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콘텐츠로 건너뛰기

EC2, ECS, EKS: AWS의 주요 컴퓨트 서비스 한눈에 보기

설탕사과
설탕사과
조회수 17
요약

EC2: 클라우드에서 직접 서버 다루기

EC2는 AWS에서 제공하는 가상 컴퓨터를 직접 빌리는 서비스입니다. 사용자가 운영체제, 소프트웨어 설치, 서버 보안까지 모두 직접 관리할 수 있어서, 기존 방식과 비슷한 환경이 필요할 때 적합합니다. 서버 크기와 성능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지만, 모든 관리는 사용자가 책임집니다.

ECS: 컨테이너 앱 쉽게 배포하기

ECS는 Docker 컨테이너를 관리해주는 서비스로, 앱과 필요한 라이브러리, 설정을 하나로 묶어 손쉽게 배포할 수 있습니다. 인프라 직접 관리(ECS EC2 타입)와 서버리스처럼 아예 관리가 필요 없는 Fargate 타입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 AWS 서비스들과 연동이 잘 되고, Kubernetes처럼 복잡하게 배울 필요 없이 바로 쓸 수 있습니다.

EKS: 대규모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EKS는 Kubernetes를 AWS에서 대신 관리해주는 서비스입니다. Kubernetes는 다양한 컨테이너 앱을 한꺼번에 자율적으로 운영하고 확장하기 위한 오픈소스 플랫폼인데, EKS가 이 복잡한 관리 중추(컨트롤 플레인)를 대신 돌려줍니다. 덕분에 대규모, 복잡한 시스템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고, 여러 클라우드 간에 환경을 쉽게 옮길 수 있습니다.

서비스별 선택 기준

  • EC2: 전통적인 방식의 앱(예: 레거시 소프트웨어, 맞춤형 OS)이거나, 직접 서버 관리가 필요한 경우에 선택.

  • ECS: 컨테이너를 도입했지만, 간단하고 AWS만으로 충분한 경우, 서버 관리 부담을 줄이고 싶을 때 적합.

  • EKS: 마이크로서비스처럼 복잡하고 대규모 작업, Kubernetes 전문 기술이나 클라우드 환경 간 이식성이 중요한 경우에 선택.

확장성 및 관리의 차이

  • EC2는 확장을 직접 설정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자동증설(Auto Scaling) 등을 추가해 직접 운영합니다.

  • ECS는 컨테이너 수, 배포, 로드밸런싱까지 대부분 자동으로 관리해줍니다.

  • EKS는 복잡한 자동화(셀프힐링, 자동 확장 등)가 내장돼 있지만 Kubernetes 운영 경험이 필요합니다.

비용 및 복잡성 비교

  • EC2는 가장 단순하지만 관리 부담은 높습니다.

  • ECS는 운영이 간단하고 비용도 합리적이지만, 아주 복잡한 환경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 EKS는 고급 기능이 많고 다루는 환경도 복잡하지만, 그만큼 비용과 러닝 커브가 높습니다.

실제 적용 예시

  • EC2: 개인 블로그, 소규모 회사 웹사이트, 데이터베이스 단일 서버 운영 등.

  • ECS: 스타트업이 여러 컨테이너로 쇼핑몰 구축, 개발팀이 협업하며 CI/CD 파이프라인 자동화 등.

  • EKS: 수백 개 마이크로서비스, 글로벌 서비스, 머신러닝 대규모 파이프라인 등 복잡한 시스템에 활용.

AWS 서비스 간 연계성

각 서비스 모두 AWS의 보안 및 모니터링(예: IAM, CloudWatch)과 연동이 잘 됩니다. 특히 ECS와 EKS는 인프라 뿐만 아니라 컨테이너 앱의 배포와 관리를 손쉽게 해줍니다.

한눈에 보는 요약

  • EC2: 완전 자유, 직접 관리, 단순함

  • ECS: 컨테이너 중심, 쉽고 빠른 운영, AWS 친화적

  • EKS: Kubernetes의 강력한 기능, 복잡한 서비스에 적합, 다양한 클라우드와 호환

각 서비스의 특징을 이해하면, 여러분의 프로젝트에 꼭 맞는 AWS 컴퓨트 환경을 쉽게 고를 수 있습니다!


출처 : Explain the difference between EC2, ECS, and EKS — when would you choose each? | by Nirbhay Singh | Aug, 2025 | Medi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