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검색
Sign UpLogin
page thumbnail

Wearin' That Loved On Look 사랑에 젖은 듯한 그 모습

JH.smile
JH.smile
조회수 15

Wearin' That Loved On Look

1969년에 발매된 앨범 From Elvis in Memphis에 수록된 곡으로, 내슈빌 출신의 작곡가 Dallas Frazier와 A.L. "Doodle" Owens가 작곡했습니다. 이 곡은 엘비스의 음악 경력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이루는 작품으로, 1960년대 초반 영화 사운드트랙 중심의 활동에서 벗어나 그의 뿌리인 소울, 컨트리, R&B를 결합한 본격적인 스튜디오 작업으로 돌아온 시점을 상징합니다. 이 곡은 경쾌하면서도 날카로운 가사와 엘비스의 강렬한 보컬로, 연인의 부정(不貞)을 재치 있게 비판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곡의 스타일은 R&B와 컨트리의 혼합으로, 당시 멤피스 사운드의 독특한 매력을 잘 보여줍니다

ㅇ 제작 에피소드 이 곡은 1969년 1월 13일, 테네시주 멤피스에 위치한 American Sound Studio에서 녹음되었습니다. 엘비스가 1955년 Sun Records를 떠난 이후 처음으로 멤피스에서 녹음한 이 세션은 그의 경력에서 전환점으로 평가됩니다. 1968년의 성공적인 TV 스페셜('68 Comeback Special)로 재도약한 엘비스는, 기존의 RCA 내슈빌 스튜디오에서 벗어나 새로운 음악적 활력을 찾고자 멤피스로 돌아왔습니다. American Sound Studio에서의 작업은 프로듀서 Chips Moman의 지휘 아래 이루어졌으며, 이곳의 하우스 밴드(일명 "Memphis Boys")는 엘비스의 음악에 신선한 에너지를 불어넣었습니다.

녹음 당시 엘비스는 감기에 걸려 목이 쉰 상태였는데, 이는 오히려 곡에 거칠고 원초적인 느낌을 더해 독특한 매력을 발산했습니다. 특히 기타리스트 Reggie Young의 텔레캐스터 연주와 Hammond B3 오르간의 소울풀한 배경음이 곡의 분위기를 한층 강화했습니다. 이 세션에서 엘비스는 "Wearin' That Loved On Look" 외에도 "In The Ghetto", "Suspicious Minds" 같은 명곡들을 녹음하며, 그의 음악적 재능을 재확인했습니다. 팬들은 이 곡이 From Elvis in Memphis 앨범의 첫 트랙으로서 엘비스의 강렬한 컴백을 알리는 신호탄이었다고 평가합니다.

원곡 가사 (English)한국어 번역
Verse 1
I had to leave town for a little while내가 잠시 마을을 떠나야 했지
You said you'd be good while I'm gone네가 내가 없는 동안 착하게 지낸다 했어
But the look in your eye done told me you told a lie하지만 너 눈빛이 거짓말을 했다고 말해줬지
I know there's been some carryin' on무슨 일이 있었던 게 분명해
Chorus
Baby, you're wearin' that loved on look, shoop, shoop, shoop, shoop자기야, 너 그 사랑에 젖은 듯한 모습을 하고 있어, 슈웁, 슈웁, 슈웁, 슈웁
Baby, you're wearin' that loved on look자기야, 너 그 사랑에 젖은 듯한 모습을 하고 있어
Verse 2
The ash trays are all full of ashes재떨이는 재로 가득 차 있고
The floor needs a touch of the mop바닥은 걸레질이 필요해
There's a man downstairs with a long bushy hair아래층에 긴 수염 난 남자가 있어
He said your party was a three day rock네 파티가 3일 동안의 난리였다고 하던데
Chorus
Baby, you're wearin' that loved on look, shoop, shoop, shoop, shoop자기야, 너 그 사랑에 젖은 듯한 모습을 하고 있어, 슈웁, 슈웁, 슈웁, 슈웁
Baby, you're wearin' that loved on look자기야, 너 그 사랑에 젖은 듯한 모습을 하고 있어
Verse 3
Baby if you ever loved me자기야, 네가 나를 정말 사랑했다면
Then Bonnie and Clyde loved the law보니와 클라이드가 법을 사랑했겠지
Well a bird can't fly and I don't like apple pie새는 날지 못하고, 난 애플파이를 좋아하지 않아
And trees won't grow in Arkansas아칸소에는 나무가 자라지 않아
Chorus
Baby, you're wearin' that loved on look, shoop, shoop, shoop, shoop자기야, 너 그 사랑에 젖은 듯한 모습을 하고 있어, 슈웁, 슈웁, 슈웁, 슈웁
Baby, you're wearin' that loved on look자기야, 너 그 사랑에 젖은 듯한 모습을 하고 있어
Verse 4
I had to leave town for a little while내가 잠시 마을을 떠나야 했지
You said you'd be good while I'm gone네가 내가 없는 동안 착하게 지낸다 했어
But the look in your eye done told me you told a lie하지만 너 눈빛이 거짓말을 했다고 말해줬지
Well, I know there's been some carryin' on무슨 일이 있었던 게 분명해
Chorus
Baby, you're wearin' that loved on look, shoop, shoop, shoop, shoop자기야, 너 그 사랑에 젖은 듯한 모습을 하고 있어, 슈웁, 슈웁, 슈웁, 슈웁
Baby, you're wearin' that loved on look자기야, 너 그 사랑에 젖은 듯한 모습을 하고 있어

ㅇ 제목 "Wearin' That Loved On Look"은 직역하면 "그 사랑받은 듯한 모습을 하고 있어"로 번역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곡의 맥락을 고려할 때, 이는 연인의 부정으로 인해 흐트러진 외모나 분위기를 비꼬는 표현으로, "사랑에 젖은 듯한 그 모습" 또는 "연애의 흔적을 띠고 있어" 정도로 의역할 수 있습니다. 이 제목은 곡의 재치 있고 약간은 신랄한 톤을 잘 반영합니다.

ㅇ 가사 일부 의미

1. "Baby if you ever loved me / Then Bonnie and Clyde loved the law"

  • 의미: 이 줄은 연인의 사랑이 진실하지 않다는 점을 비꼬는 표현입니다. 보니와 클라이드(Bonnie and Clyde)는 1930년대 미국의 악명 높은 은행 강도 커플로, 법(법 집행 기관)과 적대적인 관계였습니다. 따라서 "보니와 클라이드가 법을 사랑했다"고 말하는 것은 터무니없고 불가능한 주장입니다. 이를 통해 화자는 "네가 나를 정말 사랑했다면, 그건 보니와 클라이드가 법을 사랑한 것만큼 터무니없어"라고 말하며 연인의 사랑이 거짓임을 강조합니다.

  • 맥락: 연인의 부정(바람을 피운 흔적, 즉 "loved on look")을 발견한 화자가 상대방의 변명을 믿지 않고, 그들의 사랑을 완전히 부정하는 강한 비판입니다.

2. "Well a bird can't fly and I don't like apple pie"

  • 의미: 이 줄은 불가능하거나 터무니없는 상황을 나열하며 비꼬기를 이어갑니다.

    • "새가 날지 못한다(a bird can't fly)"는 자연의 기본적인 사실을 뒤집는 표현으로, 새가 날지 못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이는 연인의 사랑이 진실이라는 주장 역시 그만큼 불가능하다는 뜻입니다.

    • "나는 애플파이를 좋아하지 않아(I don't like apple pie)"는 미국 문화에서 애플파이가 대중적이고 상징적인 음식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이를 싫어한다고 말하는 것은 과장된 부정입니다. 이는 화자의 개인적 취향을 과장해 연인의 주장이 터무니없음을 비유적으로 보여줍니다.

  • 맥락: 이 줄은 가사의 재치 있는 톤을 강화하며, 화자가 연인의 변명을 터무니없다고 일축하는 태도를 보여줍니다. 엘비스의 보컬과 Memphis Boys의 경쾌한 연주가 이 부분에서 곡의 유머러스하면서도 신랄한 분위기를 더합니다.

3. "And trees won't grow in Arkansas"

  • 의미: 아칸소(Arkansas)는 미국 남부의 주로, 실제로는 나무가 잘 자라는 지역입니다. "아칸소에 나무가 자라지 않는다"는 또 다른 터무니없는 주장으로, 앞선 두 줄과 마찬가지로 불가능한 상황을 나열해 연인의 사랑이 거짓임을 강조합니다. 이는 화자가 연인의 변명을 완전히 믿지 않으며, 그들의 주장이 현실과 동떨어져 있음을 비꼬는 표현입니다.

  • 맥락: 아칸소는 컨트리 음악과 남부 문화와 밀접한 지역으로, 엘비스와 Memphis Boys의 음악적 배경과도 연결됩니다. 이 지역을 언급함으로써 곡은 남부 특유의 정서와 유머를 담아냅니다.

전체적인 의미와 주제

이 구절은 역설적이고 과장된 비유를 통해 연인의 부정과 거짓을 비판합니다. 화자는 연인이 자신을 진정으로 사랑했다는 주장이 불가능한 일(새가 날지 못하거나, 보니와 클라이드가 법을 사랑하는 것)만큼 터무니없다고 말합니다. 가사 전반의 "loved on look"이라는 표현과 함께, 이 구절은 연인이 다른 사람과 시간을 보내며 생긴 흐트러진 모습(외모나 행동)을 비꼬며 화자의 실망과 분노를 유머러스하게 전달합니다.

ㅇ 1969 패션

Wearin' That Loved On Look  사랑에 젖은 듯한 그 모습 image 1

Wearin' That Loved On Look  사랑에 젖은 듯한 그 모습 image 2

Wearin' That Loved On Look  사랑에 젖은 듯한 그 모습 image 3