilnote.io/images/pages/a7bbb69e-f146-4138-8482-b74d7ebf3ce2.png)
(예시)
/* @settings
name: Elegant Theme Settings
id: elegant-theme-settings
settings:
-
id: primary-color
title: Primary Color
description: Main color used throughout the UI.
type: variable-color
format: hex
default: '#336699'
-
id: base-font
title: Base Font
description: Font used for regular text.
type: variable-text
default: 'Georgia, serif'
-
id: header-font
title: Header Font
description: Font used for headings.
type: variable-text
default: 'Helvetica, Arial, sans-serif'
-
id: font-size
title: Base Font Size
description: The base font size for the text.
type: variable-number-slider
default: 16
min: 12
max: 24
step: 1
-
id: spacing-base
title: Base Spacing
description: The base spacing used for layout margins and paddings.
type: variable-number-slider
default: 8
min: 4
max: 20
step: 2
*/
:root {
--primary-color: var(--primary-color, #336699);
--base-font: var(--base-font, 'Georgia, serif');
--header-font: var(--header-font, 'Helvetica, Arial, sans-serif');
--font-size: var(--font-size, 16px);
--spacing-base: var(--spacing-base, 8px);
}
body {
background-color: var(--primary-color);
font-family: var(--base-font);
font-size: var(--font-size);
color: #333;
}
h1, h2, h3, h4, h5, h6 {
font-family: var(--header-font);
margin-top: calc(var(--spacing-base) * 2);
margin-bottom: var(--spacing-base);
}
p, ul, ol, dl {
margin-top: 0;
margin-bottom: var(--spacing-base);
}![[옵시디언 플러그인 ] Style Settings (CSS 스닛펫 설정) image 3](https://server.tilnote.io/images/pages/22bd8ab2-5c5f-49d8-94d6-7fc2100a1bc0.png)
Obsidian을 열고 '설정'으로 이동한 다음 '외모(Appearance)' 섹션을 선택합니다.
![[옵시디언 플러그인 ] Style Settings (CSS 스닛펫 설정) image 4](https://server.tilnote.io/images/pages/9c261d14-f425-4003-bb12-e61ec4018c2b.png)
'CSS 스니펫' 탭을 선택하고 '스니펫 폴더 열기'를 클릭합니다.
![[옵시디언 플러그인 ] Style Settings (CSS 스닛펫 설정) image 5](https://server.tilnote.io/images/pages/42986e77-f623-44e9-91fb-ae0e38f5cebd.png)
생성한 CSS 파일을 스니펫 폴더로 복사합니다.
'CSS 스니펫' 페이지를 새로 고침하고, 추가한 스니펫 옆의 토글을 클릭하여 활성화합니다.
![[옵시디언 플러그인 ] Style Settings (CSS 스닛펫 설정) image 6](https://server.tilnote.io/images/pages/fed2a067-1653-495c-9e80-295c56d5a2b0.png)
![[옵시디언 플러그인 ] Style Settings (CSS 스닛펫 설정) image 7](https://server.tilnote.io/images/pages/ce1352cd-46f8-411f-aedd-435ff1b1b324.png)
3. 스니펫 설정 조정
목표: Style Settings 플러그인을 통해 추가한 CSS 스니펫의 세부 설정을 조정합니다.
단계:
설정으로 돌아가 'Style Settings' 섹션을 찾습니다.
![[옵시디언 플러그인 ] Style Settings (CSS 스닛펫 설정) image 8](https://server.tilnote.io/images/pages/8ba167eb-7ddb-46c4-832c-5e285d84240a.png)
이 섹션에서 여러 설정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색상, 폰트, 간격 등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옵시디언 플러그인 ] Style Settings (CSS 스닛펫 설정) image 9](https://server.tilnote.io/images/pages/c3b01a2f-1a98-4df2-afb0-e8e26680687d.png)
정리
이 과정을 통해 Obsidian에서 Style Settings 플러그인을 설치하고, CSS 스니펫을 만들어 추가하며, 스니펫 설정을 조정하는 방법을 학습하였습니다. 이제 각자의 필요에 맞게 Obsidian의 스타일을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